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5 (월)

  • 맑음동두천 26.0℃
기상청 제공

[명사 초대칼럼] 장광설(長廣舌)과 횡설수설(橫說竪說)

"부끄러워하지 않는 후안무치의 자기합리화가 언어의 본질까지 흐리게 한다"

(서울=미래일보) 강기옥(시인·국사편찬위원회 사료조사위원) = 태어나자마자 울음을 터뜨리지 않는 아이는 정상이 아니다. 세상에 태어난 기쁨이든 두려움이든 울음은 자신의 탄생을 알리는 언어의 변형이다. 인간의 삶은 그렇게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를 표현하는 언어로 시작한다. 미분화된 상태의 울음은 점차 세련된 언어로 발전하며 예절과 도덕적 성숙도를 동반한다. 누구나 탄생 초기에는 떼를 쓰는 육탄적 방법으로 표현하였기에 태어나면서부터 완벽한 언어를 구사할 수는 없는 것이다.

인류사에서 생물학적 한계를 초월한 인물이 있었다. 신앙적 시각으로 접근해야 이해할 수 있는 '고타마 싯타르다'다. 태어나자마자 사방으로 일곱 걸음을 걸으며 '천상천하유아독존'이라는 탄생게(誕生偈)를 외친 카필라 왕국의 왕자는 가장 완벽한 인간의 탄생이었다. 상식적으로는 감탄보다 전설이나 신화로 받아들여지는 신이(神異)한 언동이지만 불자들에게는 절대적 숭앙의 가치를 지닌다.

그런데 세상을 살아보지도 않은 핏덩이가 왜 한 손은 하늘을 가리키고 한 손은 땅을 가리키며 '하늘 위와 땅 아래에서 오직 내가 홀로 존귀하다.'고 외쳤을까. 위대한 인물의 종교적 형성 과정은 신앙의 차원에서 접근해야 이해가 가능하다.

기독교가 '말씀'으로 시작했듯 불교도 언어로 시작했다. 다만 기독교는 명령적 언어인데 비해 불교는 선언적 외침이라는 데 차이가 있다. 즉 '빛이 있으라 하시니 빛이 있었고'와 같이 기독교는 광명을 밝히는 창조의 명령으로부터 시작한다. 그런데 불교는 세상에 자신의 존재감을 알리는 고유(告諭)와 함께 자신의 권위를 드러낸 선언으로 시작한다. 그러다 보니 기독교는 절대자의 말씀에 순종하는 질서를 형성했고 불교는 먼저 깨달은 자가 세상을 위해 붓다의 장광설(長廣舌)이 필요했다. 그 장광설은 불교 경전에서 밝힌 붓다의 32서상(瑞相) 중의 하나인데 넓고 긴 혀에서 쏟아내는 교훈의 말씀을 뜻한다.

32서상은 붓다가 지닌 신체의 32가지 특징을 말한다. 손이 길어 무릎에 닿고, 발바닥은 평발인데 천 개의 살이 있는 바퀴가 새겨져 있고, 손가락과 발가락 사이에는 기러기 발과 같은 엷은 막이 있고, 장딴지는 사슴 같고, 몸은 사자 같고, 이는 40개인데다 온몸은 자금색으로 빛난다는 등 일반인과 다른 특이한 점이다. 이 특징들은 불상을 제작할 때 적용한다. 정수리의 육계(肉髻), 고수머리의 나발(螺髮), 목의 삼도(三道), 미간의 백호(白毫), 신체의 금박 등 외형적으로 볼 수 있는 부분들이다.

그중 선언적 언어의 특징을 지닌 서상은 넓고 긴 혀 즉 (長廣舌)로 나타난다. 인도의 철학에는 도를 깨달은 자는 혀가 길다고 보았다. 붓다 이전에 혀가 코를 덮을 만큼 긴 도사가 있었다는 것도 깨달음의 일정한 수준에 이른 자가 있었음을 상징한다. 그런데 붓다의 혀는 이마의 머리카락에 닿을 만큼 길고 넓었다. 전륜성왕처럼 무기나 무력보다는 정법과 정의로 세상을 다스리는 언어의 달인을 상징했다. 그 넓고 긴 혀가 곧 부처님의 말씀인 장광설인 것이다.

깨달음을 얻은 자의 유창한 말씀, 깨닫지 못한 자들을 계도하기 위한 자비의 말씀이 장광설이다. 그러다 보니 가로로 말하든 세로로 말하든 어느 하나 틀린 것이 없어 듣는 이가 쉽게 이해했다. 어떻게 말해도 진리의 정연한 논리가 있다는 횡설수설(橫說竪說)이다.

횡(橫)은 '가로', '옆' '곁'을 뜻하지만 '뜻밖의', '갑작스러운', '제멋대로 하다', '거스르다', '방자하다', '사납다'는 부정적 의미를 지닌다. 횡사(橫死), 횡액(橫厄), 횡행(橫行)과 같은 단어가 그것인데 특히 횡설(橫說)은 '상대방의 기분에 들지 않는 말, 또는 쓸데없는 말을 자유자재로 지껄이는 말'을 뜻한다. 그 영향인지 횡설수설은 주제도 없이 왔다 갔다 하는 부정적인 의미로 변했고 자상하고 조리 있게 설명하여 이해시키는 장광설도 길고 지루한 말, 쓸데없이 장황하게 늘어놓는 말로 바뀌어버렸다.

