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교부는 "장원삼 대사는 주스리랑카대사, 주중국공사, 동북아시아국장, 인사기획관 등을 역임했으며, 전문 외교관으로서 정무와 경제통상 분야를 아우르는 풍부한 외교적 경험을 갖추고 있다"며 "장 대사는 주재국 내 외교일정을 마치고 귀임하는 대로 공식 임명될 예정"이라고 전했다.
장 대사는 동성고, 서울대 법대를 졸업하고 외시 15회에 합격해 외교부에 입부했다. 장 대사는 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6년 청와대 파견 근무 경력도 있다. 주중 공사, 외교부 동북아국장 등을 지내 '중국통'으로 분류된다.
방위비 분담금은 주한미군 주둔 비용 중 한국이 분담하는 몫을 말한다.
주한미군에서 근무하는 한국인 근로자 인건비, 각종 미군기지 내 건설 비용, 군수 지원비 등의 명목으로 쓰인다.
주한미군지위협정(SOFA)은 한국이 시설과 부지를 무상으로 미국에 제공하고 미국은 주한미군 유지에 따르는 모든 경비를 부담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한미는 방위비분담 '특별협정'(SMA)에 따라 1990년대부터 미국이 부담해야 할 주한미군 유지 비용을 부분적으로 한국이 부담토록 해왔다. 우리가 부담하는 방위비 분담금은 주한미군에서 근무하는 한국인 근로자 인건비, 각종 미군기지 내 건설 비용, 군수 지원비 등의 명목으로 쓰인다.
양국은 1991년 제1차 협정을 시작으로 총 9차례 특별협정을 맺었으며 현행 제9차 협정은 내년 12월31일로 마감된다. 미국은 2019년부터 우리정부에 분담금 대폭 증액을 요구할 것으로 관측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7일 한미정상회담 공동 기자회견 때 평택 미군기지(캠프 험프리스)의 조성비용을 한국이 대부분 부담했다는 말을 듣고 "우리도 많은 부분을 지출했다. 이 부분은 한국을 보호하기 위해 지출한 것이며 미국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