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성명순 시인
가자!
발걸음 따라서
신발장에서 갓 나온 황금빛
뾰족구두 똑딱거리며
바쁘게 걷고 있는데
코앞에 딱 걸린다
그 어디에도 묶어두었던 고삐는
스르르 사라졌다
날씬한 허리
손 뻗으면 닿을 것 같다
숨결을 타고 흐르는 온기
바람에 섞인다
그래, 도톰한 허릿살
한 줌씩 빼고, 새콤달콤한 가을밤
당당하게 바라볼게.
■ [詩評]
- '초승달' 제대로 보기/권대근(수필가·문학평론가)
시는 자아와 세계와의 동일성을 추구한다. 초승달에 대한 시인의 미적 횟감은 그 만남의 특별함에서 연유한 듯하다.
시인은 현대 시작법의 대표적 기법인 중층묘사로 사물과 관념을 적절하게 배치해서 시인 자신이 갖고 싶은 세계를 잘 변용시켜 형이상학의 시학을 완성했다.
'가자'라는 일성의 청유, '그래'라는 긍정의 화법이 시어 배열에서 탄력성을 가져와 시의 동력학적 맛을 더해준다. 그야말로 적재적소에 들어앉은 플로베르의 일물일어라고나 할까.
시인의 초승달에 대한 초월적 현 상상적 사유가 서정적 비전에 힘입어 정서적 증폭 현상을 가져온다. 시인이 보는 참신한 창조적 비유로 초승달은 날씬한 가을 여인이 된다.
시 창작은 한마디로, 상상력으로 새 이미지를 창조하는 작업이다.
달의 관습적 이미지를 탈피하여, 세상을 담담하게 응시하는 여인으로 빚어냄으로써, 제재에 새로운 가치와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이 시는 '시는 이미지다'라는 명제와 시는 현실과의 미적거리에서 창조된다는 시학 원리에 딱 부합한다. 왜냐하면 초승달과 시인의 거리가 밀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가을밤 하늘에 뜬 초승달에 주목하는 시적 화자는, 초승달에 대한 관념이나 정서를 뾰족구두를 신은 여인으로 양식화함으로써, 즉 사물을 인물로 치환함으로써 문학적 성취를 확보하고 있다.

- (사)한국문인협회 인문학콘텐츠 개발위원.
- (사)국제PEN한국본부 대회협력위원회.
- 경기문학포럼 대표.
- 황금찬 문학상 수상.
- 시집 '시간 여행', '나무의 소리'
- 가곡 '그대가'(성명순 시, 이종록 곡, 박진형 노래)
- 현) 에이스케미컬 사회공헌팀 상임이사.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