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미래일보) 최현숙 기자= 얼마 전 영화배우 겸 탤런트 신구(87)의 근황이 방송을 통해 알려졌다. 그가 몸에 심장박동기를 차고도 이달에 또 다른 연극무대에 오른다는 소식이다. 연극을 시작한 지 60년이 된 그는 작년에 갑자기 숨이 차더니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는 급성 심부전 진단을 받으며 몸에 심장박동기를 심었다고 한다. 그러나 구순 나이를 바라보는 나이에 귀도 잘 들리지 않지만 무대를 향한 그의 열정과 그리움은 꺾을 수 없었다. 이번에 그가 오르게 될 연극 무대는 오는 7월 8일부터 9월 10일까지 대학로에서 펼쳐질 연극 '라스트 세션' 의 무대다. 그가 무대를 향한 열정은 어디에서 생겨 나오는 것일까. 신구는 "힘을 남겨 놓고 떠날 바에는 그 힘을 모두 무대 위에 쏟아 내고 가겠다"고 전했다. 자신의 삶이 그 길로 이어져 왔듯 쓰러져도 무대 위에서 쓰러지겠다는 그의 무대 정신은 과히 본받고 존경받을 만한 인물이 아닐 수 없다. 배우 이순재 역시 지난 달에 있었던 연극 '리어왕'을 끝으로 마지막 무대를 마쳤다. 그는 16번의 무대 위에서 3시간이 넘게 혼신의 연기를 쏟아 냈다고 한다. 그러면서도 그들은 아직 더 배우고 가르치고 싶다는 말을 아끼지 않는
(서울=미래일보) 서영순 기자 = 돌체클래식(대표 서영순)은 오는 7월 11일 오후 6시 서울 서초구 양재동 매헌 윤봉길의사 기념관에서 '제7회 돌체 열린음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음악회에서는 아름다운 한국가곡 26곡이 연주되는데, 기량이 뛰어난 돌체 연주자들의 아름다운 노래의 향연을 통해 감동의 휴가(休歌)를 즐기며, 숨 고르기를 하는 힐링 무대로 진행이 된다. 특히 초청 성악가 소프라노 임청화(백석대 교수)는 서강석 시인(현 송파구청장)이 노랫말을 쓰고 정영택 작곡가가 곡을 붙인 '태극기'를 초연한다. 소프라노 임청화는 평소 태극기 뺏지를 가슴에 달고, 태극 문양을 형상화한 연주복으로 가곡의 세계화를 위해 세계 각 나라로 활발히 연주활동을 이어가고 있는데, '그 하얀 바탕은 수수만년 한 번도 변하지 않은 밝고 순수한 마음, 빨강과 파랑이 휘감아 도는 태극은 수십억 년 이어지는 생명의 영원과 조화~~'로 시작되는 '태극기'에는 소프라노 임청화의 나라 사랑하는 마음을 담아 연주하게 된다. 한편 소프라노 임청화는 "대한민국의 기적은 한강의 기적이고, 한강은 기적의 강이다"라며 한강의 과거 현재 미래를 담아 공한수 시인이 노랫말을 쓰고 임긍수 작곡가가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곧 여름휴가 시즌이 다가오며 휴가지를 고민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그렇다면 올여름은 한려해상 국립공원이 자랑하는 푸르고 탁 트인 바다와 더불어 예술과 낭만을 느낄 수 있는 통영으로 감성 여행을 떠나보는 것이 어떨까. 통영시가 잊지 못할 여름밤을 보낼 수 있는 통영의 보석 같은 곳들을 추천한다. ◇ 예향의 도시 통영, 예술과 낭만이 가득한 서피랑 한국 벽화마을의 원조 격이자 통영의 관광명소인 동피랑 마을에 이어 또 다른 감성으로 여행객을 매료시키는 곳이 있다. 바로 동피랑과 마주하고 있는 서피랑 마을이다. 동피랑과 함께 통영의 대표적인 달동네였던 서피랑은 2013년 시작된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벽화와 예술작품이 가득하고 고즈넉한 매력이 충만한 감성 여행지로 탈바꿈했다. 서피랑은 통영을 대표하는 문학·예술가들의 흔적이 가득한 곳이다. '토지'의 박경리 선생 생가와 '김약국의 딸들'의 실제 배경이 된 마을 등 근현대 문학의 흔적은 물론 천재 화가 이중섭의 유명 작품 '선착장을 내려다본 풍경'을 그리던 장소도 바로 이곳 서피랑이다. 한국의 내로라하는 문학·예술 작품을 탄생시킨 서피랑은 타임머신을 타고 과거의 통영을 산책해 보는 즐
