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30 (수)

  • 맑음동두천 10.6℃
  • 맑음강릉 18.7℃
  • 맑음서울 13.2℃
  • 맑음대전 13.5℃
  • 맑음대구 15.7℃
  • 맑음울산 12.0℃
  • 맑음광주 14.6℃
  • 맑음부산 13.3℃
  • 맑음고창 9.9℃
  • 구름많음제주 14.0℃
  • 맑음강화 8.5℃
  • 맑음보은 9.6℃
  • 맑음금산 10.5℃
  • 맑음강진군 10.9℃
  • 맑음경주시 12.9℃
  • 맑음거제 13.3℃
기상청 제공

권대근 한국PEN번역원 번역위원, '한국현대수필대표선 영문 번역집' <새들은 좌우 날개로 난다 Birds fly on their left and right wings> 발간

송명화 주간 "우리 수필을 국제PEN에 가입한 영미권 국가 PEN본부, 공공도서관, 한국어학과 개설 대학 등 외국에 알리는 계기가 될 것"
권대근 교수 "우리 문학의 국제적 교류와 활성화를 위한 번역은 가장 기본적으로 뒷받침 되어야 할 인프라"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한국문학세계화위원회(위원장 권대근)는 한국 현대 수필가 33인의 대표작을 영문으로 번역해 수록한 영문 수필집 <새들은 좌우 날개로 난다 Birds fly on their left and right wings>를 에세이문예사를 통해 출간했다.

세 번째 영문 수필선인 이 책의 번역은 국제PEN한국본부 부산지역위원회 회장이자, 한국PEN번역원 번역위원인 권대근 교수(대신대학원대학교)가 전적으로 맡아서 했다.

수록 작가는 에세이문예 주간인 송명화 수필가를 비롯하여 33명이며, 수록작가와 작품은 다음과 같다.

전남일보 신춘문예 출신인 송명화(Song Myeong-hwa)의 <여보세요 Hello?>, 충청문화원장인 강전섭(Kang Jeon-seob)의 <홍시 Ripe Persimmon>, 한국문인협회 수필분과 회장인 권남희 (Kweon Nam-heui)의 <꽃춤 A Flower Dance>, 해인문학상 수상작가인 권정순(Kweon Jeong-soon)의 <해를 머금은 사찰 A Temple Filled Sun>, 한국본격문학가협회 이사인 김소예(Kim So-ye)의 <동굴생활과 조정실 213호 Cave Life and Coordination Room 213>, 한국문인 출신 김옥희(Kim Ok-heui)의 <천리향 Daphne Odora>, 한국산문문학상 수상작가인 김인숙(Kim In-sook)의 <하얀 고무신 White Rubber Shoes>, 한국수필문학상 수상작가인 김자인(Kim Ja-in)의 <내가 웃는다 I Smile>와 <꿈꾸는 작은 새 A Dreaming Little Bird>, 농민신문 신춘문예 출신인 김종희(Kim Jong-heui)의 <나는 날마다 신화를 꿈꾼다 I Dream of a Myth Every Day>,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창작기금 수혜자인 김지형(Kim Ji-hyeong)의 <한 번도 가지 않은 길 A Road that Has Never Been Taken>, 아르코문학창작지원금 2회 수혜자인 박소현(Park So-hyeon)의 <내성행상불망비 The Stele of Iron of Remembering the Merchants in the Naeseong Traditional Market>, 에세이문예작가상 수상작가인 박영선(Park Yeong-seon)의 <연골 The Cartilage>, 그리고 재미 수필가인 박인애(Park In-ae)의 <틀을 깨다 Escape the Daily Routine>, 연암박지원문학상 수상작가인 박태병(Park Tae-byeong)의 <모자철학 On the Philosophy of Hats>과 그 소녀 , 세종문학상 수상작가인 배명란(Bae Myeong-ran)의 <서래섬의 실루엣 Seorae Island's Silhouette>, 인도네시아에서 활동하는 한국문인협회 인니지부장 서미숙(Seo Mi-sook)의 <맑은 향기 A Clear Scent>, 산문집 '젖이 돌다'의 저자 송성련(Song Seong-ryeon)의 <낙관 Signature>, 한국문학백년상 수상 작가인 유병숙(Yu Byeong-sook)의 <그분이라면 생각해 볼게요 I'll Consider It If It's Him>, 세종문학상 수상작가인 이길순(Lee Gill-soon)의 <이불 Cotton Conforters>, 한국산문문학상 수상작가인 이마리나(Lee Marina)의 <내 안에 네가 있다 You're in Me>, 세종문학상 수상작가인 이명순(Lee Meong-soon)의 <까마귀 울음 Crowing>, 청향문학상 수상작가인 이운순(Lee Un-soon)의 <가시 Thorn>, 에세문예작가상 수상작가인 이종건 Lee Jong-geon의 <틈 Crack>, 에세이문예 출신 작가인 정경란(Jeong Gyeong-ran)의 <시댁 가는 길 The Way to My In-laws'>, 신곡문학상 수상작가인 정여송(Jeong Yeo-song)의 <쉼표 Comma>, 부산시단작품상 수상작가인 조경숙(Jo Gyeong-sook의 <성인식 Coming of Age Ceremony>, 한국본격문학가협회 이사인 조영희(Jo Yeong-heui)의 <느티나무 Neptidia Tree>, 에세이문예 출신인 지향숙(Ji Hyang-sook)의 <소록도 Sorokdo>, 한국수필문학상 수상작가인 최복희(Choe Bok-heui)의 <겨울숲 Winter Forest>과 <촌닭의 변신 Transformation of a Hillbilly>, 울산문학상 수상작가인 최옥연(Choe Ok-yeon)의 <노도 가는 길 The Road to the Nodo>, 한국문인협회 부이사장인 최원현(Choe Weon-hyeon)의 <햇빛 마시기 Basking in the Sun>, 해양문학상 수상작가인 최재선(Choe Jae-seon)의 <못 A Nail>, 번역자인 권대근(Kweon Dae-geun)의 <골목을 걷다 Walk Down the Alley>가 게재되었다.

