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7 (금)

  • 구름많음동두천 15.8℃
  • 맑음강릉 18.8℃
  • 구름조금서울 18.9℃
  • 구름많음대전 16.8℃
  • 맑음대구 16.8℃
  • 박무울산 16.1℃
  • 구름많음광주 19.1℃
  • 맑음부산 17.9℃
  • 흐림고창 16.4℃
  • 구름많음제주 19.2℃
  • 구름많음강화 17.0℃
  • 구름조금보은 14.5℃
  • 구름조금금산 14.0℃
  • 흐림강진군 17.2℃
  • 맑음경주시 15.5℃
  • 구름조금거제 15.7℃
기상청 제공

사회

인구 2536만명 서울·경인 등 수도권 거주

행자부, 국민 49.4%인 달해.... 공무원 100만명 돌파

[미래일보] 한창세 기자 = 기초자치단체 수원시의 인구가 지난해 광역자치단체인 울산시를 추월했다. 또 국내 총 인구의 49.4%인 2536만 3671명이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jpg


행정자치부는 행정자치 분야의 기본통계가 수록된 ‘2015 행정자치통계연보(통권 17호)’를 28일 발간했다.

 

이번 통계연보는 행정자치부 일반현황, 정부조직, 공무원 정원, 전자정부, 지방행정, 지역발전, 지방재정, 행정관리 등 8개 분야, 총 181개 통계표로 구성됐다.

 

통계연보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광역자치단체는 총 17개로 전년과 동일했다. 기초자치단체는 226개로 청주시와 청원군의 통합으로 1개 군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인구 분포를 보면 광역자치단체 중에서 경기도가 1235만 7830명으로 가장 많았고 세종특별자치시가 15만6,125명으로 가장 적었다.

 

기초자치단체 중에서는 경기 수원시가 117만 4228명으로 가장 많고 경북 울릉군이 1만 264명으로 가장 적었다.

인구별 최다·최소 행정구역을 살펴보면 수원시의 인구는 같은 시 단위 중 최소 인구인 계룡시의 4만 1000명에 비해 28.6배 많았다.

 

광역시 중에서는 부산광역시의 인구가 울산의 3배, 도 중에서는 경기도의 인구가 강원도의 8배인 것으로 조사됐다.

 

읍·면·동에서는 경기 남양주시 화도읍이 9만 8183명으로 가장 많고 강원 철원군 근북면이 118명으로 가장 적었으며 주민이 없는 곳도 7개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말 외국인주민은 174만 1919명으로 전년대비 10.98%(17만 2449명) 증가했다. 현재 주민등록인구 대비 3.4%에 해당하는 외국인주민이 우리나라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지방자치단체 예산 총액은 173조 2590억 원(당초예산 순계 기준)으로 전년 대비 5.92%(9조 6797억원) 증가했다.

 

사회복지사업의 확대 등으로 지방 재정자립도와 재정자주도는 2013년 이후 계속 하락세로 각각 45.1%, 68.0%였다.

 

재원조달의 자립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재정자립도는 광역자치단체에서는 서울(80.4%)이 가장 높고 전남이 14.5%로 가장 낮았다.

 

기초자치단체는 서울 강남구가 60.0%로 가장 높고 경북 영양군이 4.5%로 가장 낮았다.

 

우리나라 전체 공무원 정원은 2014년 말 기준 101만 310명으로 처음으로 100만명을 돌파했다. 지방공무원 1명당 주민수(정원기준)는 10년 전 178명이었던 것이 174명으로 미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데이터 개방과 이용 실적 모두 큰 폭으로 늘어났다. 지난해 개방한 데이터 셋이 1만 1796건으로 2013년 대비 2.5배 이상 증가했으며 ‘내려받기’ 이용건수는 11만 5525건으로 28.1배 증가했다.

 

공공기관이 설치한 CCTV는 2014년 말 기준 총 65만 5030대로 집계됐다. 목적별로 구분하면 시설안전이 49.1%로 가장 많고 범죄예방 46.0%, 교통단속 3.0%, 교통정보수집 1.9% 순으로 뒤를 이었다.

 

지자체별로 설치·운영하는 CCTV통합관제센터도 지난해 29개소를 추가 설치해 전국에서 총 149개소를 운영 중에 있다.

 

‘생활불편스마트폰 신고’는 2012년 전국 서비스 개시 첫해 7만 1032건이었던 신고건수가 작년에는 총 28만 2,000여건으로 급증했다.

배너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한덕수 총리 "남북한 신뢰 회복될 때까지 '9.19 군사합의' 효력 정지"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한덕수 국무총리는 4일 "오늘 국무회의에서는 남북한 상호 신뢰가 회복될 때까지 '9.19 군사합의' 전부의 효력을 정지하는 방안을 추진코자 한다"고 말했다. 이날 제25회 국무회의에서 한 총리는 "북한은 지난 5월 28일 오물 풍선을 살포한데 이어 29일부터 GPS 전파교란 공격을 자행했고, 우리 정부의 강력한 경고에도 불구하고 30일에는 탄도미사일 18발을 발사했으며 지난 2일에는 오물 풍선 살포를 재개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에 "북한의 연이은 도발은 우리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크게 위협함은 물론 한반도 평화를 심각하게 저해하는 행위"라고 규탄했다. 특히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는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며, 오물 풍선 살포 또한 정전협정을 명백히 위반하는 행위"라면서 "GPS 교란은 민간 선박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몰상식하고 저열한 행위"라고 강조했다. 한 총리는 그러면서 "정부는 북한의 도발에 대해 긴급 NSC 상임위원회 등을 개최해 대응방안을 심도있게 논의한 바, 이미 유명무실화된 '9.19 군사합의'가 우리군의 대비태세에 많은 문제점을 초래하고 있다고 평가했다"고 설명했다. 한 총리는 "이러한 조치는 우리 법이 규

정치

더보기
文 정부 출신 국회의원 22인, 9.19 군사합의 효력정지 강력 규탄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간사에 내정된 김영배 의원 등 더불어민주당의 문재인 정부 청와대 출신 국회의원 22인은 5일, 정부의 9.19 군사합의 효력 정지 의결을 두고 "도무지 이해할 수도, 납득할 수도 없는 조치"라며 성명서를 발표했다. 정부는 4일 "이미 북한의 사실상 파기선언에 의해 유명무실화된 9.19 군사합의가 우리 군의 대비 태세에 많은 문제점을 초래하고 있다"고 밝히며 국무회의를 통해 9.19 남북군사합의 전부의 효력정지안을 심의, 의결했다. 이에 대한 후속조치로 같은 날 국방부는 브리핑을 통해 "그동안 제약받던 군사분계선·서북도서 모든 군사활동 복원하겠다"고도 밝혔다. 이를 두고 더불어민주당의 문재인 정부 청와대 출신 국회의원들은 "남북 군사적 긴장을 완화하고 평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해도 모자랄 판에 정부 스스로 안전핀을 뽑아버리며 한반도 평화에 사망선고를 내렸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북한의 도발에 대해 규탄하면서도 "9.19 군사합의는 일정 구역의 군사운용을 통제해 우발적인 군사 충돌을 방지하고자 체결된 남북 간 최초 군비통제 합의서로서, 이를 정지하겠다는 것은 한반도를 언제나 전쟁이 일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