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18 (토)

  • 구름많음동두천 -0.4℃
  • 구름조금강릉 4.5℃
  • 흐림서울 1.4℃
  • 구름많음대전 4.9℃
  • 구름조금대구 4.0℃
  • 맑음울산 4.2℃
  • 구름많음광주 4.7℃
  • 맑음부산 5.4℃
  • 구름많음고창 5.7℃
  • 흐림제주 6.7℃
  • 구름많음강화 2.7℃
  • 구름많음보은 2.3℃
  • 구름많음금산 3.0℃
  • 구름조금강진군 6.8℃
  • 구름많음경주시 3.5℃
  • 맑음거제 4.6℃
기상청 제공

사회

[2017학년도 수능]출제 난이도 6·9월 모의 평가 수준…영어 변별력위해 약간 어려운 문항 포함

(세종=미래일보) 김동희 기자 = 정진갑 수능출제위원장은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난이도를 6월과 9월 모의 평가와 유사한 수준으로 출제했다고 밝혔다. 또한 영어의 경우 평이한 수준으로 하되 변별력을 위해 약간 어려운 문항을 포함했다고 덧붙였다.

 

다음은 김영욱 수능검토위원장과 정 출제위원장과의 일문일답이다.

-출제 난이도는 어떻게 되나.

 

(김영욱 검토위원장) 적정 난이도 일관성 유지가 대단히 중요하다. 수능 출제에 있어 가장 신경을 썼던 부분중 하나가 적정 난이도 일관성 유지다. 그래서 지난 6월과 9월 모의 평가 수준과 유사하게 본 수능도 출제했다.

 

-영어가 내년부터 절대평가로 바뀌는데 어떤 식으로 변별력을 갖췄나.

 

(정진갑 출제위원장) 영어의 경우 EBS 연계과정에서 EBS 교재 지문을 변형해서 쓰고 있어 문제가 많았다. 절대평가가 시작 되는 것은 내년도이어서 올해에서는 주안점을 두지 않았다. 올해는 기존 교육과정에 맞춰 출제했고 평이한 수준으로 하되 변별력을 위해서 약간 어려운 문항이 포함됐다. 그 정도 수준에서 출제됐다.

 

-영역별 최고 난이도 수준은 어떻게 되나.

 

(정진갑 출제위원장) 과목마다 문항의 개수가 달라서 일괄적으로 말할 수 없지만 최대 목표는 표준점수로 변환했을 때 차이가 없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탐구영역이나 제2외국어의 경우는 과목에 따라 유·불리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그 부분을 최대한 피하도록 노력했다.

 

-만점자 비율은 어떻게 했나.

 

(정진갑 출제위원장) 만점자 비율에 대해서는 크게 신경을 안 쓰고 있다. 기존에는 만점자 비율 1%가 굉장히 금과옥조처럼 여겼는데 최근에 와서는 일단은 오류 없는 문항이 우선이고 전체적으로 등급 브레이크 없을 정도의 난이도 분포 정도에 신경을 쓰고 있다. 만점자 비율 목표는 이번 출제에서는 고려하지 않았다.

 

-오류를 줄이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나.

 

(김영욱 검토위원장) 시험에서 제일 중요한 것이 오류를 줄이는 것이다. 1차 검토본이 나오면 검토단이 학생의 입장에서 시험을 치르고 여러 가지 의견을 피드백한다. 출제와 검토 사이에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여러 중간 장치가 있다. 그래서 서로 피드백을 하고 영역간 교차검토를 한다. 오류를 줄이기 위해 사실 확인이 필요한다. 옐를 들어 국어영역 비문학 지문에 경제문제나 자연과학 문제가 나올 수 있다. 그러면 그 분야 전문가를 모셔 철저히 교차검토한다.

 

우리가 선보이는 것은 8개 영역 41개 과목 980문항이지만 실제로 수천 문제가 만들어 진다. 피드백 과정에서 많이 걸러내고 최종적으로 문항점검위원회에서 각 과목마다 개최해서 출제진과 검토단이 모인 자리에서 공식적으로 토론하고 모든 것들을 실제로 공개하지는 않지만 일일이 검증해 문제가 바깥으로 나오는 것이다.

     

goquit@gmail.com 

배너
서울특별시한궁협회,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 성료
(서울=미래일보) 서영순 기자 = 서울특별시한궁협회가 주최·주관한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가 지난 17일, 서울 노원구 삼육대학교 체육관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약 250명의 선수, 임원, 심판, 가족, 지인이 함께한 이번 대회는 전 세대를 아우르는 스포츠 축제로, 4세 어린이부터 87세 어르신까지 참가하며 새로운 한궁 문화의 모델을 제시했다. 대회는 오전 9시 한궁 초보자들을 위한 투구 연습으로 문을 열었다. 이어진 식전 공연에서는 전한준(87세) 작곡가의 전자 색소폰 연주로 '한궁가'가 울려 퍼졌으며, 성명제(76세) 가수가 '신아리랑'을 열창했다. 또한 김충근 풀피리 예술가는 '찔레꽃'과 '안동역에서'를, 황규출 글벗문학회 사무국장은 색소폰으로 '고향의 봄'을 연주해 감동을 더했다. 마지막으로 홍소리 지도자가 '밥맛이 좋아요'를 노래하며 흥겨움을 더했다. 오전 10시부터 열린 개회식에는 강석재 서울특별시한궁협회 회장을 비롯해 허광 대한한궁협회 회장, 배선희 국제노인치매예방한궁협회 회장 등 내빈들이 참석해 대회의 시작을 축하했다. 김도균 글로벌한궁체인지포럼 위원장 겸 경희대 교수와 김영미 삼육대 교수, 어정화 노원구의회 의원 등도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
박찬대 의원, "특전사의 이례적인 '호남 교도소' 집중 투입, 내란 대비 대규모 구금 시설 확보 의혹 규명 필요"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국방위원회, 원내대표·3선)은 "특전사 7공수 부대가 호남 지역 교도소를 중심으로 자료 수집 임무를 수행한 사실이 확인됐다"면서 "전례 없는 비정상적인 활동에 대해 명확한 규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박찬대 의원이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12.3 불법계엄 선포 9개월 전, 육군 특수전사령부 제7공수특전여단(이하 : 7공수)은 2024년 3월부터 교도소와 한국은행, KBS방송국 등을 총 17차례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교도소는 호남 지역(군산·정읍·전주)에 집중됐으며, 해당 시설에 대한 내부 사진 촬영과 설계도면 확보가 이루어진 것으로 드러났다. 7공수가 단기간에 교도소를 비롯한 중요시설 등을 반복적으로 진입한 점은 7공수 자체적으로도, 다른 특전여단과 비교하더라도 ‘이례적’이다. 박찬대 의원이 특수전사령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10년간 특수전사령부의 국가중요시설 현장확인 임무 수행 현황’자료에 따르면, 7공수는 9년(2015년~2023년) 동안 해당 임무를 수행한 적이 단 한 건도 없었으나, 24년 3월부터 국가중요시설에 대해 총 17차례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23년 12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