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혜선 정의당 의원은 12일 "노동환경 전반에 대한 특별근로감독을 실시해야 한다"며 포스코의 산재사고 은폐 정황을 제시했다.
추 의원은 이날 오후 국회 정론관에서 '포스코 산재은폐 진상조사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더 이상 산업재해로 안타까운 죽임이 또다시 있어서는 안 된다"며 의심 정황을 전했다.
앞서 설 연휴가 시작된 지난 2일 포스코 생산기술부에서 근무하던 김선진씨는 인턴직원 대상 직무교육을 진행하던 중 사망했다.
포스코는 사고 당일 유가족에게 사망 사유를 심장마비로 최초 통보했지만, 유가족에 따르면 김씨는 심장질환이 전혀 없었다.
또 당시 인턴사원은 경찰 진술을 3차례 번복한 것으로 알려졌다. 추 의원과 민주노총 전국금속노동조합 등은 인턴사원의 진술이 회사에 지시에 의한 것인지 여부에 대해 의심하고 있다.
이날 기자회견을 주관한 추 의원은 "피해자가 사망한 지 10여 일이 지난 지금까지 유가족들은 더 큰 아픔과 분노에 휩싸여 고인의 장례도 치르지 못하고 있다"고 호소했다.
추 의원은 "사고 당일 회사는 유가족에게 피해 노동자의 사망 사유를 심장마비로 최초 통보했지만 부검 집도의가 판단한 직접적 사인은 장간막, 췌장 등 장기파열로 인한 과다출혈이었다"며 "이는 기계에 끼는 사고가 발생했을 때 일어나는 증상"이라고 말했다.
추 의원은 이어 "최초 사건을 목격한 인턴직원은 조사과정에서 3차례나 진술을 번복했고, 현장의 기계가 꺼져있었다는 사측의 답변과는 달리 기계가 작동중이었다고 증언하고 있다"며 "고인이 사고 당시 입었던 작업복은 찢어져있고, 크레인의 기름이 묻어있기까지 했다"고 주장했다.
즉 포스코가 산업재해의 흔적이 없다며 심장마비만을 사인으로 두고 사건을 축소, 은폐하려 했다는 것이다.
추 의원은 "지난 4분기 한 달 간 무려 5건의 산업재해사고가 발생하는 등 산재사고에도 불구하고 포스코는 어떠한 개선의 노력도 없었다"며 "이번 사건에 대한 진상조사와 포스코 노동환경 전반에 대한 특별근로감독을 실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 상임대표는 이어 "더이상 산업재해로 인한 억울한 죽음을 방치해선 안된다"며 국회 차원의 진상규명을 촉구했다.
이에 대해 포스코 관계자는 "최근 밝힌 입장문 내용처럼 신속한 상황 수습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고, 관계기관 조사에도 성실히 임해 사망경위를 밝히는데 적극 협조하고 있다"고 밝혔다.
포스코는 지난 9일 입장문을 통해 "직원의 고귀한 목숨이 희생돼 안타까운 심정"이라며 "유명을 달리한 고인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에게 깊은 애도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포스코는 이어 "사실을 왜곡할 이유와 여지가 전혀 없음에도 일부에서 확인되지 않은 허위사실을 퍼뜨리고 사건을 은폐하려 했다는 의혹까지 제기하는 등 안타까운 일이 벌어지고 있다"며 "관계기관 조사를 통해 사실관계가 분명하고 투명하게 밝혀질 것이라고 믿는다"고 전했다.
경찰은 이번 사건의 자세한 사망 원인 파악을 위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부검을 맡겼으며, 약 2주 후 결과가 나오는 대로 사고 경위를 밝힐 예정이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