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한세대학교 교수인 양애경 시인이 등단 후 첫 번째 시집 <향기는 피아노를 친다>를 최근 현대작가시인선5로 출간, 독자에게 첫선을 보였다. 제6부로 구성된 이 시집 <향기는 피아노를 친다>는 제1부 '향기는 피아노를 친다', 제2부 '사랑은 물이다', 제3부 '달의 섬', 제4부 '침묵 안의 대화', 제5부 '따뜻한 것들의 소풍', 제6부 '나를 키우는 것들' 등 총 72편의 명징하고 청초한 시어들로 독자의 곁으로 다가서고 있다. 상자속 생각이 아니라 상자 밖이나 상자 모서리 끝에 존재하는 무언가를 찾아낼 때 빛을 발하는 일이다 사물 속의 참되고 멋진 깨달음 풍경들이 마음 안으로 들려오고 눈앞에 있는 천기들이 하늘 위의 북을 치는 것들이다 돌에도 두들기면 향기의 피아노는 거리낌 없이 진리의 소리를 낸다 향기의 피아노는 가슴이 뛰는 사람들에게 오늘도 달려가고 있다 - 본문 중 표제시(標題詩) '향기는 피아노를 친다' 전문 양애경 시인은 이 시집 '시인의 말’을 통해 "강단의 시간은 감정과의 정교한 물음들이다”라며 “상자 속 생각이 아니라 상자 밖 끝에 존재하는 무언가를 찾아낼 때 빛을 발한다”라고 했다. 양
사월의 표정 - 심명숙 시인 꽃들이 하도 부산하여 길을 나섰다 살얼음같이 반짝이는 빛 사람들 표정이 바르르 떨린다 '와 꽃이 엄청 이쁘다 헤헤헤‘ 엄마 손잡고 폴짝폴짝 뛰는 아이의 표정이 화들짝 핀다 분홍 마스크도 감추지 못하는 명자꽃 닮은 미소에 파릇한 치아가 함박 핀다 한 여자도 추억처럼 걷는다 응고된 혈관을 물컹하게 녹여버리고 푹 찔러 넣은 손에 땀이 날 때쯤, 사월은 겨우내 불평만 하던 표정에서 꽃이 피고 떨어진 꽃 그림자에서도 잎이 핀다 한껏 즐거운 누렁이 표정도 말갛다 신나게 흔들어대는 꼬리에도 꽃바람 분다. - 세 번째 시집 <가끔, 흔들리도 싶을 때면> 중에서 ■ 詩作 메모 봄이 오면 마음에 새겨져 있는 빛바래 사진에 화사한 색칠을 하고 싶어진다. 그런 희망을 가지고 묵상하며 걷는다. 겨울동안 굳었던 마음이 꽃빛이 흐드러지니 속이 맑은 아이처럼 웃는다. 묵직한 명치끝이 풀리는 꽃길을 걸으며 웃는다. 꽃을 바라보는 허리굽은 할머니 표정엔 많은 사유가 보인다. 왠지 슬퍼 보이는 것 같기도 하다. 그래도 꽃의 표정은 화사한 아이표정과 닮았다. 사월은 그런 계절이다. ■ 심명숙(沈明淑) 시인 프로필 필명 청휘(曉靜), 시인, 여행작가. 충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