2025.10.16 (목)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칼럼] 최창일 시인, '빅토르 위고의 초콜릿 염문설'

"역사는 달콤한 것들이 만든다"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역사는 달콤한 것들이 만든다. 어린이가 좋아하는 것은 달콤한 초콜릿이나 아이스크림이다. 달콤한 것들은 성별과 나이에 따라 차이와 의미가 다르다.

초콜릿이 상품화되기 전의 역사는 1510년대로 올라간다. 여러 모양의 상품화 된 것은 150년 전, 음료나 분말형태로 마시기 시작하면서부터다. 당시의 초콜릿은 귀족, 상류사회의 전유물이었다.

1826년에는 네덜란드인 반 호텐(Van Houten)이 물에 녹는 카카오 분말을 만들었다. 이어서 1847년 영국에서는 오늘날 먹는 판형(태블릿) 초콜릿 제품이 출시되면서 어린이는 물론 성인에 이르기까지 일대 혁명과 같은 인기를 모았다.

1870년 프랑스의 므니에(Menier)와 그의 자손들이 누아지엘(Noisiel) 마을에 스마트한 모양을 디자인한 초콜릿 공장을 설립한다.

여기서 재미있는 현상은 프랑스에서 향수를 상품화하기 시작한 것은 1828년이다. 프랑스에서 초콜릿과 향수가 공장을 설립한 시기는 불과 40년 사이, 같은 년대다. 유럽의 여러 나라에 나오기 시작한 향수의 역사는 5천 년 전으로 올라가지만 상품으로 만든 것은 200년 전 프랑스다. 초콜릿도 마찬가지다. 유럽의 모든 나라들이 초콜릿을 먹지만 멋들러지게 디자인된 초콜릿은 아니었다.

이런 면에서 프랑스는 여성과 어린이가 좋아하는 향수와 초콜릿 상품을 만들어 문화경제부국이 되었다. 그래서일까 프랑스는 세계에서 가장 초콜릿을 많이 먹는 나라다. 년 간 1인당 6.8kg의 초콜릿을 소비하고 있다. 물론 향수의 소비량도 세계 최고다.

초콜릿은 원재료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콘칭기법이다. 기술은 초콜릿의 품질이 좌우 될 수 있다. 여기에 작업자의 템퍼링이라는 온도조정 작업이 추가되면서 초콜릿의 기본적인 맛과 풍미가 최종적으로 결정된다. 커피 아메리카노 브랜딩으로 보면 이해가 빠르다.

자그마한 카카오나무의 열매에서 비롯된 맛과 향은 신비롭다하여, 신이 주신 선물이라고까지 했다. 시간은 흘러 이제는 프랑스의 전유물은 아니다. 세계의 모든 나라가 만들고, 소비되는 초콜릿 판매량은 상상을 넘어서고 있다. 그 만드는 기술 또한 나라별 평준화의 길을 걷고 있다. 대표적인 나라가 벨기에다. 벨기에 가면 와플과 초콜릿을 꼭 먹어봐야 한다는 여행자들의 여행담도 있다.

C작가는 벨기에 나라를 좋아 한다. 좋아하는 이유가 조금은 우습다. 작가가 좋아 하는 미국의 영화배우 오드리 헵번(Audrey Hepburn,1929~1993)배우가 태어난 나라기 때문이다. 세상에 좋아하는 이유도 별스럽다.

오드리 헵번은 배우 중 가장 많은 팬을 보유했다. 한국에도 햅번기념사업회가 있을 정도다. 고인이 된지 27년의 시간이 지났지만 지금도 헵번의 브로마이드는 가장 많이 나가고 있다. 심지어 유명 화가들이 가장 선호하여 그리는 인물이다. 그 같은 결과는 삶의 태도가 숭고한 봉사자였기 때문이다.

벨기에는 다른 나라를 침략한 역사가 없다. 그래서 평화의 나라라고 한다. 중요한 것은 벨기에가 침략을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반대로 벨기에는 수없이 침략을 받은 나라다. 마치 한국의 역사가 수많은 외침을 받았으나 한국이 다른 나라에 침략의 역사가 없는 것과 같다.