(서울=미래일보) 이정인 기자 = 열정 속에서 '무박 2일'간 한강을 걷는 어반스포츠의 '2023 한강나이트워크 42K'가 올해 7월 29일부터 30일까지 진행된다. 어반스포츠가 주관하고, 블렌트가 주최하는 '한강나이트워크 42K'는 2016년을 시작으로, 2030세대의 뜨거운 응원 속에 올해 7번째 열리는 대회다. 자신의 열정을 선보이고, 한계에 도전하려는 청춘들의 관심으로 약 1만명의 참가자가 찾아올 예정이다. 이번 한강나이트워크 42K는 15K, 22K, 42K 3종류 코스로 한강의 빛나는 야경을 즐기며, 여름밤을 더 여유롭고 알차게 즐기며 걸을 수 있다. 한강나이트워크 42K는 자신의 한계에 도전하는 나이트워크의 극한 체험 대표 코스인 42K, 밤부터 아침까지 한강의 다채로운 풍경과 함께 걷는 미들 코스인 22K, 야경과 함께 즐기고 소통하며 누구나 도전할 수 있는 이지 코스 15K로 이뤄진다. 제한 시간은 42K 11시간, 22K 6시간, 15K 4시간이다. 3가지 코스가 동시 출발이 아닌, 원하는 시간에 맞춰 출발할 수 있다. 42K는 18시,19시,20시, 22K는 19시,21시,23시, 15K는 18시,20시,22시,24시가 있다. 주최 측은
(서울=미래일보) 오나연 기자 = 문화체육관광부는 (재)예술경영지원센터와 함께 K-뮤지컬의 해외 진출에 날개를 달아줄 '2023 K-뮤지컬 국제마켓'을 27일부터 7월 1일까지 세종문화회관과 정동1928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2021년 뮤지컬 분야 국내 최초이자 유일한 전문마켓으로 문을 연 'K-뮤지컬 국제마켓'은 K-뮤지컬의 해외 진출 교두보다. 올해 행사에서는 코로나19에서 벗어나 우리 공연시장을 이끌고 있는 K-뮤지컬이 아시아를 넘어 뮤지컬의 본고장인 미국과 유럽에 도전장을 내민다. 코로나19라는 장애물과 빠른 계약 성사가 어려운 뮤지컬 산업의 특성에도 불구하고 지난해에는 창작뮤지컬 20편을 국내외 제작사와 투자사에 선보였고, 해외 판권계약 3건, 국내 온라인 유통 플랫폼 계약 1건의 성과를 냈다. 올해도 K-뮤지컬 시장의 해외 진출과 투자 활성화를 위해 미국 브로드웨이, 영국 웨스트엔드 등 해외 주요 뮤지컬 제작,투자사 16인을 초청하고 국내 16개 뮤지컬 제작사와 투자사가 참여해 교류 기회를 확대한다. 'K-뮤지컬 국제마켓'의 대표 프로그램인 '뮤지컬 드리밈 피칭'에서는 공모를 통해 선정된 15개 작품(미완성 작품 포함)에 대한 투자를 제안하고,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사단법인 한국영화인총연합회 동대문지회(회장 이정권)가 '제2의 봉준호를 찾습니다'의 컨셉으로 '제3회 DSFF 동대문영상단편영화제(Dongdaemun Short Film Fastival)' 출품작을 8월 12일까지 공개 모집한다고 밝혔다. "지금 DSFF에 응모하세요. 당신이 세계 영화의 주역입니다" DSFF는 지역 영화 영산 산업의 발전과 영상 인프라 구축, 문화의 디양성 화대를 위한 미래 한국 영화산업을 이끌 주인공을 발굴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최되는 영화제다. 한국 영화는 세계의 중심에 우뚝 섰다. K컬처는 전 세계로 뻗어가고 있다. BTS로 대표되는 K팝 뿐만 아니라 한국 영화도 세계인의 관심을 끌고 있다. 1960년대부터 시작된 한 국영화의 해외 영화제 수상은 2019년 기생충이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을 비롯해 아카데미 역사상 최초로 작품상을 수상했다. 한국영화 역사를 새롭게 쓴 봉준호 감독도 단편 영화를 통해 성장한 케이스다. 봉 감독은 극영화 플란다스의 개·살인의추억·괴물·마더·기생충을 연출하기 전, 백색인(1993)·인플루엔자(1993)·지리멸렬(1994)·프레임속의 기억들(1994)등의 단편영화를 연출했다. 한편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대표이사 최정숙)는 '드보르자크 교향곡 6번'을 7월 11일(화) 롯데콘서트홀에서 공연한다. 현재 체코 음악계에 큰 영향력을 미치는 지휘자 토마시 네토필(Tomáš Netopil)이 처음으로 한국을 찾아 체코 음악의 정수를 보여준다. 