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7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칼럼] 최창일 시인, '사랑은 죽음보다 더 강하다'

러시아의 핵심적인 미학의 중심이 된 벨렌스키...예술가는 현실과 직결되어야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시골 마을에 과부 할머니의 스무 살짜리 외아들이 죽었다. 마을에 여자 지주가 할머니의 슬픈 소식을 듣고 장례식날 그 집을 방문했다. 마을의 여자는 할머니를 만났다. 할머니는 집의 한복판 탁자 앞에서 힘없이 축 늘어진 모습이었다. 연기에 그을린 솥에서 멀건 양배춧국을 떠서 한술 두술 입으로 가져갔다.

할머니의 얼굴은 혈색이 없고 검은빛이다. 눈은 빨갛게 충혈되어 퉁퉁 부어 있었다. 몸만은 교회서처럼 단정한 자세였다.

동네 할머니의 입에선 '맙소사' 소리가 나올 뻔하였다. "이 순간 음식을 먹다니…아니 저 사람의 감정이란 참으로 무정하구나!"

그러자 여자 지주는 갑자기 생각이 났다. 몇 년 전 생후 9개월 된 딸 아이를 잃었을 때, 너무 슬퍼서 별장을 빌리기로 한 계획을 취소하고 여름 내내 시내에서 보내던 일이 생각났다.

할머니는 계속해서 양배춧국을 먹고 있었다. 마침내 여자 지주는 더 이상 속내를 감추지 못했다. "타치아나!" 여자 지주가 말했다. "생각해 봐요! 나는 놀랐어! 그래 아들을 사랑하기나 했나요? 어떻게 배춧국이 넘어간단 말이야!"

"내 아들은 죽었어요." 할머니는 조용히 말했다. 그러자 다시 비통한 눈물이 푹 파인 양 볼을 따라 흘러내렸다.

"나도 끝입니다. 생매장을 당한 거죠. 그렇다고 양배춧국을 버릴 수는 없잖아요. 소금을 뿌렸는데." 여자 지주는 그저 어깨만 흠칫하더니 밖으로 나가 버렸다. 그녀에게 소금은 아주 싼 것이었다.‘

러시아 시인 이반 세르게예비치 투르게네프(Ivan Sergeyevich Turgenev, 1818~1883)의 산문시 '배춧국'이다.

이반은 톨스토이, 도스토옙스키와 함께 러시아 사실주의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다. 산문시로서도 깊은 인상이지만, 소설도 감동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모스크바 대학에서 문학부를 거쳐 철학부를 졸업한다. 그리고 베를린대학교에서 유학하며 서구주의자가 되었다. 그는 당시 러시아 지성계를 대표하는 알렉산더 게르첸, 미하일 바쿠닌, 비사리온 벨렌스키 등과 교류했다.

그의 학문적 영향이었을까 철학적 사고가 작품에 곳곳에 배인 것을 본다. 배춧국도 그렇다. 정밀하게 계산된 과장의 억제, 균형, 시적 가치에 대한 고려 등으로 결론은 독자에 맞기는 형태를 두었다.

그의 작품은 모두 시사적이다. 의식이 있다. 고상한 사랑 이야기와 등장인물의 예리한 묘사는 호소력이 강하다. 시인은 당시에도 매력적인 인기를 가졌으며 재치가 있고 정직한 문인으로 평가받았다. 그가 동시대에 활동한 도스토옙스키나 톨스토이에, 가려 덜 빛났다는 의견도 있다. 그러나 그의 작품은 아름다운 삶을 깊이 인식하고 다루는 솜씨가 특출하다.

투르게네프는 계몽과 교육, 문명의 가치를 중시하면서 민중 계몽에 앞장선 서구주의자다. 진보적인 정치 사회 사상을 이해하는 점진적 개혁주의자였다.

투르게네프의 시, '배춧국'을 두고 이러쿵, 저러쿵 하고 싶지 않다. 시인 스스로 독자에 각자 이해하도록 한 사실을 존중하고 싶어서다.

