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30 (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칼럼] 최창일 시인 '애(愛)'

'애(愛'는 철학의 연구 대상이며 시인들의 애장품과 같은 것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허드슨 강가의 이른 아침이다. 산책에서 마주친 백인 여자 하얀 어깨 위에 '愛(애)' 자 문신이 눈길이 간다. 백인 여자는 중국 글씨인 '애' 자를 어깨에 왜 새겼을까?

시도반은 허드슨 강가의 30년 전 백인 여자의 어깨 문신에 의문을 갖는다. 학인은 '애'에 대하여 말한다. '애'는 질문이 많다. '애'는 사랑하는 것이다. 말이 많은 '애', 말수가 적은 '애', 시를 제법 쓰는 문예반 '애'.

우리는 '애' 속에 살고 있다. 재미있는 '애' 말을 한다.

다시 궁금하다. 미모의 백인 여자는 동양의 남자와 무슨 관계가 있었을까?. '애' 자를 새긴 30대의 여자는 왜 혼자서 이른 아침 산책을 할까?. 애인은 동양에 있으며 혼자서 고향 뉴욕집에 온 것일까?. 추리는 적절한 답을 못 낸다. 유추, 분명한 것은 동양의 남자와 관련 문신일 것이다.

중국, 한국, 일본, 홍콩, 대만 등의 남자와 관련이 있지 않을까. 아니다. 여자는 언어(言語)를 사랑하므로 한자어인 '애'라는 글자에 애착 있었을 것이다. 선명하게 보이는 어깨 위에 멋으로 새겼을 수도 있다. 언어에 '애(愛)'를 할 수 있지 않은가. 어디까지나 상상의 나래일 뿐이다.

248년 전의 소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은 '애(愛)'를 그렸다. 출판된 책은 유럽을 술렁거리게 했다. 왕족이든 귀족이든 너 나 할 거 없이 서로 읽어댔다. 세계최초의 베스트셀러라는 평도 얻어냈다. 저자인 괴테는 인세를 많이 받아 부를 축적할 것 같지만 그러지 못했다. 당시의 출판도 애송이 작가인 괴테에게 인세를 인색하게 주었다.

유럽 전역에 해적판이 나돌아 괴테에게 돌아온 것은 유명세 뿐이었다. 보답의 결과라면 소설을 보고 감탄한 바이마르 공화국 고위 귀족인 칼 폰 아우구스트 공작이 그를 초청해 공무원으로 고용했다. 괴테는 3년을 공무원으로 지내면서 돈을 두둑이 받았다.

자유인 괴테는 공무원이 지겨웠다. 공작에게 이탈리아로 여행을 간다면서 공무원을 그만두었다. 괴테의 나이 30이었다. 아우구스트 공작은 나중에 괴테를 친구같이 여겨 늘그막까지 친하게 지냈다.

괴테의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은 한마디로 요약하면 '애(愛)'를 절절히 그린 소설이다. 나폴레옹이 전쟁터에서 이 책을 가지고 다녔다. 16번을 읽고 또 읽었다. 나폴레옹은 이 책을 토대로 소설을 써봤다. 뜻대로 써지지 않았다. 독일을 점령한 나폴레옹은 괴테와 만나는 만족을 가졌다.

문학작품에서 ‘애’는 다양하다. 겸허한 사랑은 포학보다 훨씬 위력적이고 경외 시 되는 힘이다.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삶에 대한 절망 없이 삶에 대한 사랑은 있을 수 없다. (알베르 카뮈) 사랑할 때는 사상 따윈 문제가 아니다. 내 사랑하는 여인이 나와 똑같이 음악을 좋아하느냐도 문제가 아니다. 결국, 어느 사상에도 우열은 없다. 세상에는 오직 하나의 진리밖에 없다. 그것은 서로 사랑하는 일이다. (로맹 롤랑). 사랑받는 것은 행복이 아니고 사랑하는 일이야말로 행복이다. (헤르만 헤세) 사랑한다는 것은 둘이 마주 보는 것이 아니라, 같은 방향을 바라보는 것이다.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사랑이란 무한한 관용, 자세한 것에서 오는 법열, 무의식적인 찬미, 완전한 자기 망각. (J.샤르돈느) 영원히 사랑하지 않는 자는 사랑하는 자가 아니다. (에우리피데스) 사랑하라, 인생에서 좋은 것은 그것뿐이다. (조르주 상드).

문학 속 '애'를 나열하면 노트가 100권으로 부족할 것이다. 성경에서 '애'는 특별하다. 네 이웃을 내 몸과 같이 사랑하라. 성경의 대표적 '애'의 강조다. '애'를 그린 영화는 수를 세지 못한다.

근작 <영화로 사랑할 땐 누구나 최악이 된다>(요아킴 트리에 감독)는 코미디 영화다. '애'를 그린다는 것은 '최악'과 '최고'라는 수식이 동반된다. '애'는 그만큼 어려운 것에 속한다. 성경이 '애'에 중심을 둔 것은 그만큼 과제가 크다는 증거다. 역사에 커다란 발자국을 남긴 사람들은 모두가 '애'를 하지 않은 사람은 없다.

