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회장은 이날 서울 오전 서울 효창동 백범 김구기념관 컨벤션홀에서 열린 광복회 제21대 회장 취임식에서 취임사를 통해 "육군참모총장 1대~19대까지 전부 민족을 배반한 친일파가 자리잡았다"라며 "친일청산 없이 대한민국은 국민통합이 불가능하다"라고 이같이 말하며 광복회의 일대변혁을 예고했다.
김 회장은 "친일청산 없이 남북통일도 불가능하며 적폐청산의 완결은 친일청산이다"라며 "친일청산을 통해 대한민국을 애국의 대상이 되는 나라로 만들고 싶다"며 강하고 단호한 어조로 '친일청산'을 강조했다.
김 회장은 이어 "독립유공자와 국가유공자는 근본이 다르다"며 "친일반민족세력이 독립유공자와 국가유공자를 구분하지 않고 독립유공자에 국가유공자를 슬쩍 기워놓았다. 독립유공자를 대우하는 법과 제도를 만들겠다"고 21대 신임 광복회장으로서 포부를 밝기기도 했다.
김 회장은 그러면서 "문재인 대통령의 역사 인식이 광복회의 역사 인식을 같이 공유한다"며 "통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항일운동을 했던 남과 북의 양심이 하나가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취임식에는 피우진 국가보훈처장, 민병두 국회 정무위원장, 지선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을 비롯한 약 1000여명이 참석했다. 문희상 국회의장, 박원순 서울시장, 한완상 100주년위원회장 등은 영상 축사를 보내 광복회의 발전을 기원했다.
이날 광복회는 광복회의 위상을 재정립하기 위해 취임식 초청인사를 기존의 광복회원과 보훈단체장 위주에서 벗어나 이를 포함하여 제주 4·3항쟁, 여순항쟁, 대구항쟁, 4·19, 6월항쟁, 촛불항쟁 등 다양한 분야의 사회단체를 망라해 초청했다.
이에 따라 이날 취임식 참석자에 민족운동, 통일운동, 민주화운동 진영 인사들이 대거 포함됐다.
이에 대해 김 회장은 "앞으로 광복회가 모든 사회단체의 구심체 역할을 해야하기 때문"이라며 "특히 우리민족의 향후 과제인 분단 극복과 한반도 평화통일에 대해 우리 국민의 정신적인 향도역할을 하는데 광복회가 선두에 서겠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피 처장은 이어 "대한민국 임시정부 기념관을 2021년까지 완공하겠다"며 "광복회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한다"고 말했다.


김 전의장은 이어 "3.1운동 100주년이 된 올해 앞으로의 100년을 기대한다"며 "김원웅 광복회장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한다"고 축하의 말을 전했다.

함 이사장은 이어 "역사적 성찰이 있어야 한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이 6일 있었던 현충일 추념사에서 김원봉 선생의 서훈에 대해 얘기한 것에 대해 기뻤다"며 "우리 안에 내재된 친일청산을 먼저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선 스님은 이어 "나라와 역사가 흔들리는 것은 이 두 정신이 부족하기 때문"이라며 "광복회가 이를 바로 잡는데 노력해 줄 것"을 당부했다.
김 회장은 광복회장 출마 공약으로 △광복회를 국가보훈처에서 국무총리실 산하단체로 이관 △'독립유공자'를 '국가유공자'와 구분해 독립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 국가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 단체 설립법 등 관련법 개정 △대일 청구권 자금으로 설립된 포스코와 도로공사 등 11개 기업에 광복회가 추천하는 이사 1명 추천권 확보 △‘친일찬양 금지법’ 제정 △국립묘지에 친일 반민족 행위자의 안장을 금지하는 상훈법 개정 등을 내세웠다.

대학시절 굴욕적 한일회담 반대투쟁 주모자로 투옥된 바 있는 김 회장은 14대, 16대, 17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일제잔재청산 의원모임 대표를 비롯하여 유네스코 한국위원, 식당 '하로동선' 운영 대표, 민화협 공동의장, 남북민족평화축전 조직위원장, 개혁당 대표, 국회 윤리특별위원장, 반기문 유엔사무총장 선거대책위원장,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장, 단재 신채호선생기넘사업회 회장, 항일독립운동가단체연합회 대표를 역임했으며, 사회적 협동조합 '허준약초학교' 이사장과 조선의열단기념사업회 회장을 맡고 있다.
김 회장은 과거 국회의원 시절 생존애국지사 예우금 예산확보, '독립유공자예우에 관한 법률' 제정, '국민학교' 명칭 '초등학교'로 개정, '친일인명사전' 예산 지원, 일제강제동원 진상규명 및 보상법 제정,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 국가 귀속에 관한 특별법 제정, 친일반민족행위자 국립묘지 안장 금지를 위한 상훈법개정안 제출, 무국적 순국선열의 국적회복을 위한 국적법 개정 추진, 일제가 약탈한 우리문화재(북관대첩비·조선왕조실록·조선왕실의궤) 환수 등에 노력했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