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노총은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청와대 앞에서 문재인 정부의 노동정책을 비판하는 규탄대회를 열고 김 위원장의 구속 결정을 비판했다.

김 부위원장은 "한상균 전 위원장이 구속됐을 때, 박근혜 정권은 민주노총이 두려움에 떨어 제대로 저항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오히려 그 반대였다"며 "현 정부의 판단이 박근혜 정권의 착각과 같다는 것을 똑똑히 보여줄 것"이라고 밝혔다.
김 부위원장은 이어 "위원장과 간부들을 구속한다고 민주노총의 저항이 위축되지 않는다”며 “7월 18일 총파업을 비롯해 진행될 투쟁 조직에 힘을 써달라"고 호소했다.

최준식 전국공공운수노조 위원장은 "김명환 위원장의 구속은 문재인 정부의 친재벌·반노동 정책이 확실해지는 상황"이라며 "노동시간을 낮추겠다더니 탄력근로제를 도입했고, 임금을 올리겠다더니 최저임금 산입범위를 확대했고, 국제노동기구(ILO) 협약을 비준하겠다더니 노동개악 법안 추진을 서슴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최 위원장은 이어 "문 정권은 민주노총과 결별하는 것이 자신들의 정권 유지에 더 유리하다고 판단한 것"이라며 "민주노총은 오늘 결의대회를 시작으로 이달 24일 기자회견, 25일 전국동시다발 결의대회, 28일 전국단위노동대표자회의, 내달 18일 총파업대회를 결정했다. 구속자 석방과 노동 탄압 분쇄를 위해 거대한 투쟁의 흐름을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김명환 위원장은 국회 앞 집회에서 차단벽을 부수고 경찰을 폭행하는 등 불법행위를 주도한 혐의로 전날 구속됐다.
김 위원장은 작년 5월 21일과 올해 3월 27일, 4월 2∼3일 등 총 4차례에 걸쳐 국회 앞에서 민주노총 집회를 주최하고, 집회 참가자들이 경찰관을 폭행하거나 장비를 파손하고 경찰 차단벽을 넘어 국회 경내에 진입하도록 한 혐의를 받고 있다.
위원장 유고 사태를 맞은 민주노총은 김경자 수석부위원장을 중심으로 비상체제에 들어갔다.

민주노총은 "앞으로 일상 사업을 최소화하는 가운데 전면적이고 대대적인 노동탄압 분쇄 총력투쟁을 전개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민주노총은 오는 24일 청와대 사랑채 앞에서 '문재인 정부 노동탄압 규탄과 민주노총 대응 투쟁 계획 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향후 투쟁기조와 세부 투쟁계획, 노정관계 재설정 내용 등을 밝힐 예정이다.
이후 25일부터 27일까지 지역별로 집중 규탄대회를 열고 28일에는 전국 단위노조 대표자회의를, 다음 달 3일에는 공공부문 비정규직 노동자 파업을, 18일에는 민주노총 총파업대회를 열 계획이다.
한편, 현직 민주노총 수장이 구속된 것 김 위원장이 다섯 번째다. 앞서 민주노총 위원장이 구속된 사례는 1995년 권영길 위원장을 비롯해 2001년 단병호 위원장, 2009년 이석행 위원장, 2015년 한상균 위원장 등이 임기 중에 구속됐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