혼자서 의식하고 혼자서 시간을 영위하는 것은 ‘애’에 대한 모독이 된다. '애'를 하는 것은 희망의 기회이자 인류에 대한 위대한 협력이다. '애'는 가족을 만들고, 동네를 만들고, 나라를 만들기 때문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위대한 제품들은 애를 위한 물건들이다. '애'는 섬세한 감성의 마음이 하는 것들이다. '애'는 철학의 연구 대상이며 시인들의 애장품과 같은 것이다.

시간은 흘러 허드슨 강가의 백인 여성도 어언 나이가 60이 전후가 되었을 것이다. 여자는 어떤 모습의 '愛(애)'로 살고 있을까?

- 최창일 시인(이미지문화학자, '시화무' 저자).

i24@daum.net
배너
서울특별시한궁협회,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 성료
(서울=미래일보) 서영순 기자 = 서울특별시한궁협회가 주최·주관한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가 지난 17일, 서울 노원구 삼육대학교 체육관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약 250명의 선수, 임원, 심판, 가족, 지인이 함께한 이번 대회는 전 세대를 아우르는 스포츠 축제로, 4세 어린이부터 87세 어르신까지 참가하며 새로운 한궁 문화의 모델을 제시했다. 대회는 오전 9시 한궁 초보자들을 위한 투구 연습으로 문을 열었다. 이어진 식전 공연에서는 전한준(87세) 작곡가의 전자 색소폰 연주로 '한궁가'가 울려 퍼졌으며, 성명제(76세) 가수가 '신아리랑'을 열창했다. 또한 김충근 풀피리 예술가는 '찔레꽃'과 '안동역에서'를, 황규출 글벗문학회 사무국장은 색소폰으로 '고향의 봄'을 연주해 감동을 더했다. 마지막으로 홍소리 지도자가 '밥맛이 좋아요'를 노래하며 흥겨움을 더했다. 오전 10시부터 열린 개회식에는 강석재 서울특별시한궁협회 회장을 비롯해 허광 대한한궁협회 회장, 배선희 국제노인치매예방한궁협회 회장 등 내빈들이 참석해 대회의 시작을 축하했다. 김도균 글로벌한궁체인지포럼 위원장 겸 경희대 교수와 김영미 삼육대 교수, 어정화 노원구의회 의원 등도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희망브리지, 한국 재난 특성 반영한 '노인 재난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회장 송필호)는 고령사회에 발맞춰 한국 재난 특성을 반영한 '노인 재난안전교육 프로그램’을'시행할 예정이라고 27일 밝혔다. 이번 교육 프로그램은 기후위기로 재난 피해가 커지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65세 이상이 전체 인구의 20%가 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재난 사망자의 61%가 60세 이상 고령자였으며, 2025년 대형 산불 사망자 31명 중 83%가 고령층이었다. 질병관리청 통계에서도 2023년 온열질환자 중 고령자 비율은 40%를 넘었고, 폭염 사망자 역시 절반 이상이 노년층이었다. 협회는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노년층의 신체적, 인지적 특성을 반영한 체험 중심의 맞춤형 교육을 통해 노인 스스로가 재난 대응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했다. 특히 고령인구가 집중된 재난다발지역을 중심으로 방문형 교육을 실시해 교육 접근성을 높이고, 재난안전 사각지대를 줄이는 데 주안점을 뒀다. 교육은 자율 대응이 가능한 노인과 전면적인 지원이 필요한 노인으로 대상자를 구분해 단계별로 운영되는 것이 특징이다. 요양시설, 복지센터 등 노년층 생활환경에 밀착한 장소에서 진행

정치

더보기
김동연 경기도지사, "경기도는 유리천장 깨기를 공직사회에서부터 실천" (수원=미래일보) 이연종 기자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경기도는 유리천장 깨기를 공직사회에서부터 실천해왔으며 여러 여성 정책을 전국 최초로 시행했다"며 계속해서 경기도 여성리더들과 함께 노력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김동연 지사는 26일 경기아트센터 대극장에서 열린 '제40회 경기여성대회' 축사를 통해 "임기 시작하고 처음 온 (여성)대회에서 제가 약속드린 바가 있다"며 "여성의 사회활동과 경제활동 참여율을 높이고 우리 사회의 유리천장을 깨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이어 "그 약속을 경기도 공직사회에서부터 실천했다"며 "3년 전과 비교해 경기도의 실국장급 여성 공직자가 두 배로 늘어났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그러면서 "과장급 여성 간부는 64% 늘어났다. 재작년 보건환경연구원장직을 처음으로 공개모집을 했는데 치열한 경쟁을 뚫고 여성 원장이 발탁됐다"며 "얼마 전에는 경기도 최초로 여성 비서실장이 발탁됐다. 여성을 특별히 우대해서라기보다는 그분들께서 우수한 능력을 가지고 계시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경기도가 전국 최초로 했던 여러 가지 여성 정책들이 다행스럽게도 새 정부의 대통령 공약에 포함이 됐다"며 "'경기도가 바뀌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