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2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칼럼] '인왕제색도(仁王霽色圖)'의 주인은 이병연 시인

"겸재 정선은 친구 이병연 시인의 덕으로 금강산의 진경산수를 후세에 남길 수 있어"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270년 전. 1751년 영조(英祖.1694~1776)가 조선을 다스리던 시절이다. 사천(槎川) 이병연(李秉淵.1671~1751) 시인의 병문안 마치고 나오는 겸재(兼齎) 정선(鄭敾.1676~1759)의 마음에 찬바람이 분다. 친구의 병색이 걱정이다. 옥인동에서 바라본 인왕산이 시커멓게 보인다. 친구 이병언의 병환이 겸재의 마음을 짓누른 것일까. 평소 인왕산은 하얀 모시적삼을 벗은 듯 깨끗했다. 마음눈에 따라 세상의 모습이 다른 채색이 된다는 것을 알았다.

겸재 정선과 이병연은 10대 부터 대문장가 삼연(三淵) 김창흡(1653~1722)문하에서 동문수학했다. 스승 김창흡은 학문의 깊이가 컸다. 김창흡은 우리나라 산천의 아름다움을 시로 노래하는 서정시의 1세다.

이병연 시인은 김창흡 문하에서 시학의 세계를 깨였다. 똑딱, 시간은 흘러 정계에 입문한다. 강원도 금화의 현감으로 부임한 이병연은 금강산 절경에 첫 번째로 친구 겸재를 떠 올린다. 서두르지 않고 서울 옥인동에 살고 있는 겸재 정선에게 금강산 여행 초대장을 보낸다.

친한 친구를 부를 때 오른팔, 왼팔의 비유를 사용한다. 겸재와 일언의 사이를 '왼편에 이병연, 오른편에 정선'(좌사천우겸재)이라 불렸다. 당시 그들의 학문과 예술의 경지는 조선과 청나라까지 자자했을 정도다. 겸재의 나이 35세에 첫 금강산(1711년) 사생에 나섰다.

이후에도 이병연의 수시 초대로 금강산 여행은 여러 차례 나섰다. 친구의 덕에 금강산 절경, 칼 봉우리를 그린 30여 폭의 그림을 친구 이 병연 시인에게 선물했다. 이병연 시인은 그림에 스승 심연과 자신의 제시를 붙여 화첩을 만들었다. 유명한 해악전신첩(海嶽傳神帖)이다. 현대 시인들이 만드는 시화집(詩畫集)의 첫걸음이 아닐까.

겸재 정선은 조선 최고의 진경산수화가다. 청나라에는 이미 겸재 그림의 마니아층이 형성 되어 있었다. 겸재의 엽서 크기 그림하나를 가지고 청나라에 가면 여행 경비가 빠졌다. 남은 돈으로 비단을 사올 수 있을 만큼 겸재의 그림은 높은 가격이었다.

누가 시간의 흐름은 공평하다 했던가. 이병연의 나이 80세, 정선의 나이 83세까지 장수하며 형제처럼 지냈다. 금강산 여행은 지난날의 추억이 되었다. 이병연은 일생동안 10,300여 수에 달하는 시를 썼다. 전해지는 시는 500여 수다. '사천시초' 2책이 시를 쓰는 후학에게 교본이 된다.

18세기 시인 이병연은 매화를 소재로 55수의 시를 창작했다. 이 시인은 도연명(陶淵明.중국대표시인.365~427)을 맨토로 여겼다. 그의 대부분의 시는 산수, 영물 시로 서정이 두드러진다. 지하철 동묘에는 관우(중국최고의 무신)장수를 기리는 사당 동묘(東廟)가 있다. 이병연 시인이 동묘를 산책하다 만든 동묘 주제 시가 인간적이다.

'해 지는 동대문 모퉁이/ 가을 바람 부는 장사의 사당./ 위태로운 때 필마로 지나며/ 서글픈 한줄기 긴 휘파람.' (이병연 시인의 동묘 시 전문이다). 장사(壯士)는 골격이 굳센 사람, 관운장을 말한다. 300여년 발효된 시어다. 현대의 시를 감상 하는 것처럼 팽팽하다. 시인의 쓸쓸한 휘파람 소리가 들린다.

겸재 정선은 친구 이병연 시인의 덕으로 금강산의 진경산수를 후세에 남길 수 있었다. "인생은 누구를 만나서 무슨 생각을 하며 사는가"에 따라서 운명을 가른다는 말이 있다.

겸재가 이병연 시인의 병문안을 마치고 친구를 위하여 '인왕제색도'(仁王霽色圖. 국보216호. 종이에 수묵)를 그렸다. 그가 살고 있는 기와집도 그려 넣었다. 이병연이 병환에서 일어나면 인왕제색도를 주려는 것. 이병연은 친구 겸재의 마음을 받지 못하고 말았다. 그림이 완성 된 후 4일 후인 윤 5월29일 세상을 떠난다. 비가오지 않는 인왕산은 화강암으로 흰색에 가깝다. 겸재가 그린 인왕제색도는 검다. 비가온 뒤의 인왕산인지, 이병연이 병상에 누워있는 겸재의 마음인지 상상할 수밖에.

