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1일 1차 합의 이후, 분류작업 인력 투입에 대한 이행을 놓고 택배사와 택배노조 간의 이견이 있었고 27일 택배노조가 총파업을 선언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사회적합의기구는 28일 오후 2시부터 국회에서 택배사(CJ대한통운, 롯데, 한진), 통합물류협회, 과로사대책위, 택배노조, 국토부와 함께 '1차 합의안에 대한 이행점검'을 논의, 6시간만에 합의를 이끌어냈다.
이번 합의는 택배비 거래구조개선 전까지 분류작업 인력 투입에 대한 이행점검에 관한 것으로 ▲1차 사회적 합의에 따른 분류작업 인력(CJ 4,000명, 롯데 1,000명, 한진 1,000명) 내달 4일까지 투입 ▲투입인력 현황을 점검하기 위한 조사단 구성 ▲롯데·한진의 경우, 투입인력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시범사업장 운영 ▲택배요금 및 택배비 거래구조개선을 가능한 5월 말까지 완료 등의 내용이 담겼다.
그동안 택배사들이 투입하기로 발표한 분류작업 인력으로는 작업현장에서 체감하기 어렵다는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1차 합의에 따른 분류인력 총 6,000명을 설 명절 전인 내달 4일까지 조속히 투입하기로 했다.
또한 택배사가 투입한 인력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조사단을 구성하고, 국토부가 택배회사와 과로사대책위 등과 협의하기로 했다.
하지만 휠소터(자동화 분류기)가 마련돼 있지 않은 롯데와 한진의 경우, 1,000명의 분류작업 인력투입으로는 현장에서 체감하는 분류작업 부담을 줄이기 힘들다는 판단에 따라, 시범사업장을 선정·운영해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가기로 했다.
이외, 올해 상반기로 합의했던 택배요금 및 택배 거래구조개선도 가능한 이번 5월 말까지로 시기를 앞당기기로 했다.
이번 합의에 참여한 박홍근 의원은 "사회적합의기구라는 틀을 통해 택배사와 택배노조가 한 자리에 모여 서로 이해를 조정하며 만들어낸 최초의 합의일 것"이라며 "1차 합의안의 충실한 이행과 2차 합의안 도출도 차질없이 잘 진행될 수 있도록 역할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민생연석회의 수석부의장 우원식 의원은 "30년 가까이 켜켜이 쌓인 오랜 관행과 갈등을 풀기에는 더 많은 대화와 시간이 필요하다"면서 "이번 이행점검 합의가 상호간 이해를 더 깊고 넓게 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zmfltm29@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