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2 (화)

  • 흐림동두천 17.2℃
기상청 제공

포티넷 '포티샌드박스 2000E', NSS랩 추천 등급 획득

최신 정보 유출 탐지 시스템 테스트에서 우수한 성과 기록

(서울=미래일보) 김정현 기자 = 포티넷코리아는 새로 출시된 포티샌드박스 2000E(FortiSandbox 2000E)와 포티클라이언트(FortiClient)가 NSS랩이 실시한 정보 유출 탐지 시스템(이하 BDS)에서 ‘추천’ 등급을 받았다고 2일 밝혔다.

BDS 보고서는 정보 유출 탐지 시스템의 보안 효과를 평가하는 업계에서 가장 포괄적인 테스트로, 보안 고객들이 실제 성능을 기반으로 최상의 솔루션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포티샌드박스 2000E는 웹과 이메일 멀웨어를 100% 탐지하며, 이번 테스트에서 99%의 전반적인 정보 유출 탐지 점수를 받았다. 또 2배 이상의 데이터시트 대비 패킷 처리량(throughput) 성능을 나타냈으며, 이번에 평가된 솔루션 중 가장 좋은 TCO(총소유비용)를 구현했다.

FAS-2000E./사진=포티넷코리아 제공
▲ FAS-2000E./사진=포티넷코리아 제공
최근 워너크라이(WannaCry)와 같은 멀웨어가 급속히 확산됨에 따라 모든 기업들은 멀웨어가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기 전에, 지능형 위협과 제로-데이 공격을 탐지할 수 있는 자동화된 분석 도구와 위협 인텔리전스 허브를 구축해야 한다.

포티샌드박스 2000E 어플라이언스는 네트워크 엣지(edge)단부터 데이터센터의 중심 및 내부망 분리(internal segments)까지 모두 포괄하는 유연한 구축 옵션을 제공, 대기업은 물론 중소기업 및 서비스 제공업체들이 지능형 위협으로부터 고성능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포티샌드박스 2000E(는 최고의 보안 효과와 높은 처리량(throughput)을 강점으로 NSS 랩으로부터 4회 연속 '추천' 등급을 받았다.

또한 최근 위협 환경이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이에 기업들은 차세대 방화벽(NGFW), 침입방지시스템(IPS), 보안 메일 게이트웨이, 웹 애플리케이션 방화벽(WAF), 엔드포인트 보안 솔루션 등 다양한 보안 제품 전반에서 샌드박스가 생성하는 위협 인텔리전스를 서로 공유하는 더 큰 개념의 보안 패브릭을 구축해야 하며, 보안 패브릭의 구심축 역할로서 ‘샌드박스’를 운영해야 한다.

포티넷의 ‘보안 패브릭(Security Fabric)’은 자사의 ‘패브릭 레디 파트너 프로그램(포티넷 보안 패브릭을 파트너 에코시스템에 개방하여 원활한 통합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타사 기술 파트너 및 솔루션과의 상호운용성을 확장하는 ‘개방적’ 특징을 갖고 있다.

‘포티넷 보안 패브릭’의 일부인 포티샌드박스는 포티넷 보안 솔루션에 통합되어 포티게이트 NGFW, 포티넷 IPS, 포티WAF(FortiWAF), 포티클라이언트(FortiClient) 솔루션 전반에서 위협 인텔리전스를 자동 공유한다. 이러한 통합을 통해 기업들은 포티샌드박스(FortiSandbox)를 위협 인텔리전스의 중심 허브로 삼아 전체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에서 방어를 자동화할 수 있다.

존 매디슨 포티넷 제품 및 솔루션을 총괄 선임 부사장은 “사이버 범죄자들은 매우 빠른 속도로 새로운 공격 전략을 구사하고 있으며, 정보유출부터 완전한 장악까지 단 몇 분 만에 이뤄지는 보안 사고가 속출하고 있다. 이로 인해 각 기업의 보안 팀은 지능적인 탐지 및 신속한 완화를 위한 솔루션 구축을 최우선 과제로 삼게 됐다”고 밝혔다.

비크람 파텍 NSS랩 CEO는 “NSS 랩 테스트 보고서는 정보에 기반한 의사결정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기업에 제공하고 있다”며 “포티넷은 다양한 테스트 프로그램에 정기적으로 참여해 왔으며, 수년간 보안 패브릭을 구성하는 솔루션을 통해 탁월한 성능을 입증해 왔다”라고 말했다.

redkims64@daum.net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배너


배너
배너

포토리뷰

1 / 7

배너

사회

더보기
박소다미 코리아 코스메틱㈜ 대표 '장애인의 날' 맞아 아름다운 동행 (서울=미래일보) 오나연 기자 = 박소다미 코리아 코스메틱 ㈜ 대표는 19일 '제45회 장애인의 날'을 맞아 경기 안양시 만안구 수리장애인종합복지관(관장 이형진)을 방문해 삼계탕과 수박 등 위문품을 전달하고 관계자들의 노고에 감사의 마음을 전했다. 1981년 UN총회는 '장애인의 완전한 참여와 평등'을 주제로 '세계 장애인의 해'를 선포하고 세계 모든 국가에서 기념사업을 추진하도록 권장했다. 우리나라에서도 1981년 4월 20일 '제1회 장애인의 날'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박소다미 대표는 "장애는 우리와 다른 것이 아니라 조금 서툰 것이란 생각이 든다"라며 "경제가 점점 더 어려워 기부문화가 줄어드는 힘든 사회 분위기 속에서 사랑으로 준비한 삼계탕과 수박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박소다미 대표는 이어 "앞으로도 장애인 인식 개선 활동과 도움이 필요한 복지시설과 취약계층을 위한 따뜻한 유대감을 바탕으로 진정성 있는 다양한 나눔과 봉사활동을 실천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이형진 관장은 “'장애인의 날'을 맞아 나누고 베풀고 봉사하는 그룹 임원진들이 수리장애인종합복지관을 직접 방문해 준 것만으로도 큰 힘이 되었다"라며 "마음을 담아 전달해

정치

더보기
부승찬 의원, '국방부 장관 문민화법' 대표발의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부승찬 더불어민주당 의원(용인시병)은 예비역 장성 출신을 국방부 장관에 임명할 경우, 전역 후 최소 10년이 경과한 후 임명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내용을 담은 '정부조직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고 21일 밝혔다. 대한민국은 1961년 이후 국방부 장관은 예외 없이 예비역 장성이 임명되는 관행이 이어져 왔다. 이로 인해 ‘군맥’ 형성 및 ‘나눠먹기 인사’ 등 폐해가 반복되었고 군에 대한 문민통제의 원칙이 약화되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충암파’, ‘용현파’ 등 특정 군맥이 헌정질서를 위협한 12·3 내란은 그 폐해가 단지 기우가 아닌 현실임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이번 개정안은 정부조직법 제33조2항을 신설하여, 군 장성 출신이 전역 후 10년이 지나야 국방부 장관에 임명될 수 있도록 제한하고자 한다. 전역 후 최소 10년은 지나야 군대 내 인맥이 사라지고, 장관에 대한 현역 및 예비역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다만, 전시와 사변 등의 국가비상 시에는 간주기간에 예외를 두어 국가적 위기극복을 위한 대통령의 인사권한을 보장하고, 국토수호에 차질이 없도록 했다. 본 개정안은 문민통제 원칙을 모범적으로 실천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