스메타나와 드보르자크의 작품으로 동유럽의 진한 보헤미안 감성을 전하며, '피아노의 시인'이라고 불리는 피아니스트 윤홍천과 함께 쇼팽 피아노 협주곡 2번을 선보인다. 공연 포문은 스메타나 오페라 '팔려 간 신부' 서곡이 연다. 팔려 간 신부는 1860년대 대두된 체코의 민족주의 분위기 속에서 탄생한 상징적인 작품이다. 체코 농촌을 배경으로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린 총 3막 구성의 희극 오페라다. 서곡에는 작품의 유쾌한 정서를 함축적으로 담고 있으며, 체코의 보헤미안 민속 리듬과 선율을 엿볼 수 있다. 쇼팽 피아노 협주곡 2번은 풍부한 감정 표현력과 화려한 테크닉을 요구하는 작품으로 현대 피아니스트에게 가장 중요한 협주곡 레퍼토리 가운데 하나다. 총 3악장으로 구성된 이 작품은 작곡 당시 이룰 수 없는 사랑에 번민하던 청년 쇼팽의 풋풋한 감성이 담겼다. 애절한 첫사랑의 감정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몰디브 코쿤 콜렉션 리조트 그룹이 지난 20일 3곳의 현지 리조트를 소개하기 위해 로드쇼 파티를 개최했다. 파티에는 호텔의 총 지배인인 아메드 지하드(Ahmed Jihad)와 총괄 세일즈 이사인 토아 알리(Thoha Ali)가 직접 한국을 방문해 여행업계 및 언론사 관계자를 초청, 청담동 파티 피플에서 개최했다. 이번 파티는 9월 1일 신규 오픈 예정인 몰디브 조이 아일랜드의 무제한 제공되는 올인클루시브 컨셉과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 매주 열리는 비치파티 컨셉을 소개하기 위해 서울 청담동 라운지바에서 DJ Blankcat와 함께 파티 컨셉으로 진행됐다. 몰디브는 1190여 개의 산호섬과 수백 개의 샌드뱅크로 이루어진 인도양의 대표적인 휴양지다. 유네스코 지정 생물보전 지역으로 아름다운 자연환경과 더불어 다양한 리조트들이 위치하여 허니문은 물론 여유로운 휴식을 즐길 수 있는 최고의 휴양지다. 코쿤 콜렉션의 몰디브 3곳의 리조트는 모두 올인 클루시브 컨셉(All Inclusive)으로 운영되며 이태리에 본사를 둔 회사가 운영 중인 곳으로 모든 리조트에 유명 이태리 쉐프와 정통 이태리 요리가 기본으로 제공된다. 또한 유명
그들에 관한 시(詩) - 응웬 빙 프엉(Nguyễn Bình Phương) 작가 구름은 그들의 시간이다 저 햇빛은 그들을 기다리는 문 나는 고성의 벽에 얼룩진 빠르게 사라지는 왕실을 본다 그들은 고개를 떨어뜨리고 거리에 앉아 흔들리는 사찰의 갈색 종소리를 듣는다 성곽의 다리 쪽에는 당황해서 그들을 흔들고 이끼를 먹은 잉어 떼는 침묵으로 변했다 처마 밑에 그들이 누웠고 전등불은 화려한 황금빛 커튼에 비치면 그들은 자신이 수평선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내 동포들을 본다 밤이 천천히 지나간다 내 동포는 막 꿈에서 깬 듯한 얼굴이다 손에는 의심스런 티켓 한 장을 꽉 쥐고 있다. - 한국어 번역 : 배양수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수(한국베트남학회장) Bài thơ về họ - Nhà văn Nguyễn Bình Phương Những đám mây là thời gian của họ vệt nắng kia là cánh cửa chờ họ tôi thấy hoàng bào tan rất nhanh trên hoen ố bức tường thành cổ Họ nghiêng đầu ngồi bên hè phố nghe nâu sồng tiếng chuông chùa động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리쿠이셴(李魁賢, Lee Kuei-shien) 시인은 1937년 타이완(Taiwan)의 타이베이 출신으로 대만 국가문화예술기금회 이사장(國家文化藝術基金會董事長)을 역임하였고, 현재 2005년 칠레에서 설립된 Movimiento Poetas del Mundo의 부회장이다. 리쿠이셴 시인은 또 타이완에서 최초로 노벨문학상 후보에 오른 작가이기도 하다. 