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1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칼럼] 최창일 시인, '유쾌한 말, 묵형의 말'

"말이란 듣기에 따라 묵형(墨刑)이 될 수도 있어"
"유쾌하며 건강한 말을 생활화하면 자연의 풍경이 될 것"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범방(犯房)에서 온 것 같습니다." 허리가 아파서 지압원을 찾은 학인에게 엄 원장 말이다. 학인은 범방의 뜻을 찾는다. 남녀가 성적 관계를 맺는 일을 뜻한다.

좀 더 점잖게 이르면 궁중(宮中) 용어쯤으로 알아두자. 시각장애인 엄 원장이 범방이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고 "선생님! OO를 하다가 허리에 무리가 생겼어요?"라고 말했다면 듣는 사람은 무안하기 이를 데가 없을 수도 있다. 경박한 화법으로 들릴 수 있다.

말이란 듣기에 따라 묵형(墨刑)이 될 수도 있다. 묵형이란 죄인의 살갗에 먹줄로 죄명을 써넣던 조선 시대 형벌을 이른다.

한국의 욕설은 주로 형벌과 관련이 적지 않다. 조선 시대에 죄인을 처벌하던 것들은 중국의 명나라의 대명률에 의한 것들이 많다. 지금의 우리 법률은 독일 헌법에 근거, 기초하지만, 그때는(조선 시대) 그랬다.

예전엔 '제기랄' 이라는 정도도 큰 욕에 속했다. '제기랄'은 '제기다'라는 동사에서 연유한다. '소장(訴狀)이나 원서(願書)에 제사(題辭)를 쓰다'라고 풀이되어 있다. '제기랄'은 형사 고발을 한다는 의미다.

우리가 어이없을 때 사용하는 '젠장'도 순박한 시절엔 욕으로 받았다. "젠장, 꼭 그러기에요?"라고 목소리를 높이면 그것은 한판 붙자는 식의 격한 표현이다. '젠장(할)'은 '제게(=제기랄) 넨장 맞을'이라는 뜻이다.

'넨장'은 난장(亂杖)으로 고려, 조선 시대에 신체의 부위를 가리지 않고 마구 매를 치던 잔인한 형벌로 맞다가 죽어 나가는 것을 이른다. 너무 잔인하다는 판단에 조선 영조 왕께서 중지시켰다. 결론으로 '젠장'은 형사 고발당해서 매를 맞다가 죽일 일을 당하는 것을 뜻하는 큰 욕이다.

'육시랄'도 속된 욕에 속한다. 죽은 사람시체의, 목을 베는 형벌이다. 육시(戮屍)에서 유래 되었다. '오살할 놈' 할 때의 오살(五殺)은 먼저 죄인의 머리를 찍어 죽인 다음 팔다리를 베는 사형법이다.

'우라질'도 욕에 속한다. 죄인을 묶을 때 쓰는 밧줄이 오라다. 이 '오라질'에서 나왔다. 사극에서 흔하게 사용되는 '주리를 틀 놈' 할 때의 주리는 죄인의 두 다리를 한데 묶고 다리 사이에 두 개의 주릿대를 끼워 비트는 형벌이다.

언어도 유행을 탄다. 언어를 가지고 놀기도 하고 살아가는 문인들은 우아한 언어를 사용하기에 고민한다. 언어사용 부류를 보면 직업과 무관하지 않다. 종교인, 의사, 법조인의 직업적 말의 톤과 투가 있다. 통속적으로 '시장 바닥의 언행'이라 깎아내리는 말도 있다. 말과 행동이 비속어를 사용하며 거친 사람을 이른다.

최근에 비속어를 가지고 나라가 이렇게 시끄러운 일은 한글 사용 이래, 없었던 경험이다. 보통사람인 지압원 원장의 언어도 신중하게 사용하고 있다.

학인은 심심하면 '국립국어원 누리집'에 들어간다. '다듬는 말'이라는 난이 있다. 순화 대상어를 바른말로 안내한다. 대통령의 출근길 약식 기자회견에서 "이번 순방에 '거양(擧揚)'했다"라고 생각한다. 사전에는 '거양'은 '들거(擧)'와 '날릴 양(楊)'을 합친 말이다. '높이 들어 올리다'. '칭찬하여 높이다'라는 뜻을 갖고 있다.

틀린 어법은 아니다. 그런데 뭔가 어색한 느낌의 말이다. 국어순화원은 이 말 대신 '들다', '올리다', '높이다', '드높이다'를 쓰도록 권장한다. 순화언어의 바른말 안내대상이다.

지도층, 어른의 말은 국민은 물론, 자라나는 세대에 미치는 영향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우리가 문인의 언어를 사랑하는 것은 신중한 언어사용법이다. 고향 같고 어머니 손길의 언어다. 할머니의 전화다. '워매 내 보배', '내 손주 보고 싶다' 따뜻하다.

'과수원 길', '고향의 봄'과 같은 노래들은 들어도 들어도 다시 듣고 싶은 노랫말들이다. 순화된 말은 뇌를 정화 시킨다. 정화된 뇌는 치매 예방이 된다. 섬김의 사람이 있다. 말의 온도가 우아한 사람이다. 말에도 목화, 양털같이 ’폭은 함’, ’따뜻‘이 들어 있다.

