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7 (목)

  • 흐림동두천 29.3℃
기상청 제공

[詩가 있는 아침] 김운향 시인의 '항아리'

항아리의 특성을 인간에 비유하여 불교의 진리인 무상을 표현

광주 왕실도자기 명장 연파 신현철 도예가의 '달항아리'(43x43x43) 작품./자료제공=신현철 도예연구소
▲ 광주 왕실도자기 명장 연파 신현철 도예가의 '달항아리'(43x43x43) 작품./자료제공=신현철 도예연구소

항아리


- 김운향(金雲香) 시인

머리에 달을 이고
아니 오신 듯, 다녀가소서.
산사의 처마 끝에 매달린 풍경 울리거든
바람결에 그 님이 스쳐갔다 여기시라기에
천봉당 태흘탑 아래서 합장하노라니
노오란 옷을 입은 소년이 나타나
운무 드리워진 능선을 가리키네.
마음 한 곳을 비우고
몸 한 곳도 열어두기를.
귀한 인연으로 빚어진 삶인데
알몸으로 와서 조각조각 깨질 때까지
골고루 채우고 비워보기를.
큰 바위 속에서 흘러넘치는 감로수로
청정심 되어 시나브로 비우리라하니
새로운 법열이 새록새록 밀려드네.

■ 자작시 해설 & 시작노트
항아리는 의인화된 존재다. 인간의 인격과 정서를 간직한 항아리가 실제의 인간에게 전하려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달은 차고 기울기를 반복하기 때문에 부처님의 가르침인 무상을 보여주는 것이며 이런 달을 머리에 이는 행위는 삶이 무상하다는 것을 상징적으로 말하고 있다. 무상한 삶에서는 오고 감도 '아니 오신 듯, 다녀가는' 것이 된다.

산사의 풍경소리는 머무는 곳도 없이 허허로운 바람에 의하여 울리는 부처님의 말씀이라고 할 수 있다. 사찰의 4물인 법고, 범종, 운판, 목어가 내는 소리는 인간을 비롯한 뭇 생명에게 들려주는 부처님의 말씀이다. 하지만 누군가가 이들을 울려야 소리를 들을 수 있다. 금강경에 응무소주이생기심(應無所主而生其心)이란 말은 머무는 곳이 없는 마음을 내라는 말씀인데 머무는 곳이 없는 마음을 가진 것이 바로 바람이다. 이 바람이 풍경을 울리거든 풍경을 울리는 그 바람결에 그 임이 스쳐갔다고 생각하라는 것이다. 무상에서 보면 임도 바람처럼 지나가는 것일 뿐이다.

이러한 무상의 마음으로 천봉당 태흘탑¹) 아래에서 합장을 하고 바람처럼 머무는 곳이 없는 마음을 가지게 하여 달라고 기도를 하니 노란 옷을 입은 소년이 나타나 운무 드린 능선을 가리킨다. 노란 옷은 절대 권력자인 황제의 옷이다. 이러한 옷을 입은 소년이 기도 중에 홀연히 나타나 진정한 삶은 세상의 것에 집착함이 없이 자연을 벗 삼아 무상을 실천하는 삶이라고 가르쳐 준다.

의인화된 항아리는 윗부분이 열려 있으니 늘 마음 한 곳을 비우고 있으며 동시에 몸 한구석을 열어두고 있다. 따라서 항아리는 그 용도를 다할 때까지 한편으로는 불교의 진리인 무상을 받아들여 안을 채우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 무상마저도 열린 곳으로 비워 무(無)의 상태를 유지한다. 사바세계의 번뇌를 제거하는 감로수로 항아리를 채우니 시나브로 세상의 시름은 사라지고 부처님의 법열만이 항아리 속에 감돈다.

이 시는 항아리의 특성을 인간에 비유하여 불교의 진리인 무상을 말하고 있다.