국립대만문학박물관(National Museum of Taiwan Literature)은 '대만 이미지와 문학 우선'이라는 이름으로 반세기 동안 글을 써오며 타이완 문학을 세계에 알린 작가를 소개하는 '리쿠이셴 기증전'을 개최하기도 했다. 번역가, 평론가이기도 한 리쿠이셴 시인의 시 스타일은 타이완의 풍부한 이미지를 드러내고 있으며, 인도국제시인협회에서 노벨문학상 후보에 세 번 지명되기도 했다. 리쿠이셴 시인은 53권의 시집을 발간하였으며, 그의 작품들은 일본, 한국, 캐나다, 뉴질랜드, 네덜란드, 유고슬라비아, 루마니아, 인도, 그리스, 리투아니아, 미국, 스페인, 브라질, 몽고, 러시아, 쿠바, 칠레, 폴란드, 니카라과, 방글라데시, 마케도니아, 세르비아, 코소보, 터키, 포르투
(전북 고창=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전북 고창군이 2023년을 '세계유산도시 고창방문의 해'로 선포하고 국내·외 관광객 1천만명 시대를 열기 위해 본격 시동을 걸었다. 수려한 자연과 역사문화, 무한한 가치를 지닌 생물권보전지역 등 고창만의 다채로운 매력을 알려 글로벌 문화관광도시로 도약하기 위해 고창군의 발걸음이 분주하다. 고창은 지난 5월 17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유네스코 집행이사회에서 우리나라 서해안의 우수한 지질경관 특성을 모두 간직한 서해안 (고창‧부안) 국가지질공원을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최증 인증했다. 이는 2022년 고창 람사르습지도시 인증에 이어 다시 전라북도 생태자원의 우수성을 국제적으로 인증받은 쾌거다. 이로 인해 국제적 인증을 통한 체류형 생태관광 활성화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따라서 고창군과 부안군은 육상과 해역 전체를 포함한 총 1,892.5㎢(육상1,150.1 해상742.4)의 면적이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됐으며 이곳에는 총 32개소의 지질명소가 자리잡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5번째 세계지질공원이자, 해안형 세계지질공원으로는 국내 최초다. 이번 인증으로 국내‧외 탐방객 증가와 다양한 체험형 프로그램 운영 등 지역경제 활성화
(서울=미래일보) 서영순 기자 = 호소력 짙은 음색과 풍부한 감성으로 청중의 마음을 사로잡는 바리톤 김보람의 세 번째 독창회가 오는 6월 20일(화) 7시 30분 예술의 전당 리사이틀 홀에서 열린다. 바리톤 김보람은 고등학교 2학년 재학 중 러시아에 유학, 모스크바 국립 차이코프스키 음악원과 동대학원 졸업 후 예술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프랑스 베르사유 국립음악원에서 합창지휘과와 성악과 최고연주자 과정을 수석 졸업했다. 2019년 귀국 독창회 이후 국내에서 세 번째 갖는 독창회이며 지난 독창회에 이어 고승희의 반주와 함께 하는데 완숙함을 더해가는 두 시람의 호흡이 기대된다. 1부에서는 '로망스와 발라드 사유(思惟)'라는 주제로 R.Schumann과 E.Chabrier, 이건우 세 작곡가의 작품을 연주하며 관조적 자세로 대상을 바라보며 이야기하는 로망스와 발라드를 김보람의 음악으로 관객에게 전하고자 한다. 일반적인 노래의 주제가 되는 사랑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닌, 우리주변에서 쉽게 지나칠 수 있는 일상적인 것들과 우리 삶의 이야기를 다룬 작품을 선보인다. 특히 독일 낭만주의을 대표하는 로베르트 슈만과, 프랑스의 슈만이라 불리는 임마뉘엘 샤브리에의 프랑스 가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국내 최대 책 축제이자 한국과 세계를 책으로 연결하는 플랫폼인 '2023년 서울국제도서전'이 오는 14일부터 18일까지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다. 1954년 1회 도서전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70년 동안 65회째 개최되어 온 이 행사는 대한출판문화협회가 주최하고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한국출판문화진흥재단이 후원한다. 