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9 (토)

  • 구름많음동두천 15.6℃
  • 구름많음강릉 17.8℃
  • 구름많음서울 16.5℃
  • 흐림대전 17.9℃
  • 구름많음대구 19.4℃
  • 구름많음울산 18.4℃
  • 구름조금광주 18.2℃
  • 구름조금부산 17.2℃
  • 구름많음고창 17.8℃
  • 제주 16.3℃
  • 흐림강화 12.2℃
  • 흐림보은 16.4℃
  • 흐림금산 17.8℃
  • 구름많음강진군 17.5℃
  • 구름많음경주시 18.9℃
  • 구름많음거제 17.1℃
기상청 제공

[해외 이슈 작가 문학작품 選] 베트남 팜 반 안(Phạm Vân Anh) 시인의 詩 '사념(思念)'

현역 베트남군 영관 장교로 시인, 작사가, 시나리오 작가, 번역가로 활동
소설, 서사시, 단편 소설, 시, 에세이를 포함한 13권의 책 출판
문학, 음악, 저널리즘, 영화 분야에서 30개가 넘는 국가 상 등 수상
권대근 평론가 "빛의 영성과 몸의 감각으로 삶의 본질을 포착하여 형상화한 시"

사념(思念)

- 팜 반 안(Phạm Vân Anh) 시인

야행성 (夜行性) 군상(群像)들이
생에 살며시 뿌리내리듯
사념(思念)은 두서없이 침삭(侵削) 되는데
밤에 터져 나온 호출
무식하도다!

공허한 생각들에
얽매여 얼렁뚱땅 내뱉다가
그 순간 스치는 기분에 힘주어 말했네
생이란 그 자체로
찬란하여라

걸으리 내 발로
걸으리 평생토록 땅의 시선으로
한 올의 실상도 놓치지 않으리
걸으리 후회의 쓴맛 속에서도
희망의 단맛 속에서도!

생은
빛으로
내 육체로도
증명되었으니
말하지 마!

- 한국어 번역 : 권대근 평론가(대신대학원대학교 교수)

NHỮNG Ý NIỆM

- Nhà thơ Phạm Vân Anh

Như loài ăn đêm
Lặng lẽ bắt rễ vào cuộc sống
Những ý niệm xâm thực vội vàng
Tiếng kêu hắt dội màn đêm
Man muội!

Giắt giữa những ý niệm rỗng
Tôi loay hoay cãi nhau
Thời khắc ấy
Cảm giác trong cảm giác cất lời
Gọi tên sự sống
Đĩnh ngộ và tươi sáng

Đi trên đôi chân mình
Đi trên mắt đất
Đi qua sự sống và cố
không bỏ sót mỗi phút giây thực tại
Đi trong sự nếm trải nỗi tiếc nuối
và cả niềm hi vọng

Sự sống chứng thực
Bằng ánh sáng
Bằng thân thể tôi
Tĩnh lặng!

THE IDEAS

- Poet Pham Van Anh

Like the nocturnal species
Quietly take root on life
The ideas hurriedly erode
The call splashed on the night
Barbaric!

Hanged between empty ideas
I fumblingly argued
That moment
Feeling in the feeling spoke up
Called the name of life
Brilliant and bright

Walk on my foot
Walk on earth’s eyes
Walk through life and try
not to miss any single catch of reality
Walk among the taste of regret
and the hope as well

Life proven
By the light
By my body
Silent!

- 영어 번역 : 팜 반 안 작가

■ 팜 반 안(Phạm Vân Anh) 작가

베트남 군의 현역 영관 장교이자 작가인 팜 반 안(Pham Vân Anh)은 1980년 1월 13일 베트남 하이퐁에서 태어나 하노이에 거주하며 현재 하노이 소재 국방부 국경경비사령부 정치부에 재직 중에 있다. 본명은 Pham Thi Vân Anh이다.

판 반 안 작가는 시인, 작사가, 시나리오 작가, 번역가로 활동하며 베트남작가협회 회원, 베트남언론인협회 회원, 군사작가협회 부국장, 하노이 여성통역자모임 회원으로 왕성한 문화예술 활동하고 펼쳐오고 있다.

판 반 안 작가는 국경 수비군의 의미와 역할을 반영한 작품으로 전국 언론상 6회, '민족 대단결을 위하여' 언론상 4회, 중앙 장관급 상을 수상 하는 등 소설, 서사시, 단편 소설, 시, 이야기를 포함한 13권의 책을 출판했으며 문학, 음악, 저널리즘, 영화 분야에서 30개가 넘는 국가 상을 수상했다.

