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또 2015년 한일 정부간 합의에 대해서는 진정한 문제해결 방안이 될 수 없다고 선언했지만 양국 간 공식 합의였다는 점을 감안해 재협상은 요구하지 않기로 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9일 서울 종로구 도렴동 외교부 브리핑룸에서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한일 위안부 합의 처리 방향을 발표했다.강 장관은 "피해 당사자인 할머니들의 의사를 반영하지 않은 2015년 합의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의 진정한 문제 해결이 될 수 없다"며 "2015년 합의가 양국 간 공식 합의였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음을 감안해 동 합의와 관련해 일본 정부에 재협상을 요구하지는 않겠다"고 말했다.
강 장관은 "일본 정부가 출연한 화해치유재단 기금 10억엔은 전액 우리 정부 예산으로 충당하고 이 기금의 향후 처리 방안에 대해서는 일본 정부와 협의할 것"이라며 "화해치유재단의 향후 운영 방안에 대해서는 해당 부처에서 피해자와 관련단체, 국민의 의견을 광범위하게 수렴해 후속 조치를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강 장관은 "다만 일본 측이 스스로 국제 보편 기준에 따라 진실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피해자들의 명예와 존엄 회복과 마음의 상처 치유를 위한 노력을 계속해 줄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