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 위원장에 따르면, 지난 10월부터 3개월간 서울특별시의회는 서울시립대학교산학협력단(책임연구원 : 한봉호)에 의뢰하여 '서울특별시 생태·경관 보전지역 확대를 위한 생물다양성 조사 및 보전방안' 연구용역을 추진하였다.

이에 박환희 위원장은 멸종위기 야생동·식물의 집단도래지로서 학술적 연구와 보전 및 보호가치가 확인된 만큼 '자연환경보전법', '서울특별시 자연환경보전과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조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해당 지역을 서울시 생태·경관보전지역, 용도지구(보호지구) 및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과 '서울특별시 자연환경보전과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조례'에 따른 야생동물 보호구역 등으로 지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 서울특별시에 정밀조사와 함께 관련지구(지역)으로 신속히 지정할 것을 요청하였다.

박 위원장은 이어 "세계유산총회 보고서는 도시화로 인해 안산이 가려지거나 연지로 흘러들어오는 물이 줄어들지 않을까 염려된다고 하였다"며 "그런데 염려했던 일들이 실제로 일어나고 있다. 연지 주변에 아파트를 짓게 되면 안산이 가려져서 풍수지리가 무너지고 불투수면적이 늘어나면서 땅속으로 물이 스며들어가지 못하여 지하수가 고갈되고 결국 연지가 말라버릴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박 위원장은 "태릉을 조성할 때 함께 조성된 태릉연지는 수백 년의 역사와 함께 수많은 생명들을 품고 있다"며 "법정보호종만 하더라도 멸종위기종이 4종(맹꽁이, 새매, 하늘다람쥐, 삵), 천연기념물이 2종(원앙, 황조롱이) 서식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은 그러면서 "서울시와 경기도의 보호종까지 포함하면 18종의 보호종 야생생물이 서식하고 있는 생태계의 보고이다"라며 "수도 서울의 평지에 위치한 내륙습지인 태릉연지 습지에 이렇게 소중한 생태계가 형성되고 있음은 놀라운 일이며 잘 보존하여 미래세대에 전해줘야 할 보물이다"라고 당부했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