투르게네프는 평생을 독신으로 살다 갔다. 그렇다고 사랑을 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다만 호적상으로 홀로 살다 갔다. 옥스퍼드대학에서 그에게 명예박사학위를 준 것을 보아도 그의 작가성에 대한 평가는 크다. 그의 주검의 유언은 페테르부르크의 볼코프 공동묘지에 있는 벨렌스키 무덤 옆에 안장을 부탁하였다. 그의 유언대로 되었다.

큰 시인이 주검을 앞두고 벨렌스키의 무덤 옆에 안장을 유언한 기록은 특별하다. 미완으로 끝이 난 여인 옆에 안장을 유언한 것이 아니라 존경하는 선배 문인의 묘지 옆에 안장을 유언한 것이다. 투르게네프를 보면, 예술은 신비적인 것을 벗어난다.

예술가는 현실과 직결되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러시아의 핵심적인 미학의 중심이 된 벨렌스키는 죽어서도 존경을 받는 것을 어떻게 생각할까? 이반 세르게예비치 투르게네프 <사랑은 죽음보다 더 강하다>의 시집을 살며시 펼치는 여름이다.

최창일 시인('시원의 입술' 저자).

i24@daum.net
배너
서울특별시한궁협회,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 성료
(서울=미래일보) 서영순 기자 = 서울특별시한궁협회가 주최·주관한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가 지난 17일, 서울 노원구 삼육대학교 체육관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약 250명의 선수, 임원, 심판, 가족, 지인이 함께한 이번 대회는 전 세대를 아우르는 스포츠 축제로, 4세 어린이부터 87세 어르신까지 참가하며 새로운 한궁 문화의 모델을 제시했다. 대회는 오전 9시 한궁 초보자들을 위한 투구 연습으로 문을 열었다. 이어진 식전 공연에서는 전한준(87세) 작곡가의 전자 색소폰 연주로 '한궁가'가 울려 퍼졌으며, 성명제(76세) 가수가 '신아리랑'을 열창했다. 또한 김충근 풀피리 예술가는 '찔레꽃'과 '안동역에서'를, 황규출 글벗문학회 사무국장은 색소폰으로 '고향의 봄'을 연주해 감동을 더했다. 마지막으로 홍소리 지도자가 '밥맛이 좋아요'를 노래하며 흥겨움을 더했다. 오전 10시부터 열린 개회식에는 강석재 서울특별시한궁협회 회장을 비롯해 허광 대한한궁협회 회장, 배선희 국제노인치매예방한궁협회 회장 등 내빈들이 참석해 대회의 시작을 축하했다. 김도균 글로벌한궁체인지포럼 위원장 겸 경희대 교수와 김영미 삼육대 교수, 어정화 노원구의회 의원 등도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
정청래, 이재명정부 첫 여당 대표에 선출…"강력한 개혁·원팀으로 총선·지선 승리"(종합) (고양=미래일보) 장건섭, 이연종 기자 =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첫 여당 지도부를 선출하는 더불어민주당 임시전국당원대회가 2일 경기도 고양 킨텍스에서 열렸다. 이날 당대표에는 정청래 의원이, 공석이던 최고위원 1석에는 황명선 의원이 각각 선출됐다. 정 신임 대표는 박찬대 후보와의 양자 대결에서 총득표율 61.74%를 기록, 38.26%에 그친 박 후보를 큰 표차로 따돌렸다. 당심(黨心)을 등에 업은 낙승이었다. 권리당원 투표에서만 65.82%를 얻으며 승기를 잡았다. 최고위원직에는 단독 출마한 황명선 후보가 권리당원 찬반투표에서 84.11%의 압도적인 찬성으로 당선됐다. 황 의원은 논산시장 3선 경력의 자치분권 전문가로, 향후 내년 6월 지방선거 총괄을 맡게 될 '키맨'으로 기대를 모은다. 이날 전당대회는 강서구 파로스 합창단의 개막 공연으로 시작됐다. 김병기 원내대표와 이춘석 전당대회준비위원장의 축사에 이어, 이재명 대통령과 문재인 전 대통령의 영상 메시지도 상영되며 행사의 의미를 더했다. 후보자 정견발표에서는 각자의 개성과 메시지가 도드라졌다. 정청래 후보는 "강력한 개혁의 선봉에 서겠다"고 선언하며, 소녀시대의 '다시 만난 세계'를 배경으로 무대에 올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