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세균 전 서울대학교 교수는 축사를 통해 "갈 길을 잃고 있는 학문이 어디로 가야하는지를 가르쳐 주는 교수"라면서 "정년퇴임을 하시는데 청년 같은 교수를 끝내고 장년 같은 교수로서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성장해서 업적을 남기실 것"이라고 축하했다.
강내희 전 중앙대학교 교수는 축사를 통해 "노동사 연구를 그동안 내실 있게 해오셨다"면서 "교수님은 연구자와 지식인의 상을 겸비하섰다. 연구자의 면모를 계속해서 봤으면 한다. 앞으로 여유있는 시간을 통해 조화로운 관계를 더욱 발전시키고 좋은 성과를 내셨으면 한다"고 축하했다.
이 종구 교수는 퇴임사를 통해 "노동사 연구에 참여하면서 저는 사회과학 연구자로서의 부족함을 실감하는 기회도 가지게 되었다"면서 "민청학련 사건 이후 사실상 10년간 대학에서 하는 정통적인 학문의 세계를 떠나 있었다는 구차한 변명으로 메울 수 없는 결점인 문제의식과 직감으로 복잡한 사회현상을 설명하려는 버릇을 깨달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이어 "연구 결과가 학계에서 통용되려면 편법을 사용해 적당히 넘어갈 생각을 하지 말고 기존 연구와 방법론에 대한 치밀한 검토를 거쳐 자료 수집·분석, 이론적 논리 구축의 과정을 밟아 나가야 한다는 지극히 초보적인 원칙을 새삼스럽게 확인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이 같이 강조한 후 "또한 구술기록을 통해 노동자와 민중의 생활에 대한 기록을 풍부하게 접할 수 있었던 것도 큰 행운이었다"면서 "그러나 여건이 불비한 대학에 설치된 연구소에서 연구 기반의 제도화를 제대로 추진하지 못한 것은 정말 죄송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2002년경에는 성공회대 노동사연구소 소장을 역임한 후 2018년 2월 까지 재직했는가 하면, 산업사회학회 회장, 한국산업노동학회 회장, 성공회대학교 부총장 등을 역임한 후 2018년 8월 정년퇴임 했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