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등 10일간 해외순방을 마치고 귀국한 박근혜 대통령은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제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1) 참석과 유네스코 방문, 체코 프라하에서 개최되는 중유럽 4개국 협의체인 비세그라드
그룹과의 정상회담을 위해 오는 29일 5박 7일간의 일정으로 프랑스·체코 순방 길에 오른다.
김규현 청와대 외교안보 수석은 25일 청와대에서 브리핑을 갖고 이같은 내용의 프랑스·체코 순방일정을 발표했다.

김 수석은 "박 대통령께서는 국내외 산업계에 미칠 파장이 큰 기후변화협약 총회에 참석해 우리 정부의 이산화탄소 감축노력과 기후체제
출범을 적극 지지할 전망이다"라며 "아울러 박 대통령은 COP21 행사를 마친 뒤 체코의 프라하로 이동해 비세그라드 그룹 (V4.
헝가리·체코·폴란드·슬로바키아 등 중유럽 4개국 지역협력체) 소속 국가 정상들과 한-비세그라드 정상회담을 갖고 내달 5일 귀국한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우선 29일부터 2박3일 간의 일정으로 프랑스 파리를 방문해 오는 COP21(30일)에 참석하고, 다음 날엔 우리 대통령으로선 처음으로 유네스코 본부에서 특별연설을 할 계획이다.
파리에서 열리는 기후변화협약 총회에는 모두 195개국 대표들이 모여 교토의정서를 대체할 새로운 기후변화 대응체계 도출 방안을 논의한다.
이번 행사에는 파리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의장국인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의 주재로 진행되며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등 140명이 넘는 각국 정상급 인사들이 참석할 예정이며 반기문 유엔사무총장도 참석할 예정이다.
박 대통령은 우선 29일부터 2박3일 간의 일정으로 프랑스 파리를 방문해 오는 COP21(30일)에 참석하고, 다음 날엔 우리 대통령으로선 처음으로 유네스코 본부에서 특별연설을 할 계획이다.
파리에서 열리는 기후변화협약 총회에는 모두 195개국 대표들이 모여 교토의정서를 대체할 새로운 기후변화 대응체계 도출 방안을 논의한다.
이번 행사에는 파리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의장국인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의 주재로 진행되며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등 140명이 넘는 각국 정상급 인사들이 참석할 예정이며 반기문 유엔사무총장도 참석할 예정이다.
안종범 청와대 경제수석은 이날 춘추관 브리핑을 통해 "파리 총회를 계기로 새로운 기후체제가 출범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박 대통령은
파리 총회 개회식에 참석, 새로운 기후체제 출범을 위한 전 세계의 노력에 적극적인 지지와 동참 의지를 표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히 박 대통령은 파리 총회를 계기로 에너지신산업을 통한 우리의 감축 노력과 녹색기후기금(GCF) 등을 통한 개도국에 대한 에너지신산업 모델 확산 등 개도국 지원 방안을 국제사회에 적극 알릴 계획이라고 안 수석은 설명했다.
특히 박 대통령은 파리 총회를 계기로 에너지신산업을 통한 우리의 감축 노력과 녹색기후기금(GCF) 등을 통한 개도국에 대한 에너지신산업 모델 확산 등 개도국 지원 방안을 국제사회에 적극 알릴 계획이라고 안 수석은 설명했다.
박 대통령은 COP21 개회식 기조연설을 통해 신기후 체제 출범을 위한 국제 공조에 동참하는 한편 우리의 기후변화 대응노력을 설명할
예정이다.
이어 12월1일에는 이리나 보코바 유네스코 사무총장의 초정에 따라 유네스코를 방문해 특별 연설을 하고 보코바 사무총장과 면담과 오찬을 할 계획이다. 특히 이 자리에선 한·유네스코 자발적 기여에 관한 양해각서(MOU)와 ‘청소년 발달 및 참여를 위한 국제무예센터 설립협정’이 체결될 예정이다.
김 수석은 "박 대통령의 이번 유네스코 방문은 유네스코로부터 교과서 출판지원을 받았던 우리나라가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국가로서 인류평화와 번영에 함께 기여해나가는 한-유네스코 동반자 관계를 확대시키는 중요한 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또한 12월 2일부터 4일까지 2박3일간은 체코 프라하를 방문해 3일 체코·폴란드·헝가리·슬로바키아 등 중유럽 4개국으로 구성된 비세그라드(Visegrad) 그룹과의 제1차 정상회담을 갖는다. 정상회담 이후에는 폴란드, 슬로바키아, 헝가리 등 각국 총리와 연쇄 양자회담도 가질 예정이다.
박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과학기술·ICT·보건의료·문화 등 신성장분야협력 방안과 비세그라드 그룹이 추진 중인 원전·인프라 등 국책사업에 대한 우리 기업의 참여방안 등을 집중 논의할 예정이다.