출판된 작품으로는 '나에게 경의를 표한다'(시집, 하이퐁출판사, 2004), '사랑의 계절'(시집, 작가조합출판사, 2007), '코너'(시집, 베트남작가협회출판사, 2009), '꽃 손가락'(단편소설집, 베트남인민군출판사, 2011), '조용한 행진'(단편소설집, 인민공안출판사, 2014), 사목(롱까, 노동출판사, 2016), 'Spring Textile Border'(Pen Ky, People's Army Publishing House(Vietnam), 2017), '붉은 깃발을 흔든 사람들'(수필집, 인민군출판사, 2021), '전염병 퇴치를 위한 전술적 조치'(Pen Sign, People's Army Publishing House(Vietnam), 2021), '충적의 흔적을 따라'(펜 사인, 문학출판사, 2022), 사목(이중 언어출판, 베트남작가협회출판사, 2022), '조국의 긴 마일'(Pen Ky, People's Army Publishing House(Vietnam), 2022) 등이 있다.

판 반 안 작가는 또한 베트남 전국 텔레비전 축제의 'Ho Chi Minh City Television Film Studio'에서 제작한 30부작 역사 다큐멘터리 시리즈 'The pages of frontier history'와 16부작 다큐멘터리 시리즈 'Brothers in the hearts of the people'의 각본가이자 공동 연출가, 인민공안 텔레비전 채널 시나리오 작가, VTV1에서 방송되는 3개의 챕터 '우정의 경계'와 같은 연례 TV 예술·정치 교류 프로그램의 연출과 4개 프로그램 '베트남·중국 국경 방어 우호 교류', '베트남 해안경비대와 친구들'을 베트남 국방 텔레비전 채널에서 방송했으며, VTV2에서 방송되는 '독립스타' 4개 프로그램, VTV1에서 방송되는 '영원한 당에 대한 믿음' 4개 프로그램, VTC 디지털 텔레비전에서 방송되는 '마을의 지렛대' 1개 프로그램, 베트남 국회방송에서 '베트남·라오스·캄보디아 국경 교환' 방송 2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판 반 안 작가는 또 자원봉사 그룹 'The Border in Me'의 창립에 참여했으며, 'Step up the steps' 프로그램에서 Quang Tri, Thua Thien Hue 및 Binh Phuoc 지방의 국경 지역에 있는 5명의 고아 학생을 후원하고 있으며, '시각장애인을 위한 오디오북' 프로젝트 자원봉사자로도 활동하고 있다.

■ 시해설 / 권대근 평론가(대신대학원 대학교 교수)


"빛의 영성과 몸의 감각으로 삶의 본질을 포착하여 형상화한 시"
 

시인은 감각을 통해 자아를 포함한 세계와 만나고, 독자는 감각을 통해 시와 교감하는 사람이다. 이 시 '사념(思念'은 보이지 않는 관념을 보이게 하는 데 묘미가 있다. 시인은 ‘사념’이라는 말 속에서 뭔가를 찾아내려고 한다. 바로 '삶의 본질'이다.

여기서 우리는 '삶'의 체험성과 그 뒤를 이어 전개되는 삶의 입체성을 감지하게 된다. 관심을 갖고 주의 깊게 살펴보면, 삶에 숨겨진 것을 눈치챌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생이란 그 자체로 찬란한 것'에 이어지는 '생은 빛으로 내 육체로도 증명되었으니 말하지 마'라는 어구가 함축의 입체적인 효과를 내면서 독자에게 멋과 맛을 전해준다.

이 시의 감상 포인트는 시적 화자의 생에 대한 생각을 이해하는 데 있다. 그의 '사념'은 사고의 질을 높이고, 감정 양식에 질서를 주고, 존재이유의 물음에 답을 던진다. '생'이라는 말이 팜 반 안 시인의 시를 통해 의미화가 되지 않았더라면 '생'이라는 말을 들었을 때, 과연 찬란함을 느낄 수 있을까. 사색과 사유에 있어서 그 폭과 높이와 깊이를 잴 수 있을까. 우리는 삶의 양면성에서 벗어날 수 없는 운명을 가지고 살고 있다.

삶은 언제나 안개 속이다. 시인은 살아 있는 자의 경험으로 삶은 증명되었으니, 더 이상 삶에 대해 말하지 말라고 한다. 시인에게 있어서 생은 걸으면서 만나게 되는 체험의 대상이다. 그러니 체험하지 않고는 침묵하라는 이 반전의 묘미, 역설의 힘이야말로 이 시의 매력이다.