송명화 한국문학세계화위원회 사무총장은 "우리 한국수필 작품들이 세계로 나아가 수필 속에 담긴 한국 고유의 정서와 풍습을 세계인들이 이해하고 사랑함으로써 한류가 더욱 확산되고 한국수필이 더 잘 알려질 것으로 믿고 영문수필집 발간을 기획했다"면서 "이번에 권대근 교수가 번역한 세 번째 수필 번역집은 우리 수필을 국제PEN에 가입한 영미권 국가 PEN본부, 공공도서관, 한국어학과 개설 대학 등 외국에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소설가 한강의 '채식주의자'가 맨부커상을 받은 데 영향을 받아, 한국수필 번역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되었다는 대한민국 수필학 대한명인 권대근 교수는 "번역의 중요성은 모든 학문에 공통적이지만, 특히 우리 문학의 세계화에서는 필수적이다"라며 "따라서 성실한 번역을 장려하는 제도와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권 교수는 이어 "더 늦기 전에 한국 문학의 세계화를 구축하는 번역 작업에 대한 지원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어야 할 것이다"라며 "우리 문학의 국제적 교류와 활성화를 위한 번역은 가장 기본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할 인프라다"라고 밝혔다.

권 교수는 그러면서 "게다가 번역은 제2의 창작이라고 할 만큼 그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며 "글로벌 시대를 맞이하여 정부와 민간 차원의 번역에 대한 관심이 절실하다"고 역설”했다.