김 수석은 "비세그라드 포럼은 중유럽 4개 중견국으로 구성된 경제협력체로서 이번 첫 회담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 걸쳐 우호 협력 증진과 협력사업 확대를 추진하고자 한다"고 기대했다.
또한 밀로시 제만 체코 대통령과 정상회담과 만찬을, 보후슬라프 소보트카 총리와는 면담 및 오찬을 가질 예정이다. 또한 상·하원 의장 접견, 한-체코 협력 인형극 관람, 양국 간 비즈니스포럼과, 동포간담회 등도 가질 계획이다.
김 수석은 이어 "박 대통령은 지난 14일부터 23일까지 7박10일간 터키·필리핀·말레이시아 3국을 순방하면서 주요20개국(G20)·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아세안(ASEAN·동남아국가연합) 관련 정상회의 등을 갖고 귀국한 지 6일 만에 프랑스와 체코를 방문한다"면서 "이는 통상 정상회담 일정으로는 상당히 무리한 일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박 대통령은 140개국이 넘는 각국 정상 또는 정상급 인사들이 모여 신기후 체제 출범이라는 역사적인 결정을 도출해내는 데 있어 선진-개도국간 가교 역할을 수행하고 향후 우리의 신재생에너지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비즈니스 영역을 창출하는 기회를 선점한다는 의미에서 불가피하게 파리 정상회의 참석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김 수석은 또한 "아울러 프랑스 방문 계기에 중유럽 핵심국가인 체코를 방문, 비세그라드 정상회의 등 외교의 블루오션 개척 위해 금번 순방길 오르게 됐다"고 덧붙였다.
박 대통령은 프랑스와 체코 순방 일정을 마치고 다음달 5일 귀국할 예정이다.
이어 12월1일에는 이리나 보코바 유네스코 사무총장의 초정에 따라 유네스코를 방문해 특별 연설을 하고 보코바 사무총장과 면담과 오찬을 할 계획이다. 특히 이 자리에선 한·유네스코 자발적 기여에 관한 양해각서(MOU)와 ‘청소년 발달 및 참여를 위한 국제무예센터 설립협정’이 체결될 예정이다.
김 수석은 "박 대통령의 이번 유네스코 방문은 유네스코로부터 교과서 출판지원을 받았던 우리나라가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국가로서 인류평화와 번영에 함께 기여해나가는 한-유네스코 동반자 관계를 확대시키는 중요한 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또한 12월 2일부터 4일까지 2박3일간은 체코 프라하를 방문해 3일 체코·폴란드·헝가리·슬로바키아 등 중유럽 4개국으로 구성된 비세그라드(Visegrad) 그룹과의 제1차 정상회담을 갖는다. 정상회담 이후에는 폴란드, 슬로바키아, 헝가리 등 각국 총리와 연쇄 양자회담도 가질 예정이다.
박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과학기술·ICT·보건의료·문화 등 신성장분야협력 방안과 비세그라드 그룹이 추진 중인 원전·인프라 등 국책사업에 대한 우리 기업의 참여방안 등을 집중 논의할 예정이다.
김 수석은 "비세그라드 포럼은 중유럽 4개 중견국으로 구성된 경제협력체로서 이번 첫 회담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 걸쳐 우호 협력 증진과 협력사업 확대를 추진하고자 한다"고 기대했다.
또한 밀로시 제만 체코 대통령과 정상회담과 만찬을, 보후슬라프 소보트카 총리와는 면담 및 오찬을 가질 예정이다. 또한 상·하원 의장 접견, 한-체코 협력 인형극 관람, 양국 간 비즈니스포럼과, 동포간담회 등도 가질 계획이다.
김 수석은 이어 "박 대통령은 지난 14일부터 23일까지 7박10일간 터키·필리핀·말레이시아 3국을 순방하면서 주요20개국(G20)·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아세안(ASEAN·동남아국가연합) 관련 정상회의 등을 갖고 귀국한 지 6일 만에 프랑스와 체코를 방문한다"면서 "이는 통상 정상회담 일정으로는 상당히 무리한 일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박 대통령은 140개국이 넘는 각국 정상 또는 정상급 인사들이 모여 신기후 체제 출범이라는 역사적인 결정을 도출해내는 데 있어 선진-개도국간 가교 역할을 수행하고 향후 우리의 신재생에너지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비즈니스 영역을 창출하는 기회를 선점한다는 의미에서 불가피하게 파리 정상회의 참석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김 수석은 또한 "아울러 프랑스 방문 계기에 중유럽 핵심국가인 체코를 방문, 비세그라드 정상회의 등 외교의 블루오션 개척 위해 금번 순방길 오르게 됐다"고 덧붙였다.
박 대통령은 프랑스와 체코 순방 일정을 마치고 다음달 5일 귀국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