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럽연합(EU) 외교이사회 참석차 벨기에 브뤼셀을 방문한 강 장관은 19일(현지시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철강 관세를 둘러싼 국제적 논란이 북한과의 획기적 핵합의를 이뤄내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노력에 해롭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강 장관은 이날 FT와의 인터뷰에서 "타이밍이 나쁘다"며 "한국과 미국이 북핵 이슈로 공조하고 있는 상황에서 양국에 모두 나쁜 조치"라고 강조했다.
FT는 트럼프 행정부의 여러 중요한 외교정책 목표들 사이에 형성된 긴장이 강 장관의 이날 비판을 통해 두드러지고 있다고 해설했다.
강 장관은 국가안보를 근거로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미국의 계획 탓에 국제 통상체계와 미국 경제가 둘 다 망가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관세 인상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정상회담을 앞둔 한국과 미국 정부의 공조가 약화할 수 있느냐는 FT의 질문에 강 장관은 "글쎄, 도움은 안 될 것 같다"고 답변했다.
강 장관은 미국이 세계시장의 철강 과잉생산을 우려하고 있다는 점을 이해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강 장관은 미국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재협상하는 압력까지 받는 한국은 철강에 대한 쌍방면세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강 장관은 "더 넓고 포괄적으로 논의하자면 이것은 미국이 안보동맹에, 특별히 지금 이 시점에 할 일은 아니라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북핵 문제와 관련해서는 이란과 북한의 사례를 직접 비교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북한의 핵 개발 상황이 훨씬 진전돼 있다는 이유다.
그는 이번 회담에 전폭적인 노력을 기울여달라고 북한 지도부에게 당부했지만 '회의주의'에 빠질 수 밖에 없었던 과거 회담 사례도 충분히 인식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 때문에 북한과의 대화의 '위험'을 충분히 인지하고 매우 신중히 관리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강 장관은 최근 미국의 국무장관 교체에 대해서는 "외교적으로 약간의 공백은 있겠지만 차질을 빚을 정도는 아니다"라고 예상했다. 미국이 북한과의 대화에 실패한 뒤 군사적 대응을 할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한반도에서 또 한번의 전쟁은 있을 수 없다는 우리의 입장은 매우 명확하다"고 못박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렉스 틸러슨 국무부 장관을 해임하고 대북 강경파인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중앙정보국(CIA) 국장을 그 자리에 앉히기로 했다.
북미 정상회담이 실패로 끝나면 미국 행정부 내에 군사대응 목소리가 커질까 우려되지 않느냐는 말에 강 장관은 "한반도에 또 다른 전쟁은 있을 수 없다. 우리 입장은 그 점에 대해 절대적으로 명확하다"고 강조했다.
강 장관은 리비아 독재자이던 무아마르 카다피처럼 핵무기 프로그램을 포기한 다른 지도자들의 운명 때문에 북한이 비핵화를 단념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그는 카다피 정권이 핵무기를 보유하고 개발하고 있다면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가 리비아에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지지를 받는 공습에 들어가는 것에 대한 물음에는 "가설로는 좋은 질문"이라고 답변했다.
강 장관은 유럽연합(EU) 외교장관들을 만나기 위해 EU 본부가 있는 벨기에 브뤼셀을 방문해 FT 인터뷰에 응했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