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0 (수)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칼럼] 최창일 시인, "이상(李箱)을 망령되이 일컫지 말라"

이상 작가의 권위를 스스로 훼손하고 만 '이상문학상'
"이상이라는 천재작가의 권위에 기대어 대표적인 문학상으로 인식 돼"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문학의 기본적인 목적은 시대의 불화에 어깃장을 놓는 것이다. 시대를 뛰어넘어 청정(淸正)으로 안내하는 것이다. 좀 더 과격하게는 인간의 모순에 펜으로 싸움을 거는 존재다. 작가는 작품으로, 작품 바깥으로도 늘 싸울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또 싸워야 하는 운명을 가진 자의식이 있어야 한다.

소설가 김금희 씨(41)가 저작권을 일정 기간 양도하라는 출판사 요구를 문제 삼아 '이상(李箱)문학상'을 공개적으로 거부의사를 밝혔다.

문학사상사가 1977년 만든 '이상문학상'은 국내 대표적인 문학상 중 하나다.

김금희 소설가는 최근 2020년 제44회 '이상문학상' 우수자로 선정됐다는 통보를 받았지만 수상을 거부하기로 했다. 그는 지난 4일 트위트에 "어제 모 상의 수상후보작이 되었다는 전화를 받고 일차적으로 기쁜 마음이었다. 그런데 오후에 계약서를 받고 참담해졌고 수정 요구를 했지만 끝내 받아드려지지 않았다. 거기에는 내 단편의 저작권을 3년간 양도한다는 내용이 있었다"고 적었다.

'이상문학상'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아온 상이다. 거기에는 문학사상을 창간하고 초대 문화부장관을 지낸 이어령 작가의 기획력과 경영 수완이 '이상문학상'의 권위를 만들기에 부족하지 않았다. '이상문학상'의 수상소설을 펴내면 3, 40만부는 거뜬히 팔려나갔다.

'이상문학상'은 대상과 우수작품으로 나누어 수상작품을 뽑는다. 문제는 여기서부터다.

권위와 자존심을 명예로 사는 기성 작가의 작품을 대상, 우수상으로 나누어 뽑는 형식도 문제다. 문학에서 우열을 만드는 것은 불쾌한 현상중 하나다. 두 개의 작품을 펴냄으로 책의 부피와 판매력에 도움을 주기 때문으로 보인다.

세계 권위 있는 수상작들은 대상, 우수상으로 구분하여 뽑지 않는다. 세계 3대 문학상으로 꼽는 '노벨문학상(Nobel Prize in Literature)', 영국의 '맨부커상(Man Booker Prize)' 프랑스의 '콩쿠르상(Prix Goncourt)'은 대상과 본상이 따로 없다.

한국만이 유일하게 일부 단체가 대상과 본상을 구분하여 수상자를 뽑는 형식을 취한다. 국내에서도 권위를 가진 문학상은 대상, 우수상, 또는 본상으로 나누어 수상자를 내지 않는다. (사)한국현대시인협회가 주는 시인상은 한 사람의 수상자를 내고 있다. 오염되지 않는 수상으로 인정받고 있다.

일부 잡지사나 소속이 불분명한 단체들이 대상, 우수상, 본상을 만들어 수상자를 내고 있다. 일부작가는 이러한 수상에 반감을 가지고 수상을 취소하는 일들이 있었다. 최근 C시인도 모 잡지사의 이 같은 모순에 수상을 거부하였다. 다만 C시인은 잡지사의 대표와의 인간적 관계로 수상을 거부하고 표면화 하지 않았다.

일부 잡지사, 문학단체는 수상자에게 금품을 요구하기도 한다. 한국을 대표하고 가장 많은 회원을 가진 문학단체는 수상자를 선정하는데 선거에 이용하는 일이 관행처럼 되는 실정이다.

어느 단체는 형식적으로 상금을 주고 다시 후원금 형식으로 반납하게 한다. 그날의 행사비는 수상자가 부담하는 경우도 있다. 문제는 이 같은 수상제도에 작가 스스로가 아무런 부끄러움 없이 받아드리고 있다.

소설가 김금희 씨가 '이상문학상'의 봉건적 계약을 거부하고 수면 위로 올리는 것은 매우 용기 있는 태도다. 신춘문예가 신인들을 발굴하는 잔치라면, '이상문학상'은 기성작가들 중 최고의 작품을 예우하는 것이다.

'이상문학상'은 이상이라는 천재작가의 권위에 기대어 대표적인 문학상으로 인식되었다. 문학을 사랑하는 독자라면 빨간 띠를 두른 수상 작품집을 한 권 정도 소장하는 것은 부자가 되는 기분이 되고도 남는다.

하지만 문학사상사는 이상 작가의 권위를 스스로 훼손하고 말았다. 문학사상의 운영진은 대개가 문인들로 이루어 졌다. 작가가 작가에게 공정성을 무너뜨리고 자존감을 허물어뜨렸다는 것은 심각한 유린이다.

1910년 서울에서 태어나 27년의 짧은 생을 살았던, 천재 작가 이상에 대한 예우도 아니다.

김금희 소설가는 말한다. "예술가를 격려하기 위한 시상을 한다면 그들의 노고와 권위를 존중하세요."

새해 벽두에 문학사상사가 낡은 파열음의 틀이 아쉽다. 작가의 한 줄의 글은 소태를 핥는 것이다. 문학은 희망을 담아내는 것이다. 문학은 그 사회를 경쾌하거나 희망적인 세상을 만들기 위한 것이다.

상(箱) 선배님, 후배 시인으로 미안하고 부끄럽습니다.

- 최창일(시인·이미지문화학자)

i24@daum.net
배너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
외교부, 日 자위대 '대동아전쟁' 표현 논란에 "한일 간 필요한 소통 중"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외교부는 일본 육상자위대가 금기어인 침략전쟁을 미화하는 '대동아전쟁'이라는 용어를 공식 SNS 계정에 사용했다가 삭제한 것과 관련해 "한일 간에 필요한 소통이 수시로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은 9일 오후 서울 종로구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정부가 일본 측에 부적절하다는 입장을 전달했는가'에 대한 취지의 취재진의 질문에 "(대동아전쟁) 표현에 대해선 일본 정부가 공식 입장을 밝혔다"며 "일본 측 스스로 관련 표현을 삭제한 것으로 알고 있다"라고 이같이 답했다. 이에 앞서 일본 육상자위대는 이달 5일 X(옛 트위터)에 "32연대 대원이 ‘대동아전쟁’ 최대 격전지 이오지마에서 개최된 일미 전몰자 합동 위령 추도식에 참가했다"고 썼다. 대동아전쟁은 이른바 '일본제국'이 서구 열강에 맞서 싸웠다는 뜻의 용어로, 식민 지배와 침략전쟁을 정당화하는 용어이다. 일본 패전 후 미 연합군최고사령부는 공문서에서 대동아전쟁이라는 표현을 금지했고, 지금도 일본에서는 사실상 금기어로 인식되고 있다. 논란이 확산하자 자위대는 사흘 만인 지난 8일 게시글을 삭제했다. 우리나라의 육군본부에 해당하는 자위대 육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