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POP 국제문화올림픽이라니, 이런 국제적인 행사가 있는지 잘 모르는 이들 이 많을 것이다. K-POP 국제문화올림픽이 무엇인지 조직위원회 초대의장을 맡은 박기활 의장의 말을 들어봤다.
마침 총선 시기와 겹치는 바람에 국제문화올림픽의 취지에 공감하는 정치인들이 이날 발대식 행사에 참여하지 못한 게 많이 아쉬웠다는 박기활 초대의장은 국제문화올림픽은 말 그대로 문화올림픽이라고 말한다.


박 의장은 이어 "이 대회에 무게를 더하는 최고의 원로(104세) 석학 김형석 교수님을 모시고 또한 각계각층의 명사님들을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성공적인 발대식을 마칠 수 있었다"며 "축구의 종주국이 영국이지만 전 세계 최고의 흥행으로 모든 기득권은 1904년 프랑스 주도하에서 창립된 국제축구연맹(FIFA)이 주도권을 가져간다"라고 말했다.
박 의장은 그러면서 "영국은 축구하는 단 하나의 회원국일 뿐이다"라며 "이와 같이 K-POP의 종주국은 당연 대한민국인데 우리가 지금 누리는 1등 문화중심국가의 주도권을 FIFA와 같이 지금 기회에 선점하지 않으면 영원히 K-POP의 기득권은 대형자본에 의해서 우리의 자산이 될 수 없다는 게 자명하다"고 강조했다.
박 의장은 계속해서 "우리만의 전유물처럼 기득권을 누렸던 한류 K-POP은 사라지고 영국처럼 그냥 K-POP 종주국으로 껍데기만 남는 엄청난 기득권(2030부산 월드 EXPO 유치권의 10배 이상의 가치)을 상실 할 수 있겠다는 위기의식 속에서 저와 저희 단체(사단법인 K-POP 세계연맹)는 '대국민청원 제안 BIG 3' 1000만명 서명 동참 캠페인을 실행하게 되었다"라며 "이 목표를 성공하기 위해서 전국 시·도 광역시와 지자체와 협력하여 1차 년도에는 뜻을 모으는 기간으로 설정하여 중소기업과 각종 단체와 콜라보로 한마당 길거리 축제 이벤트로 군악대와 괭가리 치는 농악대까지 동원하여 국기 페레이드와 길놀이 문화를 대변하는 향토 마당놀이 탈춤 사물 풍물놀이 등으로 볼거리를 제공하며 K-커버댄스국제경연대회로 까지 행사장의 분위기를 극치로 신 바람나는 축제 한마당 퍼포먼스 이벤트를 통하여 붐업을 가동하는 전국투어 일정을 계획하였다"라고 말했다.

사실 눈앞에서 승부가 가려지는 스포츠와 달리 감성의 영역이라 할 수 있는 문화예술을 특정한 잣대로 평가하고 순위를 매긴다는 것은 정서적으로 쉽게 받아들이기는 어렵다. 더구나 평가의 공정성은 어떻게 확보할 것인지 궁금하다.

박 의장은 "먼저 K-POP이 한류문화를 전 세계에 확산시키는 데 지대한 영향을 미친 것은 부정할 수 없다"며 "이렇듯 한국을 빛내고 있는 K-POP이 과연 언제까지 지 속될 수 있을지 걱정이 많았다"라고 소회를 밝혔다.
박 의장은 이어 “시대를 풍미했지만 한때 유행처럼 사라진 분야도 많았기에 K-POP이 하나의 장르로서 인류에게 문화가 존재하는 한 영원히 이어지길 바랐다”며 “K-POP을 현재의 인기에만 의존하여 상업적 관점에서만 접근한다면 언젠가는 시들어버릴지도 모르기에 미리 준비해야겠다는 생각을 했었고, 그에 대한 일환으로 국제문화올림픽을 구상한 것”이라고 말했다.
K-POP 초기에는 한국가수로 구성된 아이돌그룹이 주를 이루었지만, 점차 외국인도 한국 아이돌그룹 멤버로 활동하면서 외국 팬들에게도 좀더 친숙하게 다 가갈 수 있었다.
이는 International K-POP의 전초가 되어 최근에는 한국 가수가 없는 외국인만으로 구성된 K-POP 그룹이 출현하고 있다.
이들은 각 나라의 문화와 접목하여 K-POP을 재해석하고 독창적으로 개발해 나간다. 더 이상 K-POP은 한국인들만의 전유물이 아니라 일종의 글로벌 장르인 것이다.
이렇게 다양한 방식으로 활동하고 있는 각국의 K-POP 아티스트들이 한자리에 모여 그들의 시각으로 창작한 K-POP 작품으로 올림픽 경연을 펼친다는 것은 매우 흥미롭고 재미있는 경험이 될 것이다. 창작자들에게 ‘금은동‘은 창작열을 돋구어주는 동기로 작용할 뿐 그 자체가 목표는 아니다.
문화올림픽에 참가하는 가수들의 경우에는 콘서트 같이 상업 목적의 이벤트에서 벗어나 순수하게 음악만으로 전 세계의 팬들에게 다가갈 수 있다는 점도 매력적인 요소다.
이를 통해 K-POP은 한 시대에 머물지 않고 계속해서 진보해 나갈 것이며, 바로 여기에 K-POP 국제문화올림픽의 의의가 있다고 박 의장은 말한다.
물론 K-POP 국제문화올림픽이 전 세계인이 참여하는 축제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넘어야 할 산들이 있다.
국제적인 경연이니 만큼 여러나라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요하고, 창작자들에겐 금은동이 목표가 아니라 해도 팬들에게는 평가의 공정성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이렇게 큰 행사를 준비하고 있는 박 의장은 지난 수십년간 K-POP의 저변확대와 한류문화 확산을 위해 노력해 왔다. K-POP브랜드를 자체 보유하고 있으면서, 매월 K-POP TIMES를 발간하여 K-POP의 현황을 전 세계에 알리고 있다.
박 의장의 올해 숙원사업은 국제문화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하는 일이라고 말했다.
박 의장은 "이를 위해 ‘대국민청원’ 서명 캠페인에 돌입하였고 모바일 참여 이벤트를 진행 하고 있다"며 "아무쪼록 한국의 주요 자산인 K-POP이 나날이 발전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번 국제문화올림픽 조직위원회 발대식을 통해 크게 한걸음 내딛은 원대한 꿈이 반드시 이루어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