알고 보면 그게 우리네 인생이고, 호기심을 가지고 생의 의미를 채굴하고자 하는 시인이 생각하는 인생의 본질이다. 그녀의 시를 따라가다 보면, 삶의 슬픔도 기쁨도 만날 수 있다. 후회의 쓴맛도 희망의 단맛도 느낄 수 있는 생은 양가적이다. 이렇게 볼 때 팜 반 안 시의 생명적 근원은 반전을 노리는 인식에 있다고 말할 수 있겠다.

이 시는 생을 응시하는 눈길이 이렇게 긍정적이라는 데서 놀라움을 겪게 된다. 그녀의 시에 나타나는 자연은 본래적 의미의 생성적 질서와 그 환희의 인식이 주조를 이루고 있다. 그녀는 체험으로 사상의 진면목과 교응하길 좋아한다. 생에 대한 사념은 자연스러운 삶의 과정이어서 어떠한 인위도 만들지 않는다.

'생은 빛으로 내 육체로도 증명되었으니 말하지 마!'라는 마지막 세 번째 연은 절창이다. '빛'은 믿음을 의미하며, '육체'는 자신의 감각을 나타낸다. 영성과 체험으로 증명된 생의 본질에 대해 입을 막는 것은 생명의 존귀를 찾고 생의 이치를 구하기 위함이다.

시인은 생명을 가진 존재를 근원적으로 성찰하고, 일상에 자리한 희노애락을 체득하면서, 그것을 긍정으로 승화시켜 낼 수 있는 마음의 소유자라 하겠다. 이 시는 빛의 영성과 몸의 감각으로 삶의 본질을 포착하여 형상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발로 뛰며 몸으로 쓰는 몸시의 운치는 시적 특질로서 가히 형상적이라 하겠다.


■ 권대근 평론가

한국어 번역자 권대근 평론가는 경남 남해 출생으로 영남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하고 동아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인문대 인문학 과정을 수료했으며, 미국 Troy State University TESOL 자격 취득, 미국 California State University TEFL 과정을 수료하고 사법통역사 자격을 취득했다.

한국PEN번역원 번역위원,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출제위원, 대입검정고시 영어과목 출제위원, 문학박사(동아대), 명예철학박사(대신대학원대), 1988년 <동양문학> 등단 후, <중앙일보> 및 <경북신문> 신춘문예에서 수필 부문과 평론 부문에서 각각 당선됐다.

저서로는 <수필은 사기다> 등 20 여권이 있으며, 2000년부터 미국, 영국, 캐나다, 중국, 일본, 인도네시아 등에서 해외 문학강연을 해오고 있다.

현재 대신대학원대학교 국문과 교수, 사단법인 국제PEN한국본부 부산지역위원회 회장, 한국문학세계화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i24@daum.net

