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익표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은 11일 서면브리핑을 통해 "대한민국 민주주의와 인권운동의 거목이었던 여성지도자 이희호 여사의 삶을 깊은 존경의 마음을 담아 추모한다"고 밝혔다.
홍 수석대변인은 "대한민국은 또 하나의 큰 별을 잃었다""며 "김대중 전 대통령과 이희호 여사의 삶은 그 자체로 대한민국 현대사였다"고 회고했다.
홍 수석대변인은 "김대중 전 대통령의 동반자이자 가장 가까운 비판자로서, 독재세력과 싸우는 민주화 투쟁의 동지로서, 매섭고 엄혹한 격정의 세월을 함께 헤쳐 왔다"면서 "독재정권의 서슬 퍼런 탄압도, 죽음을 넘나드는 고난도, 이 땅의 민주주의와 평화를 향한 두 분의 굳은 의지를 꺾을 순 없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이 김대중 전 대통령과 이희호 여사의 유지를 받들어 모든 국민이 더불어 잘사는 세상, 공정하고 정의로운 대한민국, 화해와 협력의 한반도 시대를 만들어나가겠다"고 다짐했다.
민경욱 자유한국당 대변인은 논평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의 '반려자'이자 '정치적 동지'였던 이희호 여사는 민주주의를 위해 한평생을 살아왔다"면서 "고인께서 민주주의, 여성 그리고 장애인 인권운동을 위해 평생 헌신했던 열정과 숭고한 뜻을 기리며,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고 밝혔다.
민 대변인은 "유가족 및 친지 분들께 삼가 깊은 애도를 표하며, 국민과 함께 슬픔을 나눈다"고 말했다.
이종철 바른미래당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고 이희호 여사는 김대중 전 대통령을 만나 47년간 내조한 배우자이자, 민주화 동지를 넘어 스스로가 민주화의 큰 나무로 무성히 잎을 피워낸 민주화 운동가"라며 "김 전 대통령이라는 거목을 ‘키우고 꽃피워낸’ 건 역사였지만, 국제적 구명운동과 석방운동 등 김 전 대통령을 ‘지켜낸’ 건 여사의 존재였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고 말했다.
이 대변인은 "고인은 선구적 여성운동가로서, 김대중 전 대통령의 내조자이자 민주화 동지이며 정치적 조언자로서, 또 대한민국 현대사의 위인으로서 가히 파란만장한 생을 살았고, 눈을 감았다"면서 "꿈길에서 아스라이 손을 놓았을 김 전 대통령을 만나 사무친 그리움을 풀고, 헤어짐 없는 영원한 곳에서 한결같이 아름답고 행복하시기를 기원한다"고 밝혔다.
박주현 민주평화당 수석대변인은 10일 별세와 동시에 논평을 통해 "이희호 여사님은 김대중 대통령의 위대한 정치적 여정에 동행하기 전부터 우리나라 여성운동가의 효시로서 깊은 족적을 남겼다"며 "여성들의 인권신장을 위해, 여성 정책에 앞장선 여성운동의 선각자였다"고 회고했다.
박 수석대변인은 "이희호 여사님의 여성 리더적인 면모는 김대중 대통령의 인생의 반려자를 넘어 독재 속에서 국민과 역사에 대한 믿음을 굳건히 지켜낸 정치적 동지로 자리했다" "정치적 고난과 역경을 이겨낸 김대중 대통령님의 삶에 이희호 여사님이 계셨던 것을 국민들은 잊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여사님이 걸었던 여성, 민주주의, 인권, 사랑의 길을 따라 전진하겠다"며 "‘이희호’라는 이름은 항상 기억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정미 정의당 대표는 보도자료를 통해 "고인은 군부독재 치하에서 민주화 운동의 동지로서 김대중 대통령과 함께 모진 수난을 겪었다"면서 "향후 장례 일정에서 고인의 높은 뜻을 기리고 위해 모든 예우를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미 대표는 "고인의 필생의 신념이었던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위해, 6.15 공동선언을 계승 실천하고, 한반도 평화 번영을 위한 평화 협치에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을 다짐한다"면서 "성평등, 민주주의, 평화로 상징되는 당신의 뜻을 반드시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신창현 민중당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이희호 여사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정치적 동지이자 반려자로서 독재정권의 가혹한 탄압에도 굴하지 않고 맞서 싸운 민주투사였다"면서 "생전에 여성의 인권을 존중하고 높이는 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된 사람으로 기억되기를 바라셨던 이희호 여사의 큰 족적은 국민들에게 길이 기억될 것"이라고 말했다.
신 대변인은 "유가족에게 깊은 위로와 조의를 보낸다"며 "이희호 여사의 삶을 추모하며 영면을 기원하다"고 밝혔다.
한편 1922년 의사 아버지와 어머니 슬하에 6남2녀중 넷째로 서울에서 태어난 이 여사는 대표적인 국내 여성운동가로 활동하다, 1962년 고 김 전 대통령과 결혼해 정치적 동지로서 격변의 현대사를 걸어왔다.
이희호 여사의 빈소는 신촌 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 특 1호실이며, 조문은 11일 오후 2시부터 가능하다. 발인은 오는 14일 오전 6시 세브란스 장례식장에서 사회장으로 치러진다.
장례 예배는 당일 오전 7시 신촌 창천교회에서 집전하며, 장지는 서울 동작동의 국립현충원에 안장된다.
redkims6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