¹) 천봉당 태을탑(天峰堂泰屹塔)은 경기도 의정부시 망월사(望月寺) 경내에 있는 경기도문화재자료 제66호다. 이 탑은 조선시대 고승인 천봉당 태흘(1710~1793)의 사리를 봉안한 것이다.

김운향(金雲香) 시인./사진=미래일보 DB
▲ 김운향(金雲香) 시인./사진=미래일보 DB
■ 김운향(金雲香) 시인
문학박사(고려대학교)이며, 시인, 소설가, 문학평론가 이다.
1987년 '表現' 誌 시부문, '月刊文學' 평론부문으로 등단했다.
문단 활동을 꾸준히 하면서 종로문학상 수상(2018), 한국농민문학상(2021)을 수상했다.
시집 '구름의 라노비아'(1999), 소설집 '바보별이 뜨다'(2009) 외 다수가 있으며, 현재 (사)한국문인협회 위원, (사)국제PEN한국본부 이사, (사)현대시인협회 대외협력 위원장, 한국교수작가회 이사, 한글문학 편집위원 등을 맡고 있다.

i24@daum.net

네티즌 의견 3

스팸방지
0/300자
  • 자연
    • 2021-10-08 23:17:57
    • 삭제

    김운향 선생님 안녕하세요.
    자연,김경희 시인 엘에이에서 선생님 시를 읽으니 감동이 배가 되옵니다.고국산천 문우들에게 태평양 돛단배로 그리움을 띄웁니다.

  • 나운동
    • 2021-10-07 00:44:35
    • 삭제

    바람은 갈곳이 많아 하지만 있는것 같지만 볼수가 없어 풍경소리에 임이 왔다 갔는가?
    왔 다 간것은 사대가 있기 때문인가 항아리는 빈것 같으면서 차있는 것 차유 피유 이거늘
    머래 알 속에서 세상을 보라 그리고 손바닥속에서 엉원을 보라
    또 딸아온다.

  • 종로시인
    • 2021-10-06 10:22:05
    • 삭제

    항아리 ㆍ달
    닮은듯 닮지않은
    그럼에도
    하늘에 띄우고

    걸음걸이에 달빛이 비친다
    그림자도 아름다운
    산사의 노래다

배너


배너
배너

포토리뷰

1 / 7

배너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
정청래, 이재명정부 첫 여당 대표에 선출…"강력한 개혁·원팀으로 총선·지선 승리"(종합) (고양=미래일보) 장건섭, 이연종 기자 =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첫 여당 지도부를 선출하는 더불어민주당 임시전국당원대회가 2일 경기도 고양 킨텍스에서 열렸다. 이날 당대표에는 정청래 의원이, 공석이던 최고위원 1석에는 황명선 의원이 각각 선출됐다. 정 신임 대표는 박찬대 후보와의 양자 대결에서 총득표율 61.74%를 기록, 38.26%에 그친 박 후보를 큰 표차로 따돌렸다. 당심(黨心)을 등에 업은 낙승이었다. 권리당원 투표에서만 65.82%를 얻으며 승기를 잡았다. 최고위원직에는 단독 출마한 황명선 후보가 권리당원 찬반투표에서 84.11%의 압도적인 찬성으로 당선됐다. 황 의원은 논산시장 3선 경력의 자치분권 전문가로, 향후 내년 6월 지방선거 총괄을 맡게 될 '키맨'으로 기대를 모은다. 이날 전당대회는 강서구 파로스 합창단의 개막 공연으로 시작됐다. 김병기 원내대표와 이춘석 전당대회준비위원장의 축사에 이어, 이재명 대통령과 문재인 전 대통령의 영상 메시지도 상영되며 행사의 의미를 더했다. 후보자 정견발표에서는 각자의 개성과 메시지가 도드라졌다. 정청래 후보는 "강력한 개혁의 선봉에 서겠다"고 선언하며, 소녀시대의 '다시 만난 세계'를 배경으로 무대에 올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