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 화백이 걸어온 인생역정은 일만 가지 묵(墨)의 빛깔처럼 파란만장 그 자체였다. 최 화백의 창작 공간은 제한된 시공간을 넘어 소재의 구분 없이 자유롭게 흐르며 꺼지지 않는 강인한 기백으로 차고 넘친다.
만석꾼 집안의 자손으로 태어났으면, 유복하게 지냈을 법도 한데 최 화백의 가족은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이 너무나도 강력했다. 전 재산을 독립운동에 쏟아 부은 것.
어렸을 때부터 그림 소질을 보였으나, 일제강점기의 그늘 아래 최 화백은 독학으로 공부했다. 10세 때 의제 허백련 선생에게, 학창시절에는 이당 김은호 화백에게 사사를 받으면서 동양화의 양대산맥인 남종화와 북종화를 두루 섭렵했다.
어린 시절 그림을 좀 더 구체적으로 그림을 알고 싶어, 스승 이당의 주선으로 서울대 서양학과에 입학했지만, 박정희 전 대통령의 서슬퍼런 군사독재는 그를 외국으로 내몰았다.
프랑스 파리 소르본대학에서 서양화를 배우며 실력을 연마한 최 화백은, 자신의 몸에서 피를 뽑아 어머니의 한복 속 치마 인견에 생명력 충일한 말을 형상화한 작품을 선보인다.
현대 미술사에 미증유(未曾有)의 전설이 된 이 작품은, 현재 생존화가 중 유일하게 파리 루브르박물관에 소장돼있다.
하지만 이것은 시작에 불과했다. 고국을 떠난 지 11년 만에 귀국한 그는, 프랑스에서 공부했던 서양화와 16세까지 그렸던 동양화를 우리 소재인 광목에 한 장의 그림으로 표현해내며 세계 최초 '동서접목화'의 탄생을 알렸다.
다사다난했던 대한민국 근현대사의 아픔은 최 화백의 인생 항로를 거친 파도 속으로 인도했다. 그러했던 그의 인생모습은 그림에도 나타난다. 최수식 화백의 창작 공간은 제한된 시공간을 넘어 소재의 구분 없이 자유롭게 흐르며 꺼지지 않는 강인한 기백으로 차고 넘친다.
세계미술계 31개 장르 중 7장르를 추가한 세계적인 화가로 우리나라 화가 가운데 유일하게 세계 5대 박물관에서 ▲불란서 루브르박물관 '혈마도' ▲영국 대영박물관 '미녀와 소' ▲스페인 피카소 박물관 '호랑이' ▲일본 우에노 박물관 '악녀' ▲미국 카네기 홀 '악녀' 등의 작품이 전시되고 있다.

류 화백은 최 화백의 '일월오봉도(日月五峰圖)'가 대한민국의 지도자가 삼천리금수강산 국토와 만백성 국민을 항상 섬기라는 염원을 담은 작품이라고 한다. 앞으로 펼쳐질 5천년의 역사 속에서도 국민과 국토를 섬김으로서 세계를 리드할 수 있는 대한민국으로 가는 길을 나타내는 그림이라고 설명한다.

오봉이란 다섯 봉우리를 말하니 곧 오행이다. 오행이란 목(木), 화(化), 토(土), 금(金), 수(水) 다섯 기운을 말하는데 동양학의 근본이다. 다섯 봉우리를 오른쪽에서부터 차례대로 목, 화, 토, 금, 수가 되고 중앙의 봉우리가 가장 큰데, 이것이 토 중심의 오행이며 도읍지인 지금의 서울을 상징한다.
화면의 중앙에는 다섯 개의 봉우리 가운데 가장 큰 산봉우리가 위치하고 그 양 쪽으로 각각 두개의 작은 봉우리가 협시(挾侍)하는 양 배치되어 있다.
해는 중앙 봉우리의 오른편에 위치한 두 작은 봉우리 사이의 하늘에, 달은 왼편의 두 작은 봉우리 사이의 하늘에 떠 있다. 폭포 줄기는 양쪽의 작은 봉우리 사이에서 시작하여 한두 차례 꺾이며 아래쪽의 파도치는 물을 향해 떨어진다.
네 그루의 적갈색 수간(樹幹)을 한 키 큰 소나무가 병풍의 양쪽 구석을 차지하고 있는 바위 위에 대칭으로 서 있다. 병풍의 하단을 완전히 가로질러 채워진 물은 비늘모양으로 형식화되어 반복되는 물결무늬로 문양화(文樣化) 되어 있다. 봉우리 맨 위 문양에서 중앙에서 중단까지는 경복궁 조감도를 그려 넣었으며 하단 양옆 그림에서 오른쪽은 '사직단'(社稷壇, 조선 시대, 국가에서 토지의 신인 사(社)와 곡식의 신인 직(稷)에게 제사를 지내던 곳)을 표현하며, 왼쪽은 선대 임금의 신주를 모시는 '종묘'를 그렸다.

이당 김은호 화백이 다시 살려내시어 완성의 길을 걷다가 그의 제자 운보 김기창 화백이 완성 직전에 사망해 명맥이 끊기는 듯 했으나, 이당 김은호 화백의 마지막 제자인 해산 최수식 화백이 진경산수화의 결정판 청록산수를 완성했다고 극찬한다.
중국풍의 동양화를 한국풍의 진경산수화로, 즉 '청록산수'로 중국풍과 전혀 다른 작품의 세계를 완성했다고 평가한 류 화백은, 외국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작품이라고 강조하며 최수식 화백의 작품세계에 대한 설명을 마무리한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