벨기에는 해마다 1천명 이상의 방문객이 찾는 관광지로 인기가 있다. 거기에 초콜릿, 맥주, 와플의 나라다. 스머프와 플란다스의 개, 틴틴 모험이 만들어진 만화의 나라이기도 하다.

벨기에는 초콜릿 가게가 가장 많은 나라다. 가까운 가게에서 초콜릿을 사들고 ‘레미제라블’과 ‘파리의 노트르담’의 작가 빅토르 위고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광장이라 말한, 그랑플라스 광장을 걷다보면 거의 모든 사람들의 손에는 초콜릿이 들려 있다. 벨기에를 가는 것은 초콜릿의 맛을 보기 위해서라는 말이 있다.

초콜릿을 좋아했던 프랑스의 소설가이자 시인 겸 극작가빅 토르 위고(Victor-Marie Hugo, 1802~1885)는 유명 작가 중 가장 염문(廉問)을 많이 뿌리기로 소문이 자자하다. 빅토르 위고는 염문의 여인들에게 달콤한 초콜릿 선물을 즐겨 했다. 그래서 달콤한 초콜릿 선물은 조심해야 한다.

- 최창일 시인('시화무' 작가)


i24@daum.net
배너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개헌개혁행동마당 등 53개 시민단체, 국립대전현충원서 홍범도 장군·무후 광복군 추모 (대전=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지난 10월 8일 정오부터 오후 2시까지, ‘개헌개혁행동마당’(상임의장 송운학)에 참여하는 ‘국민주권개헌행동’을 비롯한 53개 시민단체 대표단이 국립대전현충원을 찾아 홍범도 장군과 후손이 없는 광복군 17위 선열을 추모하는 합동차례를 올렸다. 대표단 약 20여 명은 이날 묘역 참배 후 '화이부동(和而不同)'과 좌우합작 정신을 계승해 국권국익 수호, 남북 평화공존, 국민개헌 보장 등의 실천 방안을 마련하자는 데 뜻을 모으고 서약문 채택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홍범도 장군·무후 광복군 17위 선열에 추모차례 1부 행사는 독립유공자 제7묘역에서 김동섭 ‘독립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이 사회를 맡아 진행됐으며, 2부는 송운학 '국민주권개헌행동' 상임대표가 이어받아 참배와 헌시 낭독으로 이어졌다. 참석자들은,▲"항일무장투쟁 만세!", ▲"대한독립 만세!”, ▲"국권국익 수호 만세!"▲"남북평화공존 만세!", ▲"국민개헌보장 만세!" 등의 구호를 외치며 선열들의 뜻을 기리고, 참된 자주독립과 직접민주제 실현의 길을 되새기는 시간을 가졌다. "무후 독립유공자 7,285명… 후손 확인 못 해 예우도 미흡" 송운학 상임의장은 모두발언에서 "이곳

정치

더보기
남인순 의원, 환자 돕는다던 '환자대변인' 16%가 병원 측 변호사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서울 송파구병,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은 12일,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이하 중재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위촉된 환자대변인 인적사항'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체 56명의 환자대변인 중 9명(약 16%)이 현재 병원 측 자문 또는 소송 대리 업무를 수행 중인 변호사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들 중 일부는 특정 병원의 소송을 직접 대리하고 있으며, 동시에 5곳 이상의 병원에 법률 자문을 제공하고 있는 변호사도 포함된 것으로 드러났다. '의료분쟁 조정 환자대변인 제도'는 의료사고로 인한 분쟁 시, 환자 측의 권리를 법적·의학적으로 보호하고, 조정 과정에서 환자의 실질적인 참여를 보장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5월 공모와 심사를 거쳐 의료사고 분야의 전문성과 경험을 갖춘 변호사 56명을 환자대변인으로 선정·위촉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남 의원은 이번 인선 과정에서 "의료사고 분쟁 시 환자를 조력해야 할 변호사들이 병원 측의 이해관계를 대변해온 인사들로 위촉된 것은 제도의 본래 취지에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남인순 의원은 이어 "특히 현직에서 병원 소송을 대리하거나 자문 업무를 수행하면서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