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규덕 외교부 대변인은 3일 오후 외교부 청사에서 진행된 정례브리핑에서 "외교부가 주관 부처로서 수차례 협의해왔다"며 "청해부대 문무대왕함의 파견 등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을 공개적으로 알리는 것은 납치세력이 압박을 느끼게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노 대변인은 정부의 이번 대응을 계기로 테러단체에 잘못된 메시지를 주고 우리 국민들이 주요한 납치 타깃이 될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 "이전에도 정부는 선박 피랍사건 등에 있어서 외교채널을 통한 안전한 석방 노력, 제반 정보제공 또 협상전략 조언 등을 통해서 측면지원을 해 왔다"고 설명했다.
노 대변인은 이어 "정부는 테러단체, 해적 등의 범죄 집단과 직접 협상하지 않는다는 기본원칙을 유지한 채로 협상에 도움 줄 수 있는 모든 조치를 취하겠다는 것"이라며 "테러 단체에게 최대한 압박을 줘 상황을 유리하게 이끌고 우리 국민이 고통 받는 상황을 단시간 내에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라고 강조했다.
노 대변인은 또 "기존의 여러 납치사건의 케이스를 검토해 본 결과, 선사 및 피해 당사자와 테러단체 간에 협상을 통해서만 문제를 해결하다 보니 사건이 필요 이상으로 장기화되는 측면이 있었다"며 "정부가 할 수 있는 역할을 좀 더 적극적으로 하는 것이 국민의 고통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겠다고 판단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오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공개수사로 전환하는 시점이 언제가 좋을지에 대해서는 또 다른 판단이 필요했었다"라며 청와대가 공개하기로 판단했느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이와 관련 노 대변인은 "(청와대와) 충분히 조율이 된 이야기"라며 “측면지원도 표현을 다시 빌리면 얼마나 뒤로 빠져 있느냐, 뒤로 빠져 있는 정도도 굉장히 차이가 많이 있을 수 있다는 차원에서 이해를 해달라"고 말했다.
아울러 노 대변인은 피랍 사건 대응 상황과 관련해 "지역의 해당 정부, 또 그쪽 지역에 해군력을 갖고 있는 외국 정부, 우리 규제국에 있는 우리 공관 등을 통해서 필요한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나이지리아 해적 9명은 지난 3월 26일(현지시간) 가나 해역에서 500t 규모의 참치잡이 어선 '마린 711호'를 납치했다가, 나이지리아 해역 쪽으로 이동 중이던 28일 오후 4시 50분 우리 국민 3명과 그리스인 1명 등 외국인 2명 등을 스피드보트에 태우고 달아나자 정부는 엠바고를 걸었다.
관련 사실이 외부에 알려질 경우 납치세력이 우리 국민의 신변이 위험해질 수 있다는 판단에서였다. 통상적으로 정부는 해외에서 납치 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언론에 엠바고를 요청하고 물밑 접촉을 통한 사건 해결을 모색해왔다.
정부는 이들의 행방을 아직까지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된다. 노 대변인은 '현재 달라진 상황이 있느냐'는 물음에 "없는 것은 아니"라면서 "있지만 일일이 설명하기 어렵다. 이해해달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정부는 지난달 31일 오후 갑작스럽게 관련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또한 청해부대 문무대왕함이 보도자료 배포에 앞서 28일 오전 9시께 인근 해역으로 긴급 이동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현지 언론에서 보도가 나왔기 때문에 엠바고 해지가 불가피했다는 입장이었다. 가나 현지 일부 언론이 관련 사건을 보도하고, 그중 일부에서 한국인 관련 이야기가 언급된 점 등을 이유로 들었다.
정부 당국자는 "(구출 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에서 여러 가지를 감안해 엠바고 해지 결정을 내렸다"고 말했다. 또 "인터넷 등을 통해 (피랍 소식이) 파급될 상황을 염두에 뒀고, 조만간 국내에도 (전해질 것을) 우려했다"고 말했다.
이어 아울러 향후 납치 세력이 협상을 요구해올 경우 대응 방안에 관해서는 "협상은 가족이나 선사가 진행하게 될 것"이라며 "(협상 진행되면)정부는 측면 지원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문무대왕함은 이달 중순께 인근 해역에 도착할 예정이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