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안혜초 시인(1941- )
잃었으나 얻었지요
나를 조금 잃었으나
당신을 많이 얻었지요
구름꽃을 잃었으나
바람새를 얻었지요
여름숲을 잃었으나
가을산을 얻었지요
겨울눈을 잃게 되면
봄비를 얻겠지요
다시 또 그렇게
■ 詩評
행복은 명예나 부나 권력에 있지 않다. 오히려 행복은 내 안에 있다. 나를 어떻게 다스리는가에 따라 나의 삶과 일상이 바뀌는 것이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평생 동안 행복을 찾아 나선다.
맛있는 음식을 먹고 예쁜 옷을 입으며 여행을 하지만, 인간미(人間味)를 통해서 멋진 인생을 살기도 한다. 여기 행복을 여는 열쇠가 있다. 그것은 바로 순환의 원형을 앎으로서 얻게 되는 행복이다.
'여름숲'이 없어지면 '가을산'이 열리고, '겨울눈'이 지나가면 '봄비'를 얻게 되는 이치이다. 그리고 인간관계에서 커다란 비밀을 하나 있는데, 그것은 남에게 베푸는 사랑에서 얻게 되는 인간미다.
사랑하는 대상을 향해서 내가 가진 많은 것을 주는데, 그것은 결코 잃은 것이 아니다. 내가 그토록 많은 것을 주었는데도 잃은 게 없다니. 그렇다. 잃은 게 없다. 오히려 상대로부터 사랑을 얻고, 인간미를 얻는다. 남에 대한 배려가 가져다주는 기쁨이요, 행복이다.
- 정신재(시인·평론가·국제PEN 한국본부 이사)

■ 안혜초 시인 약력
《현대문학》으로 등단. 이화여대 영문학과 졸업. 다년간 신문기자 역임. 국제PEN 한국본부 자문위원, 한국기독교문인협회·한국현대시인협회 부회장 역임. 한국기독교문학상·윤동주문학상·영랑문학상·한국문학예술상 대상 등 수상. 시집 『귤· 레먼· 탱자』, 『詩 쓰는 일』, 『살아 있는 것들에는』 외 다수. 산문집 『사랑아, 네 어찌 그리 아름다운지』 외 다수가 있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