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제34회 성균문학상'은 성균관대학교 출신 문학인 모임인 성균문학인회가 주관하고 성균관대학교 총동창회가 후원하는 상으로, 모교출신 문학인의 문학정신과 자긍심을 계승 고취하기 위하여 제정한 권위있는 문학상이다.
한국현대 소설의 거목 월탄 박종화 선생(성균관대학교 국문학과 교수 재임)의 문학정신을 기리기 위하여 1981년 창립하고 '월탄문학상'을 제정하였으나 그 후 '성균문학상'으로 개칭하고 올해 '제34회 성균문학상'을 시상하게 된 것이다.
본상을 수상한 김민정 시조시인은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보기 드물게 시조로 학·석사 논문을 쓰고, 박사학위까지 현대시조로 연구한 학구파 열혈 시조시인이다.
현재 사단법인 한국문인협회 시조분과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서울에서 중등국어교사로 34년 재임하다가 오해 8월 정년을 맞았다.
성균문학인회(행문회)는 등록회원이 250여 명이며, 한국문단의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동인문학상 수상(김연수/영문) 외 동아일보 신춘문예 시 부문(이가림/불문), 조선일보 신춘문예 소설 부문(권재진) 등 많은 시인, 시조시인, 소설가, 평론가를 배출하기도 했다.
성균문학인회에는 박종화, 김구용, 윤병로, 강우식, 김여정, 김동호, 조건상, 현길언, 전경배, 김두환, 고창수, 강문석, 이지엽, 조규일 등 걸출한 문인들도 많다.

김 시조시인은 이어 "1985년 등단을 하고 34년 동안, 국어교사라는 직장생활을 하면서도 쉬지 않고 꾸준하게 시조를 쓰면서 문학을 사랑하고 문학과 병행하는 길을 걸어왔다"며 "그 동안 11권의 개인 시조집을 출간하게 되었고, 11번째 시조집으로 성균문학상 본상을 받게 되었다"고 말했다.
김 시조시인은 "저는 현재 국내에서 가장 큰 문학단체인 사단법인 한국문인협회 시조분과 회장을 맡아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한국의 전통시인 시조를 세계에 알리고자 영문 번역 시조집인 「해돋이」(Sunrise, 2019, 알토란출판사, 303인 참여), 스페인어 번역 시조집 「시조, 꽃 피다」(sijos en flor, 2021, 동경출판사, 333인 참여)를 발간한 바 있고, 2021년 12월 15일에는 영어·아랍어번역 시조집인 「시조 축제」(Sijo Festival, 2021, 동경출판사, 303인 참여)를 발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 시조시인은 그러면서 "한국에서 노벨문학상을 받아야 한다면 그것은 한국의 전통문학인 시조라야 된다는 생각으로 열심히 시조를 해외에 소개하는 작업을 하는 중"이라며 "이러한 사업에 앞으로 성균관대 선후배 동문 여러분들께서 많이 도와주시고 힘껏 응원해 주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린다"라며 동문들이 시조를 사랑하고 시조의 세계화를 응원해 주도록 당부하는 것도 잊지 않았다.
김민정 시조시인은 1985년 『시조문학』 창간 25주년 기념 지상백일장에서 「예송리 해변에서」로 장원하며 등단했으며, 1981년부터 시조를 쓰기 시작하여 1985년 등단 후 만 36년이 지난 중견 시조시인이다.

국내에서는 이렇게 4개 국어가 실린 시조집 발간은 처음으로, 현재 이 시조집은 나날이 인기가 상승하고 있다. 이 시조집의 작품들이 좋다고 번역을 담당한 교수들과 감수자도 감탄한 바 있고, 외국의 여러 나라에서도 호평을 보내오고 있다.
현재 베트남에서는 베트남어로 번역을 진행하고 있으며, 다른 몇몇 나라에서도 자국의 언어로 이 시조집 번역을 진행하고 있는 상태다.
「꽃, 그 순간」이란 시조선집 외에 김민정의 수석 시조집이며 번역 시조집인 「함께 가는 길」과 「누가, 앉아 있다」도 미국, 캐나다, 프랑스, 영국 등 북미와 유럽에서 인기가 매우 높으며, 「함께 가는 길」 시조집은 미국 하버드 광장에 있는 대형 시 전문서점에서도 전시 판매되고 있다.
또 캐나다의 교차로신문에 매주 한 편씩 소개하고 있는 수석시조와 그 동안 김 시조시인이 펴낸 시조시집들을 접한 캐나다 토론토에 거주하며 국·내외에서 활발한 문학 활동을 펼쳐오고 있는 권천학 시인은 "이렇게 예쁘고 격조 있는 시조집의 가격이 왜 이렇게 싸냐"며 "그것에 대해 화가 나고 안타깝다"고 말했다.
권 시인은 그러면서 "김 시조시인의 「함께 가는 길」과 김 시조시인의 시조 작품이 예쁘게 컬러로 편집하여 매주 캐나다 현지 신문에 연재되고 있어 인기가 상승하고 있는데, 「함께 가는 길」과 「누가, 앉아 있다」 두 수석 시조집은 품절이 되어 더 이상 구매할 수 없어 안타깝다"며 "이번 성균문학상을 수상하며 모교인 성균관대학교 총동창회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고 있는 김민정 시조시인이 더욱 노력하여 노벨문학상도 탈 수 있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