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7 (목)

  • 구름많음동두천 16.4℃
  • 흐림강릉 10.6℃
  • 흐림서울 14.8℃
  • 흐림대전 17.7℃
  • 구름많음대구 26.4℃
  • 구름많음울산 24.0℃
  • 흐림광주 19.5℃
  • 안개부산 16.0℃
  • 흐림고창 12.3℃
  • 제주 19.3℃
  • 흐림강화 15.6℃
  • 흐림보은 17.1℃
  • 흐림금산 17.5℃
  • 흐림강진군 19.8℃
  • 구름많음경주시 25.7℃
  • 흐림거제 17.3℃
기상청 제공

정치일반

김의겸 의원 "오석준 대법관 후보, 상습적 공직자 재산 축소신고 드러나"

2억 1천만원에 취득한 부인 소유 오피스텔, 해마다 최대 5천만원 가량 축소 신고
대법관 후보자 재산신고에서도 2천만원 가량 축소
실거래가 높은 경우 실거래가로 신고하도록 한 공직자윤리법 위반
축소 등 재산허위신고...국회의원 등 공직선거 후보자는 당선무효형까지 선고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오석준 대법관 후보자가 '공직자 재산신고'를 하면서 수년째 축소 신고한 사실이 드러났다. 오 후보자는 대법관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국회에 제출한 현재의 '공직자 재산신고사항'에서도 마찬가지로 재산을 축소 신고했다.

오석준 후보자 인사청문특별위원회 위원인 김의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6일 "오 후보자가 부인 소유의 오피스텔을 재산신고하면서 적어도 2019년부터 지금까지 4년 동안 재산을 축소 신고한 사실이 드러났다"며 "대법관이 되겠다는 오 후보자가 오랫동안 법을 어겨온 사실에 법치주의의 최후의 보루인 '대법관으로서의 자격'을 가지고 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오석준 후보자의 부인은 2008년 7월 서울시 종로구에 위치한 '경의궁의 아침' 오피스텔 한 채를 사들였다. 연면적 69.59㎡에 전용면적 37.5㎡인 이 오피스텔의 당시 매매가는 2억 1000만 원인 것으로 등기부등본을 통해 확인된다.

오 후보자는 2013년 최초로 공직자 재산을 공개했는데, 이때 오 후보자는 해당 오피스텔의 가액을 1억 5678만 원으로 등록했다. 약 5천만 원 정도 축소해 신고한 것으로 당시 해당 오피스텔의 공시가격으로 산정한 금액이었다.

당시에 시행되던 공직자윤리법은 오피스텔 등 부동산의 경우 공시지가 또는 실거래가로 가액을 산정하도록 하면서 시행령에서는 '재산등록기준일의 평가액'에 따라 산정하도록 해, 실거래가로 신고하도록 의무화한 규정은 없었다.

그러다 2018년 ‘공시가격보다 실거래가격이 높은 경우 재산의 실제 가치가 반영되지 않는다’는 지적에 따라 "재산기준일의 평가액과 실거래가격 중 높은 금액으로 산정한다"는 내용으로 시행령이 개정됐다. 따라서 공시가격보다 실거래가격이 높은 경우에는 당연히 실거래가격으로 재산신고를 해야 한다.

하지만 오 후보자는 시행령이 개정된 2018년 이후에도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이 오피스텔을 축소 신고했다. 오 후보자는 이 오피스텔을 2019년 1억5578만 원, 2020년 1억6167만 원, 2021년 1억6427만 원, 2022년 1억7294만 원으로 신고했다. 모두 실거래가보다 4~5천만 원 낮은 가격이다.

그리고 오 후보자는 국회에 제출한 대법관 후보자 재산신고에서는 이 오피스텔을 1억8878만 원에 신고했다. 역시 실거래가보다 2천만 원 넘게 축소 신고한 금액이다. 현재 부동산 시장에서는 오 후보자 부인의 오피스텔과 같은 동의 같은 크기의 매물이 3억 원이 넘는 금액으로 거래되고 있다.

김의겸 의원은 "시행령이 개정된 이후에는 공시가격보다 높았던 실거래가격으로 재산을 신고했어야 당연하다"며 "국회의원 등 공직선거 후보자들이 재산을 축소 신고한 사실이 들통 날 경우 법원은 당선무효 형까지 선고하는 걸 비춰보면 오 후보자 역시 본인의 직까지 염두에 둔 책임 있는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i24@daum.net
배너
서울특별시한궁협회,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 성료
(서울=미래일보) 서영순 기자 = 서울특별시한궁협회가 주최·주관한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가 지난 17일, 서울 노원구 삼육대학교 체육관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약 250명의 선수, 임원, 심판, 가족, 지인이 함께한 이번 대회는 전 세대를 아우르는 스포츠 축제로, 4세 어린이부터 87세 어르신까지 참가하며 새로운 한궁 문화의 모델을 제시했다. 대회는 오전 9시 한궁 초보자들을 위한 투구 연습으로 문을 열었다. 이어진 식전 공연에서는 전한준(87세) 작곡가의 전자 색소폰 연주로 '한궁가'가 울려 퍼졌으며, 성명제(76세) 가수가 '신아리랑'을 열창했다. 또한 김충근 풀피리 예술가는 '찔레꽃'과 '안동역에서'를, 황규출 글벗문학회 사무국장은 색소폰으로 '고향의 봄'을 연주해 감동을 더했다. 마지막으로 홍소리 지도자가 '밥맛이 좋아요'를 노래하며 흥겨움을 더했다. 오전 10시부터 열린 개회식에는 강석재 서울특별시한궁협회 회장을 비롯해 허광 대한한궁협회 회장, 배선희 국제노인치매예방한궁협회 회장 등 내빈들이 참석해 대회의 시작을 축하했다. 김도균 글로벌한궁체인지포럼 위원장 겸 경희대 교수와 김영미 삼육대 교수, 어정화 노원구의회 의원 등도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한강, "윤석열 파면은 보편적 가치 지키는 일"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지난해 12월 3일 내란 우두머리 윤석열의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 윤 대통령의 탄핵 선고가 늦어지면서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한강 작가 등 국내 문학인 414명이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인용을 촉구하는 성명을 25일 발표했다. '피소추인 윤석열의 파면을 촉구하는 작가 한 줄 성명' 제목으로 밝힌 성명에서 문학인들은 "피소추인 윤석열의 대통령직 파면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 선고가 이유 없이 지연되고 있다"라며 "2024년 12월 3일 불법 비상계엄 이후 100일이 넘는 동안 시민의 일상은 무너지고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는 위기를 맞고 있다"라고 주장했다. 문학인들은 이어 "저희는 당일 자행된 반헌법이고 불법인 행위들을 똑똑히 보았다"라며 "피소추인 윤석열의 대통령직 파면은 당연한 일이다"라고 강조했다. 문학인들은 그러면서 "이에 우리는 헌법재판소에 요구한다. 지금 당장 대통령 윤석열을 파면하라"며 "414명의 작가는 각자의 목소리로 성명을 발표하고. 우리의 목소리가 헌법재판소에 닿길 바란다"라고 덧붙였다. 이날 성명에는 은희경·김연수·김애란·정보라·김초엽·김호연·박상영 소설가와 김혜순·김사인·오은·황인찬 시인 등 국내 대표

정치

더보기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