유쾌하며 건강한 말을 생활화하면 자연의 풍경이 될 것이다. 무릎이 깨어지게 넘어져도 순한 말이 튀어나오는 사람이라면, 진리의 사람이 아닐까.

- 최창일 시인(이미지문화학자, '시화무' 저자)

i24@daum.net
배너
전국 문인 38명, 서귀포로…역사·생태·예술이 어우러진 '문학 향연' 열린다
(제주=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사단법인 한국문인협회 서귀포지부(회장 정영자)가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 도민지원사업 공모에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선정되면서, 9월 19일부터 21일까지 2박 3일간 전국 문인들을 초청해 서귀포의 자연과 문화, 역사적 현장을 탐방하는 문학 기행을 펼친다. 이번 행사에는 전국 문학단체에서 추천된 문인 38명(남 9명, 여 29명)이 참가해 '예향(藝鄕) 서귀포'를 온몸으로 체험하게 된다. 첫째 날, 예술혼과 서귀포의 문화유산 체험 참가자들은 19일 오전 제주국제공항에 도착해 서귀포로 이동한 뒤, 오리엔테이션을 통해 프로그램의 취지와 세부 일정을 공유한다. 이어 ‘제주 역사와 문화’를 주제로 한 특강으로 서귀포의 정체성을 이해하는 시간을 가진다. 오후에는 '서귀포를 빛낸 예술가의 혼'을 주제로 기당미술관과 새연교 일대를 탐방하며, 예술가의 산책길을 걸으며 서귀포의 예술적 숨결을 체감한다. 저녁에는 숙소 배정 후 올레매일시장을 찾아 자유롭게 지역 문화를 경험하며 첫날 일정을 마무리한다. 둘째 날, 근대 역사와 문학적 성찰 둘째 날(20일) 아침, 문인들은 서귀포에서 대정 일대로 이동해 단산과 대정향교를 둘러보며 제주의 화산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사)독도사랑운동본부 '독도의 비밀'을 주제로 부천 어린이집 2곳에서 독도강연 진행 (서울=미래일보) 이연종 기자=(사)독도사랑운동본부(총재 노상섭)는 오는 10월 25일 독도의 날을 앞두고 지난 17일 부천 삼성어린이집과 범박 어린이집 두곳을 찾아 90여명의 아이들을 대상으로 ‘독도의 비밀’을 주제로 독도 강연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찾아가는 독도 홍보 캠페인'은 독도사랑운동본부가 매년 국내외 어디든 독도를 홍보하고 교육하기 위해서 진행하고 있는 독도 홍보 캠페인 중 하나로 이번에는 부천 삼성어린이집과 부천 범박어린이집 두곳의 신청으로 이루어졌다. 조종철 사무국장이 직접 어린이집 4~6세까지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독도의 생성의 비밀과, 독도 강치 이야기, 독도의 생일 알아보기, 독도 퀴즈등의 다양한 주제로 아이들의 맞춤형 눈높이 강연으로 어린이들의 큰 호응을 이끌어 냈다. 어린이집 관계자는 "사실 어린이 교육이 훨씬 더 힘들고 비용부분으로 인해 외부 강사 초청이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라며, "아이들이 재밌어 하고 즐거워 하는 모습에 뿌듯했으며, 바쁘신 와중에도 아이들과 함께 해 주신 조종철 사무국장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라고 밝혔다. 조종철 사무국장은 "독도의 날을 맞이하여 다양한 독도 홍보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와중에도 어린이들의

정치

더보기
김동연 경기도 지사, '평화에너지 프로젝트' 등 3대 평화경제전략 제시 (수원=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9일 파주 캠프그리브스에서 열린 '9·19 평양공동선언 7주년 기념식'에서 '평화에너지 프로젝트'를 비롯한 3대 평화경제전략을 제시하며 "경기도가 한반도 평화 번영의 길을 든든히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기념사에서 "김대중 정부가 재탄생의 계획을 세우고, 노무현 정부가 터를 닦은 이곳 캠프그리브스에서 이재명 국민주권정부로 평화의 바통이 건네졌다"며 "평화경제를 위한 당장 실천 가능한 세 가지 전략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첫째는 '평화에너지 프로젝트'다. 김 지사는 "문재인 정부의 'DMZ 내 솔라파크' 조성과 최근 기본사회지방정부협의회의 '평화에너지벨트' 구상과 맞닿아 있다"며 "DMZ와 접경지에 대규모 태양광 패널을 설치해 반도체·AI 산업에 전력을 공급하고, 접경지역과 경기 북부 주민들과 그 혜택을 공유하겠다"고 설명했다. 둘째는 경기북부 평화경제특구 내 기후테크 클러스터 구축이다. 김 지사는 "평화경제특구에 기후테크 스타트업과 유망기업을 집중 육성해 경기북부를 대한민국 기후경제의 선도지역으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평화경제특구는 경기·인천·강원의 15개 기초지자체를 대상으로 지정되며, 고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