배너
[해외 이슈 작가 문학작품 選] 베트남의 시인·교수·의사 풍딱깜(Phùng Đắc Cam) 시인의 詩 '그대, 삼월의 하노이로 서둘러 돌아오다' 外 1편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1943년 베트남에서 태어난 교수·의사·과학자인 풍딱깜(Phùng Đắc Cam) 시인은 베트남 임상미생물학 분야의 권위자로, 수십 권의 전문서와 더불어 유럽과 미국의 과학 저널에 약 100편에 달하는 논문을 발표한 학자이다. 생애 대부분을 과학 연구와 교육에 헌신하며, 제자들에게 늘 모범이 되는 스승이자 존경받는 교육자로 살아왔다. 그러나 그의 삶은 학문에만 머물지 않았다. 스무 살 무렵부터 써온 시편들 속에는 섬세하고 깊은 감성이 깃들어 있다. 과학자의 냉철함과 시인의 따뜻한 시선이 공존하는 그의 시는, 시간과 기억, 자연과 인간의 존재를 조용히 응시하고 있다. 과학의 세계에서 진리를 탐구하던 그는, 언어의 세계에서는 감정과 삶의 본질을 탐색해왔다. 이번 '해외 이슈 작가 문학작품 選'에서는 풍딱깜이라는 한 사람 안에 깃든 '학자'와 '시인', 두 세계의 아름다운 조우를 담고 있는 그의 시 '그대, 삼월의 하노이로 서둘러 돌아오다다'와 '2023년, 가을' 두 작품을 선정해서 한국의 독자들에게 소개해 본다. [편집자 주] Giáo sư - Tiến sĩ khoa học Phùng Đắc Cam Sinh năm 1943.
서울특별시한궁협회,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 성료
(서울=미래일보) 서영순 기자 = 서울특별시한궁협회가 주최·주관한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가 지난 17일, 서울 노원구 삼육대학교 체육관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약 250명의 선수, 임원, 심판, 가족, 지인이 함께한 이번 대회는 전 세대를 아우르는 스포츠 축제로, 4세 어린이부터 87세 어르신까지 참가하며 새로운 한궁 문화의 모델을 제시했다. 대회는 오전 9시 한궁 초보자들을 위한 투구 연습으로 문을 열었다. 이어진 식전 공연에서는 전한준(87세) 작곡가의 전자 색소폰 연주로 '한궁가'가 울려 퍼졌으며, 성명제(76세) 가수가 '신아리랑'을 열창했다. 또한 김충근 풀피리 예술가는 '찔레꽃'과 '안동역에서'를, 황규출 글벗문학회 사무국장은 색소폰으로 '고향의 봄'을 연주해 감동을 더했다. 마지막으로 홍소리 지도자가 '밥맛이 좋아요'를 노래하며 흥겨움을 더했다. 오전 10시부터 열린 개회식에는 강석재 서울특별시한궁협회 회장을 비롯해 허광 대한한궁협회 회장, 배선희 국제노인치매예방한궁협회 회장 등 내빈들이 참석해 대회의 시작을 축하했다. 김도균 글로벌한궁체인지포럼 위원장 겸 경희대 교수와 김영미 삼육대 교수, 어정화 노원구의회 의원 등도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씨젠, 희망브리지에 산불 피해 지원 성금 3억원 기부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회장 송필호)는 분자 진단 기업 ㈜씨젠(대표 천종윤, 이대훈)이 산불 피해 이재민을 돕기 위해 3억원을 기부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기부금은 강원, 경북, 경남 지역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로 삶의 터전을 잃은 주민들의 생계 회복과 피해 복구 지원에 사용될 예정이다. 씨젠 관계자는 "재난 상황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생명과 건강을 지키는 일이라고 생각한다"며 "이번 기부가 피해 지역 주민들의 일상 회복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신훈 희망브리지 사무총장은 "씨젠의 의미 있는 나눔에 깊이 감사드린다"며 "희망브리지는 기부자의 뜻을 담아 피해 지역 주민들의 빠른 회복을 위한 지원과 현장 구호 활동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희망브리지는 산불 발생 이후 지금까지 45만여 점의 구호물품을 긴급 지원하고 있으며, 임시 대피소 내 세탁 서비스, 의료 지원, ‘밥차’ 급식 등 실질적인 복구 활동도 활발히 이어가고 있다.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는 1961년 전국의 언론사와 사회단체가 설립한 재난 구호모금 전문기관이다. 주요 활동은 재난 긴급 구호, 국민 성금 모금 및 배분, 재

정치

더보기
우형찬 서울시의원, "내란 수괴의 국정철학이 교육현장에?"…서울시교육청·각급 학교 등에 게시된 국정목표 철거 촉구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우형찬 서울시의회 의원(양천3, 더불어민주당)은 14일 "서울시교육청과 그 직속 기관을 비롯해 각급 학교 등에 게시된 '내란수괴 윤석열 정부의 국정목표' 를 즉각 철거해야 한다"고 강력히 촉구했다. 앞서 행정안전부는 2022년 6월 공문을 통해 윤석열 정부의 국정목표, 액자 규격 및 제작 사양, 게시 방법 등을 안내하면서, 이를 기관 실정에 맞게 지속적으로 공유·홍보해줄 것을 요청한 바 있다. 이에 따라 같은 시기 서울시교육청 역시 관련 내용을 교육청 본청, 직속기관, 교육지원청, 도서관 및 각급 학교에 전파하고 인쇄본 배부 및 게시를 요청한 것으로 확인됐다. 우 의원은 "현재까지도 일부 학교의 교장실, 교무실, 현관 등에는 윤석열 정부의 국정목표가 일부 그대로 게시되어 있다"며 "윤석열 전 대통령이 헌정질서 파괴로 파면되었고 내란 수괴혐의로 수사를 받고있는 상황에서 그의 철학과 가치가 담긴 홍보물을 교육 현장에 그대로 두는 것은 신성한 교육현장을 더럽히고 나아가 미래 세대를 이끌어갈 학생들에게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한편 일부 학교에서는 자발적으로 국정목표를 철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우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