『고려사』 열전 '정몽주전'에서 이색은 정몽주를 자주 칭찬한 예가 보인다. '정몽주가 이학(理學)을 논하는 것은 횡설수설하는 것도 이치에 맞지 않은 것이 없다[夢周論理, 橫說竪說, 無非當理]'고 극찬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 성리학의 조종[東方理學之祖]'이라고 추앙했다. 부처님의 설법과 고려 최고의 문장가인 정몽주의 언어가 곧 횡설수설인데 정치인의 임기응변적 언술이 많은 탓에 부정적인 언어로 변했고 장광설 역시 국회의 의사방해(議事妨害)를 위한 긴 발언, 즉 필리버스터(filibuster) 때문에 저질의 장황한 말로 바뀌어 버렸다.

'내로남불'의 비아냥거림에도 부끄러워하지 않는 후안무치의 자기합리화가 언어의 본질까지 흐리게 한다. 많은 예산을 들여 국립국어원은 외래어를 정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 그 막대한 비용을 국회의 세비를 깎아 책정하면 어떨까. 실현성 없는 횡설수설로 장광설을 지껄여 본다.

i24@daum.net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배너
[詩가 있는 아침] 공현혜 시인의 '같이 살자'
같이 살자 - 공현혜 시인 수직으로 때려야 하는 것은 못이다 톱은 힘을 빼야 말을 듣는다 모두 사람의 말이다 잘려 나가는 나무와 평생을 한자리에서 녹슬 못 그들의 말은 아무도 들어 주지 않는다 세상도 수직이나 수평으로 자란다 포장된 놈들만 그렇다 해도 보이는 놈들은 아무 말도 듣지 않는다 한 생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은 겉모습으로 눈치챌 수 없이 비범하다 어떤 신호를 주고받아 사람이 사람을 수직으로 치는지 몰라도 현존하는 인내로 심장이 벌떡 일어서게 하고 갖가지 방식으로 손톱을 세워 살아내는 우리, 뿌리 같아도 하나로 살지 못하고 완연한 자유로 살아가지 못해도 같이 살자 같이 살자 같이 살자 천국은 나라라 하고 지옥은 감옥이라 하더라도 이승에서 같이 살다 보면 뿌리 같은 우리다. ■ 시작 노트 매화나무 몸통에서 꽃이 피더니 열매를 키웠다. 굵은 가지 새 가지에 태어난 놈들보다 요 한 놈이 더 매화같다는 생각이 든다. 매실나무, 또는 매화나무로 불리는 이름은 달라도, 불의에 굴하지 않는 선비정신의 표상이고, 늙은 몸에서 정력이 되살아나는 회춘(回春)을 상징 한다고 했다. 그럼 이 놈이야 말로 매실이다. - 공현혜 시인 ■ 감상 공현혜 시인의 '같이 살자'는 산


배너
배너

포토리뷰

1 / 7

배너

사회

더보기
법원 "과천시의 종교시설 용도 변경 거부는 위법"…헌법이 보장한 종교의 자유 침해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이하 신천지예수교회)가 과천시를 상대로 제기한 ‘건축물대장 기재내용 변경신청 거부처분 취소소송’에서 1심 승소했다. 수원지방법원은 지난 24일, 과천시의 거부처분을 위법하다고 판단하고, 해당 처분을 취소하며 소송비용도 과천시가 부담하라고 판결했다. 신천지예수교회는 "이번 판결은 과천시가 특정 종교단체의 입장과 정치적으로 내린 위법하고 부당한 행정 처분에 대해, 사법부가 헌법적 원칙에 입각해 명확한 제동을 걸고 철퇴를 내린 사건으로 평가된다"며 "해당 판결에 따라 과천시와의 협의를 통해 예배 재개 등 구체적인 조치들을 논의해 나갈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신천지예수교회는 이어 "지난 2006년, 과천시 별양동 뉴코아백화점 건물 9층을 매수한 뒤 '업무시설'에서 '문화 및 집회시설'로 용도변경하고, 이후 해당 공간을 15년 넘게 종교시설(교회)로 사용해 왔다"며 "과천시도 이를 수년간 문제 삼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2020년 2월 코로나19 확산 당시 과천시는 해당 건물을 임의로 폐쇄했다. 이후 과천시는 2023년 1월 신천지예수교회 측에 '문화 및 집회시설 용도에 맞게 사용하라'는 통보를 하며,

정치

더보기
우형찬 서울시의원, "아직도 내란은 끝나지 않았다"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국민의힘 서울시의원이 발의한 '윤석열 대통령 퇴진 불법 시국선언 교사 징계촉구 결의안'이 지난 4월 30일 서울시의회 제330회 임시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위 결의안은 정근식 서울시교육감에게 교사의 징계를 요구하는 내용이며 국민의힘 주도로 재적의원 72명 중 찬성 52표, 반대 20표로 가결되었다. 우형찬 서울시의회 의원(교육위원)은 "교사의 시국선언 징계요구는 헌법에서 보장하는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는 것"이라며 "지방교육 자치에 관한 법에 명시된 교육감 고유 권한인 인사권에 대한 월권"이라고 지적했다. 우 의원은 아울러 "2차 계엄시도가 발생할지 모를 12월10일에 치욕스러운 역사의 현장을 묵과하지 않고 용기를 낸 선생님들께 감사드린다"며 "선생님들의 결단이 역사를 한단계 진보시킨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우형찬 의원은 국민의힘 의원들의 교사입틀막 결의안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하고, 서울시교육청에 "시국선언과 관련한 교육부 차원의 조치나 법적인 판단도 없는 상황에서 징계를 검토하는 것은 부적절 하다"고 지적하며 "시국선언 교사 징계에 대한 사항은 내란의 법적 판단이 끝난 후에 해도 늦지 않을 것"이라고 주문했다. 끝으로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