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문단의 문호를 존칭하여도 과히 손색이 없는 문덕수 시인이 지난 3월 13일 먼저 이승한 권일송 시인 곁으로 세상의 이불을 벗어났다. 때가 때인지라 코로나19 여파로 평소 문 시인을 존경하고 따르던 제자들의 얼굴이 눈에 띄지 않았다.
호사가(好事家)들은 참석하지 않은 제자들에게 ‘정승집 개가 죽으면 문전성시고 정승이 죽으면 텅텅빈다’ 운운하며 쓴말을 한다. 일부에서는 코로나19, 시대인 만큼 참석하지 않는 제자에게 비난은 옳지 않다는 우호도 있다.
그도 그럴 것이 문 시인이 향년 93세가 되었으니 제자들의 나이도 칠순을 넘어, 팔순에 가까운 분들이다. 예전 풍습에 환갑을 넘으면 상가(喪家)에 가지 않는 것이 예의라는 말이 있었다. 지금이야 100세 시대가 되었으니 그러한 말들은 옛말이다.
대한민국예술원 회장인 이근배 시인을 비롯, 알만한 60여 문인들이 15일 5시에 신촌 연세대학교 장례식장에서 문 시인의 마지막 가는 길에 예(禮)를 갖추었다.
참으로 안타가운 일은 장례식장에서 코로나19, 가짜뉴스의 폐해를 뼈저리게 느낄 수 있는 기회가 될 줄은 몰랐다.
정치권을 비롯한 특정 집단의 가짜 뉴스야 이젠 보편적 이념의 편 가르기가 되었다. 거기에 적당한 저항력도 생겨났다. 이념이 달라도 어지간한 가짜뉴스는 묵묵히 듣고 흘러버리는 인내력까지 갖춘 것이 한국사회의 또 하나의 저항력이다. 저항력은 그만한 시간과 대과를 치루고 나타난다.
중학교 교장 출신의 B시인과 자리를 했다. 식찬(食饌) 뒤, 차 한 잔을 한다. 대화는 자연스럽게 문덕수 시인의 덕담이 오고간다.
말의 끄트머리에 그는 ‘정부가 신천지 이만희 교주와 밀착 되어, 코로나19가 확산 됐다’는 것이다. 중국인을 차단시키지 않는 것도 하나의 사례라 한다.
이만희가 손목에 찬 박근혜 시계도 이만희가 현 정부와 내통, 역풍(逆風)을 이용, 도움을 주기 위해 차고 나왔다는 것이다. 마스크 대란(大亂)은 정부가 뒤로 빼돌려 북한 김정은에 상납했다는 것이다. 상상초월의 가짜뉴스는 가히 구라소설을 넘나든다.
한국의 대표하는 시인의 장례식장에서 황당한 가짜뉴스가 등장이다. 듣고 있던 젊은 시인이 얼굴을 붉히며 ‘그것은 전형적인 가짜뉴스에요‘ 한마디 하고 일어선다. 냉기류의 분위기에 말의 꼬리는 더 이상 이어지지 않았다.
국가적 재난의 상태라도 건전한 비판은 재난 극복의 중요한 요소이기에 필요하다. 재난극복을 책임을 진 정부가 완벽할 수 없고, 비판을 통하여 자기 수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근거 없는, 정치적 의도를 가진 주장은 비판이 아니라 선동이다. 지금 일부 언론과 가짜뉴스 생산자들은 선동에 나섰다.
재난 상황에서도 정치적, 경제적 이득을 챙기려는 언론과 가짜뉴스 생산자들의 선동으로 우리사회가 더 찢기고 있다. 그러나 다행스런 것은 가짜 뉴스가 판을 치는 상황에서도 왜곡된 정보의 폐해를 상쇄시키려는 여타언론들의 활동이 있기 때문이다.
다행이랄까. 가짜뉴스의 폐해가 얼마나 심각한지 폐해를 느끼는 기회가 되었다. 그 뿐이 아니다. 신천지 이만희의 이단 폐해성과 가정을 파괴하고 있는 것도 이번 기회를 통하여 느끼게 되었다. 기성 교단들의 반성도 요구하는 기회가 되었다.
시민단체도 가짜뉴스에 대응하는 부단한 노력이 필요하다. 가짜뉴스를 차단하는 방법은 시민단체의 노력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이제 코로나19를 극복한 성숙한 시민들이 언론의 옥석을 가리는 시간이 왔다. 속 시원한 깨달음은 현자의 것이다. 정의를 갈망하는 이에게 건네는 생수, 시민이 만드는 셈이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