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부러 오늘 1인 시위에 참가하려고 휴가를 냈어요. 아들이 장염 때문에 오늘 학교에 못 갔는데 1인 시위에 간다니까 자기도 그러면 가겠다고 해서 같이 나왔어요"(이정현 씨)
정부가 일제강제동원 배상 문제와 관련해 일본 기업 대신 한국 기업들의 기부금으로 피해자들에게 대신 지급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가운데, 광주·전남 시도민들이 1인 시위에 나서 피해자 양금덕 할머니의 투쟁에 힘을 보탰다.
15일 광주·전남 지역을 비롯해 전국 곳곳에서 정부의 강제동원 배상 해법을 규탄하며 근로정신대 피해자 양금덕 할머니의 투쟁에 함께하는 연대 시위가 펼쳐졌다.
"양금덕 할머니와 함께 싸우겠습니다"라는 이름으로 이날부터 16일까지 양일 간 펼쳐지는 1인 시위는 광주·전남 약 100곳을 비롯해 전국 500곳에서 진행될 계획이다. 시민들은 다양한 구호가 적힌 홍보물을 스스로 제작해 홍보에 나섰다.

이날 1인 시위는 나주사랑시민회 마대중‧최진연 공동대표가 전남 나주시 빛가람동 농촌경제연구원 사거리에서 출근길 시민들을 상대로 홍보 활동에 나선 것을 비롯해, 광주와 전남 곳곳에 진행됐다.
광주에서는 광주광역시청, 유스퀘어 광주종합버스터미널, 광주역, 금남로 5.18민주광장, 광산구 신창우체국, 화정역 사거리 등 시민들 왕래가 많은 주요 거점 지역 곳곳에서 시민들을 상대로 대국민 선전활동을 펼쳤다.

강 전 총장은 "노인들은 1인 시위 못하게 돼 있느냐?"며 "광주까지 나가기가 그러니 수북면사무소에서 친구들과 몇이 참여하면 안되겠느냐?"며 1인 시위를 자청해 왔다.

뇌병변 장애인 나상윤(50) 씨는 전동스쿠터를 타고 광산구 광주여대에서 광주경찰청 방향 거리에서 오전 7시 30분부터 1시간 동안 자비를 들여 제작한 선전물을 들고 출근길 시민들을 상대로 홍보 활동을 펼쳤다.
이날부터 이틀 동안 전국에서 펼쳐진 500곳 1인 시위에 연대하기 위해 일본 지원단체들도 함께 힘을 보탰다.

이들은 "피해자의 소리를 들어라", "강제연행 피해자한테 사죄 배상하라", "가해자로부터 정정당당한 사죄와 배상을 받아야한다", "동정은 필요없다", "강제연행 역사는 사라지지 않는다"라는 구호를 적은 손피켓을 들고 시위에 나섰다.
이날 행사를 주관한 "광주·전남역사정의평화행동' 관계자에 의하면, 첫날인 15일 오후 4시 현재 광주·전남 지역에서는 약 60명이 1인 시위에 참여해, 16일까지 이틀간 목표로 한 100명은 무난히 채울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은 오는 22일에 외교부 3차 행동 및 집중 행동주간 선포식을 갖는 등 정부 해법을 규탄하는 투쟁 수위를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