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0.31 (화)

  • 흐림동두천 16.7℃
  • 맑음강릉 20.0℃
  • 구름많음서울 17.5℃
  • 맑음대전 14.7℃
  • 맑음대구 13.8℃
  • 맑음울산 14.4℃
  • 맑음광주 15.0℃
  • 맑음부산 17.5℃
  • 구름많음고창 13.4℃
  • 맑음제주 16.4℃
  • 구름많음강화 17.5℃
  • 맑음보은 9.4℃
  • 맑음금산 9.9℃
  • -강진군 12.2℃
  • 맑음경주시 10.1℃
  • 맑음거제 16.7℃
기상청 제공

정치일반

"절대 매도 없다"…국내 증권사 리포트 매도 의견 단 0.13%

국내 증권사 리포트, 전체 투자의견 22,907건 중 매도 의견 고작 32건에 불과
동기간 외국계 증권사 리포트는 전체 투자의견 중 매도 18,680건(15.8%)에 달해
매수 의견 가장 많이 낸 국내 증권사는 하나증권(1,366건), 2위는 신한금융투자
강병원 의원“개인투자자 판단 흐리는 행태…리서치 보고서 신뢰 제고 방안 필요”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국내 증권사 리포트 투자의견 '매수 쏠림'이 압도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3일 강병원 더불어님주당 의원(국회 정무위원회)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2017~2021년)간 '국내 및 외국계 증권사 리포트 관련 통계'에 따르면 국내 증권사의 경우 최근 5년(2017~2021년)간 전체 투자의견 22,907건 중 매수 의견은 20,355건으로 88.8% 비중을 차지했고, 중립 의견은 2,520건으로 11%를 차지했다. 반면 매도 의견은 32건으로 단 0.13%를 기록했다.

반면 외국계 증권사는 동기간 전체 투자의견 118,019건 중 매수 의견은 59,213건으로 약 50%의 비중을 보였고, 중립 의견은 40,126건으로 33.9%를 차지했다. 이중 매도 의견은 총 18,680건으로 15.82%를 차지했다. 매도 비중이 0.13%였던 국내 증권사와 대조적인 지점이다.

국내 증권사와 외국계 증권사 매도 의견 비중을 비교하면, 동일한 국내 상장기업 대상으로 했음에도 그 차이는 무려 113배를 기록하기도 했다.

2017년 국내 증권사의 매도 의견은 10건으로 0.20%를 기록했는데, 동일 연도에 외국계 증권사는 4,047건(16.51%)를 기록해 80배 차이가 났다. 2018년엔 국내 증권사 매도 7건으로 0.15%였던 반면 외국계 증권사는 3,776건으로 15.18%를 기록해 100배 차이가 났다.

2019년엔 국내 증권사 매도 3건으로 0.07%였고, 외국계 증권사는 매도 3,573건으로 16.80%였다. 2020년엔 국내 증권사 매도 7건으로 0.16%였던 반면 외국계 증권사는 4,017건으로 18.18%였다. 바로 작년엔 국내 증권사 매도 5건으로 0.12%의 비중을 기록했는데, 외국계 증권사는 매도 3,267건으로 12,93%를 기록했다.

한편, 국내 증권사 중 최근 5년간 매수 의견을 가장 많이 낸 상위 5개 社를 추려보면 하나증권이 1,366건으로 1위였다. 다음으로는 신한금융투자(988건), 대신증권(893건), 삼성증권(856건), 이베스트투자증권(831건) 순이었다.

전체 투자의견 수의 차이를 고려하더라도, 국내 증권사의 매도 의견이 지나치게 적다는 지적이다. 증권사 리포트의 신뢰도를 제고하겠다면서 지난 2017년과 2019년 연달아 제도 개선책을 내놓은 금융감독원의 대처에도 물음표가 붙는다.

강병원 의원은 이와 관련해 "상장사·기관투자자의 입장을 고려해야 하는 증권사의 처지를 모르는 바 아니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여파와 미중갈등, 고금리 등으로 인한 시장의 불확실성과 유동성이 지극히 높은 상황에서 매수 의견으로 편중된 증권사 리포트는 개인투자자들의 판단을 저해할 소지가 충분하다. 매수 쏠림은 리포트의 신뢰성을 스스로 갉아먹는 것이기도 하다"라고 강조했다.

강 의원은 이어서 "금감원이 연이어 대책을 발표했음에도 형식적이거나 무소용이다. 해외처럼 독립리서치를 활성화하거나, 특정 투자의견 비율 조정을 권고하는 등 보다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i24@daum.net
배너
전남도에서 개최되는 전국체전, 사전경기로 벌써 '후끈'
(무안=미래일보) 이중래 기자 = 오는 10월 13일 제104회 전국체전의 개막을 앞두고 핸드볼 등 사전경기가 시작되며 전국체전 열기가 달아오르고 있다. 전라남도에 따르면 현재 전국체전의 사전경기가 도내 6개 경기장에서 5개 종목이 진행되고 있다. 전국체전 사전경기는 지난 8월 23일 무안종합스포츠파크에서 핸드볼 경기를 시작으로 ▲ 9월 15일 목포시 드림볼링장과 대화볼링장에서 볼링 ▲10월 9일 화순하니움 문화스포츠센터에서 배드민턴 ▲10월10일 목포하키장에서 하키 ▲ 10월11일 목포해양대학교에서 당구 순으로 진행된다. 사전경기는 전국종합체육대회 경기운영내규 제10조(경기일정)에 따라 올림픽대회 출전권 획득과 관련된 경기 등에 선수 대다수가 참여해, 종합체육대회 기간 중 경기 진행이 어려운 종목을 대상으로 대회 기간 전에 진행하는 것이다. 이번 전국체전의 경우 2024년 파리올림픽 예선전, 각 종목별 세계선수권 대회 등 기간과 중복돼 대회 기간 중 일정상 경기 진행이 어려운 종목에 대해 이뤄진다. 전남도는 사전경기 진행에 문제가 없도록 지난 5월부터 6월까지 2달간 전국체전 경기장 전체를 대상으로 시설물 자체 점검을 했다. 7월부터 8월까지 2달간 추가로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
황희 의원, "한국 국적 해외 불법체류자, 귀국 돕기 위한 제도 마련 시급"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매년 천만이 넘는 우리 국민이 해외로 여행을 떠나는 가운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해 불법체류자가 되는 우리 국민이 매년 수백 명 이상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황희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서울 양천갑)이 외교부로 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해외에서 불법으로 체류 중인 우리 국민의 숫자가 2018년 500명에서 2022년 709명으로 늘어난 가운데 올해 상반기에만 415명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불법체류의 원인은 각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일반화하기는 어렵지만, 보통 ▲사건·사고, ▲건강악화, ▲범죄피해 등의 사유로 인해 비자기간이 만료 되면서 불법체류자가 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문제는 이들이 불법체류자가 된 이후에 주재국에 적발되면 법령에 따라 ▲자진출국명령을 받거나, ▲과태료가 부과되거나, ▲강제 출국 당하게 된다. 따라서 원치 않는 불법체류자가 되었을 경우, 이들을 보호하고 안전하게 귀국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그러나 황 의원이 외교부에 추가로 확인한 결과, 현재 외교부에서는 이들을 적극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정책이나 제도가 부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리 재외공관은 불법체류자가 된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