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영화산업노조, 한국영화독립협의회 등은 이날 오후 홍대 거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문화예술계를 권력의 시녀로 만들기 위해 이념의 잣대를 들이대겠다는 반헌법적 주장"이라며 "제1 야당에서 블랙리스트를 부활시키겠다는 발언이 다시 나온 점에 경악을 금치 못한다"고 말했다.
이들은 "안 위원장은 천박하고 수준 낮은 망언을 내뱉은 점에 대해 무릎 꿇고 석고대죄하라"며 "윤석열 후보는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사태에 대해 반성 없는 국민의힘과 안 위원장 발언에 대해 직접 입장을 밝히라"고 말했다.
이 행사는 지난 13일 안상수 국민의힘 인천공동총괄선대위원장이 자신의 페이스북에 '문화예술계에 좌파가 많다, 좌파 문화예술계를 확 바꾸겠다'는 망언 영상을 스스럼없이 게시한 것에서 비롯되었으며, "더욱 충격적인 것은 안상수 위원장의 발언이 허위이력, 주가조작 의혹, 무속 논란 등에 휩싸인 윤석열 후보의 배우자 김건희씨를 두둔하기 위해 나왔다"는 사실에 경악을 금치 못한다고 그 취지를 밝혔다.
'국민의힘, 문화계 블랙리스트 망언 규탄 문화예술인 일동'은 "블랙리스트 사태는 이미 대법원에서 유죄로 확정되어 단죄되었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1야당에서 블랙리스트를 부활시키겠다는 발언이 다시 나온 점에 경악을 금치 못하며 문화예술인들에게 무릎 꿇고 석고대죄 해야 할 것이다. 윤석열 후보는 국민의힘 안상수 위원장 발언에 대해 직접 입장을 밝힐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지난 18일 한국예총과 민예총 이 공동 기자회견을 통해 규탄 의견을 공동으로 표명한데 이어 이루어지며, 소설가 정지아, 가수 리아, 이성욱(Ref), 이시하(더크로스), 배상재(하이드로), 재독배우 문숙, 영화감독 김종민, 조정래, 음반제작자 정해익(전 SM대표), 등이 참석하며, 배우 이기영, 개그맨 서승만, 시인 고찬규, 전국영화산업노조, 한국영화독립협의회가 함께하는 의사를 표명했다.
■ 다음은 성명서 전문이다.
'국민의힘 안상수 문화예술계 좌파 발언 관련 문화예술인 규탄 성명서'
우리는 5년 전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를 포함한 박근혜정부의 국정농단에 저항하기 위한 촛불을 들었다. 군사독재 정권이 자행한 문화예술계 탄압은 이명박·박근혜 정권의 '블랙리스트'로 되살아났다. 이를 몰아내고자 밝힌 촛불 한가운데에 표현의 자유를 침해당한 9,473명의 ‘블랙리스트’ 문화예술인들이 있었다.
지난 13일 안상수 국민의힘 인천공동총괄선대위원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문화예술계에 좌파가 많다, 좌파 문화예술계를 확 바꾸겠다’는 망언 영상을 스스럼없이 게시했다. 더욱 충격적인 것은 안상수 위원장의 발언이 허위이력, 주가조작 의혹, 무속 논란 등에 휩싸인 윤석열 후보의 배우자 김건희씨를 두둔하기 위해 나왔다는 점이다.
이런 주장은 또 다시 문화예술계를 권력의 시녀로 만들기 위해 이념의 잣대를 들이대겠다는 반헌법적 주장이다. 여기에 더해 각종 논란에 휩싸인 김건희 씨를 옹호하기 위해 헌법질서를 부정하는 것이 진정 공당의 올바른 자세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안상수 위원장의 발언처럼 허위이력으로 점철된 김건희 씨의 이력이 어떻게 문화예술계 거장으로 불리는 근거가 되는지 많은 국민들이 의아해한다.
블랙리스트 사태는 이미 대법원에서 유죄로 확정되어 단죄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1야당에서 블랙리스트를 부활시키겠다는 발언이 다시 나온 점에 경악을 금치 못한다. 대놓고 수사하고 검열하겠다는 발언들을 통해 볼 때, 국민의힘은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에 대한 시각이 단 한 순간도 변하지 않았다.
이에 우리는 다음과 같이 엄중히 촉구한다.
하나. 국민의힘 안상수 위원장은 문화예술에 대한 이해 없이 문화예술계에 천박하고 수준 낮은 망언을 내뱉은 점에 대해 문화예술인들에게 무릎 꿇고 석고대죄하라!
하나. 윤석열 후보는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사태에 대해 반성 없는 국민의힘과 안상수 위원장 발언에 대해 직접 입장을 밝혀라!
하나. 윤석열 후보는 문화예술계를 이념으로 나누고, 예술을 권력 홍보수단으로 전락시키겠다는 국민의힘을 당장 해체하고 책임지고 사퇴하라!
마지막으로 위대한 촛불혁명을 이룬 모든 국민에게 간곡히 부탁드린다.
대중을 통제하고 싶은 권력의 욕망은 잠시 긴장을 풀면 되살아난다. 우리는 이미 한 번 경험했고 슬기롭게 이겨낸 경험이 있다. 과거의 아픔과 상처를 다시 한번 반복해야 하는가? 그로 인해 우리는 또 얼마나 많은 고통과 손실을 감내해야 하는가?
국민들에게 다시 한번 눈을 떠 현실을 직시해 주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린다!
분연히 일어나 함께 싸워 주시기를 여러분께 통렬히 부탁드린다!
다시 한번 문화예술인들과 함께 횃불을 들고 함께 해주시기를 호소한다.
2022년 2월 21일
국민의힘, 문화계 블랙리스트 망언 규탄 문화예술인 일동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