i24@daum.net
배너
서울특별시한궁협회,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 성료
(서울=미래일보) 서영순 기자 = 서울특별시한궁협회가 주최·주관한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가 지난 17일, 서울 노원구 삼육대학교 체육관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약 250명의 선수, 임원, 심판, 가족, 지인이 함께한 이번 대회는 전 세대를 아우르는 스포츠 축제로, 4세 어린이부터 87세 어르신까지 참가하며 새로운 한궁 문화의 모델을 제시했다. 대회는 오전 9시 한궁 초보자들을 위한 투구 연습으로 문을 열었다. 이어진 식전 공연에서는 전한준(87세) 작곡가의 전자 색소폰 연주로 '한궁가'가 울려 퍼졌으며, 성명제(76세) 가수가 '신아리랑'을 열창했다. 또한 김충근 풀피리 예술가는 '찔레꽃'과 '안동역에서'를, 황규출 글벗문학회 사무국장은 색소폰으로 '고향의 봄'을 연주해 감동을 더했다. 마지막으로 홍소리 지도자가 '밥맛이 좋아요'를 노래하며 흥겨움을 더했다. 오전 10시부터 열린 개회식에는 강석재 서울특별시한궁협회 회장을 비롯해 허광 대한한궁협회 회장, 배선희 국제노인치매예방한궁협회 회장 등 내빈들이 참석해 대회의 시작을 축하했다. 김도균 글로벌한궁체인지포럼 위원장 겸 경희대 교수와 김영미 삼육대 교수, 어정화 노원구의회 의원 등도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국민주권개헌행동' 등 시민사회 일각, "내란청산·사회대개혁 위해 6.3대선에 개헌하라"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최근 내란 사건 재판에서 서울중앙지법 형사 25부(재판장 지귀연 부장판사)가 내란 우두머리 혐의를 받고 있는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베풀어준 각종 특혜 등이 불공정성 논란을 야기했다. 조희대 대법원장은 항소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은 이재명 민주당 대통령 예비후보(항소심 선고 당시 민주당 대표) 관련 공직선거법 위반혐의 상고사건을 직권으로 전원합의부에 넘기고 신속심리를 결정하고 진행하는 등 전례 없이 개입했다. 사법부 재판이 파격적일 정도의 이례성 등 극명한 대조를 이루며 진행되자 그 배경과 향후 전망 등에 국민적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그리하여 내란범죄자들에 대한 사법단죄와 정권교체 및 사회대개혁 등이 쉽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가 증폭되고 있다. 이처럼 복잡하고도 미묘한 정세에서 원래부터 대선 이후 개헌하자는 압도적 다수에 달하는 시민단체들은 물론 동시실시를 주장해 왔던 얼마 안 되는 개헌단체들마저 대부분 내년 2025년 지방자치선거에서 개헌하자는 방향으로 입장을 선회하기 시작했다. 다수 국민과 언론 역시 개헌은 이미 물 건너갔다는 인식 아래 대선과 동시에 개헌하자는 주장에 귀를 기울이지 않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이제 대선과

정치

더보기
옥재은 서울시의원, 중구 주민 남산터널 혼잡통행료 50% 감면 조례 본회의 통과 환영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옥재은 서울시의회 의원(주택공간위원회, 중구2, 국민의힘)은 지난 25일(금) 중구 주민에 대한 서울시의 남산터널 혼잡통행료 50% 감면 개정 조례안이 본회의를 통과한 것에 대하여 적극 환영한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1996년 11월 '서울시 혼잡통행료 징수 조례'를 제정하여 남산 1·3호 터널을 통과하는 양방향 차량에 통행료 2,000원을 부과해왔으며, 작년 1월 15일부터는 도심 방향 진입 차량에만 통행료를 징수하고 상대적으로 덜 혼잡한 외곽 방향으로 나가는 차량에 대한 통행료는 걷지 않고 있다. 그러나 옥 의원은 27년 만에 통행료 개선이 이뤄지기는 하였으나 이는 반쪽짜리 개선으로 남산터널 인근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일상적인 이동에도 누적되는 통행료 납부에 대해 과중한 부담을 느끼고 있으며 불가피한 이동에도 내야 하는 통행료는 불합리한 처사라고 지적하며 서울시에 통행권 개선을 지속적으로 요청해 왔다. 이에 화답하여 서울시는 중구 거주민 소유 자동차를 대상으로 남산 1·3호 터널 혼잡통행료를 50% 감경하는 내용의 조례 개정안을 제330회 임시회에 제출하였으며, 25일 서울시의회 본회의를 통과하였다. 이번 조례 개정을 통해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