그림은 겸재가 보관을 할 수밖에 없었다. 겸재가 세상을 떠나자 손자는 당시 권력자 심환지(1730~1802)에게 그림을 넘겼다. 그림은 서울과 개성을 넘나들다가 서예가 손재형에게 간 것을 이병철 삼성 창업주가 사들였다. 작품은 국가에 헌납되었다. 가격은 1000억 원대로 국내 회화 중 최고가다.

이병연 시인을 위해 그린 '인왕제색도' 걸작의 진정한 주인은 누구인가.

- 최창일 시인(이미지문화학자, '시화무' 저자).

i24@daum.net
배너
강서일 시인, 다섯 번째 시집 <우주의 벌레 구멍> 출간…우주의 심연에서 마음의 언어를 길어 올리다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한국 현대시단에서 묵직한 울림과 날카로운 사유로 독자들에게 다가온 강서일 시인이 다섯 번째 시집 <우주의 벌레 구멍>(한국문연 刊)을 출간했다. 전작 <고양이 액체설> 이후 5년 만에 내놓은 이번 시집은, '마음의 언어'라는 본질적 화두를 우주적 상상력과 철학적 사유로 풀어내며, 인간 내면의 마음을 물과 구름, 파도 같은 이미지로 풀어내며 우주적 차원의 상상력으로 확장한 시편들로 독자들을 ‘내면의 벌레 구멍’으로 초대하고 있다. 강서일 시인은 '시인의 말'을 통해 "시간과 공간, 공기까지 시 속에 묻어 두었다"라며 "살펴보니, 시편마다 그때의 시간과 공간, 함께 머물렀던 공기까지 그대로 묻어 있다. 지금의 생각이나 감각과는 조금 다를 수 있겠지만 그때 그 순간의 느낌을 존중하기로 한다"고 고백한다. 이는 곧 지나간 시간을 붙잡으려는 것이 아니라, 그 순간순간의 감응이 여전히 현재 속에서 살아 있음을 인정하는 태도로 그의 시가 단순한 기록을 넘어, 순간의 감각을 영원의 언어로 보존하려는 작업임을 드러낸다. 시집은 총 4부로, 일상과 우주의 경계를 넘나 드는 60여 편의 시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 &l
서울특별시한궁협회,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 성료
(서울=미래일보) 서영순 기자 = 서울특별시한궁협회가 주최·주관한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가 지난 17일, 서울 노원구 삼육대학교 체육관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약 250명의 선수, 임원, 심판, 가족, 지인이 함께한 이번 대회는 전 세대를 아우르는 스포츠 축제로, 4세 어린이부터 87세 어르신까지 참가하며 새로운 한궁 문화의 모델을 제시했다. 대회는 오전 9시 한궁 초보자들을 위한 투구 연습으로 문을 열었다. 이어진 식전 공연에서는 전한준(87세) 작곡가의 전자 색소폰 연주로 '한궁가'가 울려 퍼졌으며, 성명제(76세) 가수가 '신아리랑'을 열창했다. 또한 김충근 풀피리 예술가는 '찔레꽃'과 '안동역에서'를, 황규출 글벗문학회 사무국장은 색소폰으로 '고향의 봄'을 연주해 감동을 더했다. 마지막으로 홍소리 지도자가 '밥맛이 좋아요'를 노래하며 흥겨움을 더했다. 오전 10시부터 열린 개회식에는 강석재 서울특별시한궁협회 회장을 비롯해 허광 대한한궁협회 회장, 배선희 국제노인치매예방한궁협회 회장 등 내빈들이 참석해 대회의 시작을 축하했다. 김도균 글로벌한궁체인지포럼 위원장 겸 경희대 교수와 김영미 삼육대 교수, 어정화 노원구의회 의원 등도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광복회, '8월 이달의 독립운동 정미의병 기념식' 개최…"경술국치, 쓰라린 역사를 기억하고 의병정신 전통으로 이어 가자" (서울=미래일보) 이연종 기자= 광복회(회장 이종찬)는 29일 오후 2시,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 컨벤션홀에서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과 이중근 대한노인회 겸 부영그룹 회장, 김관진 전 국정원장을 비롯해 유족과 독립운동 유관단체 및 광복회원 250여명이 모인 가운데, '광복80주년 8월, 이달의 독립운동 정미의병' 기념식을 개최했다. 국가보훈부와 서울특별시, 행복도시락이 후원한 이날 기념식은 국민의례와 영상시청, 이종찬 광복회장 기념사를 비롯해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축사, 이중근 대한노인회장 겸 부영그룹 회장 축사에 이어, 국가부훈부 장관의 민긍호의병장기념사업회와 운강이강년의병대장기념사업회에 대한 기념패 수여, 광복회장의 춘천의병마을에 대한 감사패 수여식, 김상기 충남대학교 명예교수의 ‘자유와 정의를 위한 백성의 투쟁, 정미의병’ 주제 강연 순으로 진행됐다. 이종찬 광복회장은 기념사에서 "오늘은 경술국치의 날로 1910년 8월 29일 우리가 주권을 빼앗겼다"며 "이런 쓰라린 역사를 우리가 다 기억하고 전통을 이어가야 한다”고 의병정신에 대해 강조했다. 이 회장은 그러면서 "대한제국의 군대가 강제해산 당하던 날, 정미 의병이 일어났고, 그 의병들이 독립군이 되

정치

더보기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