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4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詩가 있는 아침] 김형식 시인의 '봄비'

봄비는 모든 샘물과 강물의 기원…봄비 같은 지혜로 사는 전인류의 낙원

봄비

- 김형식 시인

곡우(穀雨)댁이
밭둑에 앉아
젖을 물리고 있다
보채는
봄순이
파랗게 옹알이한다

■ 감상
봄의 여신은 만물의 어머니이며, 우리 인간들은 봄의 여신인 곡우댁의 젖을 먹고 자란다. 곡우댁의 젖가슴은 우주만큼 크고, 그 시원한 젖줄기는 모든 얼어붙은 마음을 다 녹인다. 적의와 분노와 살기와 증오와 질투 등을 다 녹이고, 사랑과 용서와 화해와 믿음과 우정 등을 가르쳐 준다.

곡우댁의 젖가슴에서 쏟아지는 봄비는 모든 샘물과 강물의 기원이 되고, 우리는 모두가 다 같이 이 봄비 앞에서 어린 아기가 된다.

"봄순이/ 파랗게 옹알이한다."

봄비 같은 정치, 봄비 같은 경제, 봄비 같은 자유, 봄비 같은 지혜로 사는 전인류의 낙원은 이렇게 탄생한다.

봄의 여신은 곡우댁이고, 곡우댁은 김형식 시인의 창작품이다. "곡우穀雨댁이/ 밭둑에 앉아/ 젖을 물리고 있다"라는 아주 멋지고 탁월한 시구가 만물의 부활을 뜻하는 봄비를 쏟아지게 하고, 수많은 봄순 이들이 ‘봄비축제’를 열게 하고 있는 것이다.

김형식 시인은 대자연의 열광적인 찬양자이자 '봄비 축제'의 설계자다.

- 반경환의 명시 감상 '애지 22년 봄호' 중에서

■ 김형식 시인
김형식(金炯植) 시인은 전남 고흥에서 출생, 전남대학교 농경제학과와 무불선학대대학원을 졸업했다.

해인총림 고경총서 37권, 성철스님 법어집 11권에 심취, 불가에 입문한 후 말과 글을 기피하고 강원 심산에서 20여 년을 칩거해온 공부인이기도 하다.

김 시인은 1969년 현대문학 창작입문과정 이수하고, 성철스님 몽중 상좌로 해인총림 수좌 원융대선사로부터 법명 '인묵(印默)'을 받은 제가불자다.

시성(詩聖) 한하운의 발제자로 시성 한하운문학회 '보리피리' 편집주간, 고흥문학회 초대회장을 역임하고, 2015년 <불교문학>에 시 '그림자 둥지' 외 4편으로 시 등단, 2020년 <한강문학>에 '詩聖 한하운의 詩 어머니에 대한 소고'로 문학평론가로 등단했다.

한국청소년 문학대상, 한국창작문학 대상, 제2회 시서울 문학대상 등을 수상했다. 현재 (사)한국문인협회 제도개선위원, (사)국제PEN한국본부 회원, 불교아동문학회 부회장, (사)한글문인협회 자문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최근까지 송파문인협회 시분과 회장믈 역임했다.

시집으로는 <그림자 하늘을 품다>, <오계의 대화>, <광화문 솟대>, <글, 그 씨앗의 노래 >, <인두금의 소리>, <성탄절에 108배>, <질문> 등을 펴냈으며, 철학 하는 시인, 시 쓰는 철학자 호모 퀘스피엔스이다.

i24@daum.net

배너
서울특별시한궁협회,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 성료
(서울=미래일보) 서영순 기자 = 서울특별시한궁협회가 주최·주관한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가 지난 17일, 서울 노원구 삼육대학교 체육관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약 250명의 선수, 임원, 심판, 가족, 지인이 함께한 이번 대회는 전 세대를 아우르는 스포츠 축제로, 4세 어린이부터 87세 어르신까지 참가하며 새로운 한궁 문화의 모델을 제시했다. 대회는 오전 9시 한궁 초보자들을 위한 투구 연습으로 문을 열었다. 이어진 식전 공연에서는 전한준(87세) 작곡가의 전자 색소폰 연주로 '한궁가'가 울려 퍼졌으며, 성명제(76세) 가수가 '신아리랑'을 열창했다. 또한 김충근 풀피리 예술가는 '찔레꽃'과 '안동역에서'를, 황규출 글벗문학회 사무국장은 색소폰으로 '고향의 봄'을 연주해 감동을 더했다. 마지막으로 홍소리 지도자가 '밥맛이 좋아요'를 노래하며 흥겨움을 더했다. 오전 10시부터 열린 개회식에는 강석재 서울특별시한궁협회 회장을 비롯해 허광 대한한궁협회 회장, 배선희 국제노인치매예방한궁협회 회장 등 내빈들이 참석해 대회의 시작을 축하했다. 김도균 글로벌한궁체인지포럼 위원장 겸 경희대 교수와 김영미 삼육대 교수, 어정화 노원구의회 의원 등도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광복회, '8월 이달의 독립운동 정미의병 기념식' 개최…"경술국치, 쓰라린 역사를 기억하고 의병정신 전통으로 이어 가자" (서울=미래일보) 이연종 기자= 광복회(회장 이종찬)는 29일 오후 2시,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 컨벤션홀에서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과 이중근 대한노인회 겸 부영그룹 회장, 김관진 전 국정원장을 비롯해 유족과 독립운동 유관단체 및 광복회원 250여명이 모인 가운데, '광복80주년 8월, 이달의 독립운동 정미의병' 기념식을 개최했다. 국가보훈부와 서울특별시, 행복도시락이 후원한 이날 기념식은 국민의례와 영상시청, 이종찬 광복회장 기념사를 비롯해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축사, 이중근 대한노인회장 겸 부영그룹 회장 축사에 이어, 국가부훈부 장관의 민긍호의병장기념사업회와 운강이강년의병대장기념사업회에 대한 기념패 수여, 광복회장의 춘천의병마을에 대한 감사패 수여식, 김상기 충남대학교 명예교수의 ‘자유와 정의를 위한 백성의 투쟁, 정미의병’ 주제 강연 순으로 진행됐다. 이종찬 광복회장은 기념사에서 "오늘은 경술국치의 날로 1910년 8월 29일 우리가 주권을 빼앗겼다"며 "이런 쓰라린 역사를 우리가 다 기억하고 전통을 이어가야 한다”고 의병정신에 대해 강조했다. 이 회장은 그러면서 "대한제국의 군대가 강제해산 당하던 날, 정미 의병이 일어났고, 그 의병들이 독립군이 되

정치

더보기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