이번 도서전에는 36개국 530개(국내 360개사, 해외 170개사)의 참가사가 모여 전시, 부대행사, 강연 및 세미나, 현장 이벤트 등 170여개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소설가 오정희, 김인숙, 편혜영, 김애란, 최은영, 천선란 등 6인이 세대를 아우르는 홍보대사로 활동하며 18일 주제 강연을 통해 독자들과 만난다. 올해 주제는 '비인간, 인간을 넘어 인간으로'다. 그동안 인간중심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소외받는 인간과 인간 외의 존재에 대해 돌아보자는 취지에서 다양한 전시와 강연, 세미나 등을 진행한다. '사라지다', '저항하다', '가속하다', '교차하다', '가능하다' 등 5개 분야로 나눠 도서 600여 권을 전시하면서 인간 너머 새로운 삶의 방식을 모색할 계획이다. 도서전 첫날인 14일은 생태학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김민정 시조시인(문학박사, 한국문인협회 부이사장 겸 상임이사)이 최근 영어, 스페인어, 아랍어, 베트남어 번역 시조집인 <꽃, 그 순간>에 이어 열두 번째 개인 시조집 <펄펄펄, 꽃잎>을 월간문학출판부를 통해 출간했다. 순한 햇살들이 초록숲을 만들 동안 바람에 지는 벚꽃, 천지가 꽃안개다 나이테 둥근 시간도 새떼로 날아간다 움직이는 모든 것엔 둥지 트는 사랑 있지 실시간 반짝이는 봄볕 속 너를 본다 봄이다, 꽃불자락이 들녘마다 타오른다 - 표제시(標題詩) '펄펄펄, 꽃잎' 전문 이번 김민정 시조시인의 <펄펄펄, 꽃잎>에는 75편의 신작이 들어 있다. 김민정 시조시인은 이 책 책머리의 '시작(詩作)'에서 "실타래 풀어가듯/ 엉긴 나를 풀어가며// 수도 없이 일어나는/ 생각을 꿰고 홀쳐// 정수리 한 가운데로/ 꽃대 하나 세운다"라고 했다. 김 시조시인은 이어 '시인의 말'을 통해 "그 동안 철도시조집을 따로 출간하려고 아껴두었던 철도 관련 작품 8편도 이번 시조집에 싣는다"며 "코로나로 지친 독자의 마음에 조금은 부드럽게, 평온하게 위안을 줄 수 있는 시조집이기를 바란다"라고 했다. 김 시조시인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사)한국소설가협회가 주관하고 (사)한국문학예술저작권협회 주최로 ·문화체육관광부가 후원한 '제4회 대한민국 소설독서대전' 시상식이 9일 오후 서울 중구 퇴계로 '문학의 집·서울'에서 김성달 한국소설가협회 편집주간의 사회로 개최되었다. 이번 '제4회 대한민국 소설독서대전' 시상식은 (사)한국문학예술저작권협회의 '미 분배 보상금을 활용한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대상에는 고민실 작가의<영의 자리>를 읽고 쓴 '가능성의 자리'로 전재희 씨가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대상 수상자에게는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상장과 500만 원의 상금이 수여되었다.. 이날 김호운 한국소설가협회 이사장(한국문인협회 이사장)은 인사말을 통해 "'대한민국 소설독서대전'은 여느 글짓기 행사와 달리 책을 읽고 그 감상을 쓰는 일"이라며 "입상하면 기쁜 일이지만 비록 입상하지 못했다고 하더라도 이 기회에 훌륭한 작품 한 편 읽은 소중한 체험을 하였기에 매우 뜻깊은 일"이라고 말했다. 김 이사장은 "이 독서 체험은 각자의 삶에 귀중한 에너지가 될 것"이라며 "세계적인 부자면서 훌륭한 일을 많이 하기로도 소문난 빌 게이츠는 '어릴 적 나에겐 정말 많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