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30 (일)

  • 구름조금동두천 4.9℃
  • 맑음강릉 5.2℃
  • 맑음서울 5.6℃
  • 맑음대전 6.2℃
  • 구름많음대구 7.5℃
  • 구름많음울산 5.0℃
  • 구름조금광주 5.9℃
  • 구름많음부산 5.8℃
  • 맑음고창 4.2℃
  • 흐림제주 7.1℃
  • 맑음강화 4.5℃
  • 맑음보은 5.3℃
  • 맑음금산 5.0℃
  • 구름조금강진군 6.3℃
  • 구름조금경주시 5.6℃
  • 구름많음거제 5.3℃
기상청 제공

2021 백제 유네스코 세계유산 축전 기념, 초향(草鄕) 민경희 개인전

'고향의 흙 내음이 풍기는 작품 세계'…평범함 속의 비범한 표상(表象)

(충남 부여=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지난 13일 개막식을 시작으로 '찬란한 유산, AGAIN 백제로!'의 주제로 오는 29일 폐막식까지 17일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백제역사 유적지구인 전북 익산시와 충남 공주시·부여군에서 동시에 열리고 있는 '2021년 백제 세계유산축전' 기념, 동양화가 초향(草鄕) 민경희 개인전이 8월 16일부터 8월 29일까지 충남 부여군 부소산 '부소갤러리'에서 열리고 있다.

충남 부여 출신으로 부여의 토종 꽃들로 부여인의 혼을 묘사하면서 한국 화단에서 여성 중견작가로 맹활약하고 있는 민경희 작가는 오랫동안 민들레를 소재로 자신이 태어난 고향 초촌면 신암리를 늘 가슴에 담아 가장 한국적이면서 토속적인 흙내음이 물씬 풍기는 작품 세계를 보여주고 있어 연일 계속되는 폭염과 팬데믹 상황에서도 전시장을 찾는 관람객들의 발걸음이 멈추지 않고 있다.

소박하면서도 화려한 색채로 꽃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자연의 생명력을 표현한 작가의 작품을 보면서 그의 마음을 꼭 닮은 듯한 감동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평범한 삶속에서 하나의 생명체가 흙속에서 자라 홀로 아름다운 꽃을 피워내는 마치 인간의 삶을 고스란히 화폭에 옮긴 듯한 느낌을 주고 있다"는 화단의 평에 대해 대변이라도 하듯 민 작가는 '초충(草蟲, 풀벌레)'이라는 한시(漢詩)로 화답을 하고 있다.

조조창호고격의(早祖窓户敲擊意) 아침에 창문을 두드리는
초충량성환성수(草蟲凉聲喚醒睡) 풀벌레 소리에 잠을 깨운다

경경슬슬우수수(輕輕瑟瑟又嗖嗖) 스르르 스르르
에이명성미려서(愛爾鳴聲美麗瑞) 너의 목소리는 아름다기도 하지

흔연기상거도전(欣然起床去稻田) 그래 이제 일어나 논으로 가자
초충여이일거지(草蟲與爾一去至) 풀벌레 너도 같이 가자

답변발초산전경(畓邊拔草鏟田埂) 논에 가 풀을 뽑고 논둑을 깎자
시추천요화수사(是秋天要禾收賜) 그래야 가을에 나락을 선사 받지

가성음합절박중(佳聲音合節拍中) 더 멋진 소리로 장단을 맞추어
화실거간용하차(畫室去看用下次) 가자 다음엔 화실로 가보자

경경슬슬우수수(輕輕瑟瑟又嗖嗖) 스르르 스르르
수무족도청주미(手舞足蹈請走爲) 덩실덩실 춤주며 가자

기연래도료화비(旣然來到了畵備) 이제 화실에 왔으니
재백지상악필자(在白紙上握筆字) 하얀 화선지에 붓을 잡아보자

민 작가는 "민들레(들꽃)의 표상을 통하여 평범함 속에 숨어 있는 비범한 일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이 세상에서 훌륭한 것이란 특별한 것이나 빼어난 것이 아니라 그 자리에서 스스로 그 존재성을 잃지 않고 홀로 아름다운 꽃을 피우는 작고 평범한 것들에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겸손한 마음을 전했다.

민 작가는 이어 "오랫동안 민들레를 그려왔다"며 "그중에서도 토종 민들레에 대한 탐색을 집중적으로 해 왔다"고 말했다.

민 작가는 그러면서 "토종 민들레에 대한 나의 관심은 그 본성(本性)이 자연의 이치에 순응하면서도 자신의 모습을 끈질기게 지켜온 독특한 생존방식 때문이었다"라며 "서양이나 다른 나라의 다르게 토종 민들레는 교합할 같은 종의 상대를 만나지 못하면 다른 종과의 교배는 거부하고 스스로 홀씨를 만들며 스스로 혈통을 지켜 나간다"고 말했다.

민 작가는 계속해서 "토종 민들레는 서양 민들레가 매년 꽃을 피우는 것과 다르게 꽃을 피는데도 수년이 걸린다"며 "요즘은 다양한 환경의 여파로 토종 민들레는 점차 그 수가 줄어든다고도 한다. 이런 민들레의 행보는 나에게 인상적으로 다가왔는데 아마도 빠르게 변하는 현대 문화 속에서 소중한 우리의 것들이 사라지는 현실에 안타까움을 느꼈던 평소의 정서와 소통하는 그 무엇이 있어서인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민 작가는 이어 "현대 미숙의 다양함 속에서 나만의 고유한 정감을 만들고 지키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이 우리의 꽃 중 하나인 민들레에 대한 회화적 관심으로 접근하였다"며 "회화적 조형으로 보았을 때 민들레는 꽃이 피었을 때 보다 꽃이 지고 난 후에 씨앗을 달은 갓털로 변했을 때 훨씬 아름답다"고 전했다.

민 작가는 "이 모습은 한편 화려한 꽃을 피운 이유이기도 하여 마치 우리 인생의 젊음 뒤에 오는 완숙한 인간의 모습으로 병치되어 나의 회화적 발상에 무한한 영감을 주기도 하였다"며 "민들레는 바람이 부는 대로 날아가 홀씨가 떨어진 그 위치에서 뿌리를 내리고 자신의 모습을 만들어 나간다"고 말했다.

민 작가는 끝으로 "산골에서 농사를 짓다 읍내 부소산 부소갤러리에서 그림과 같이 나들이를 나왔다"며 "저와 그림은 여러 관광객 분들께서 그림을 관람하실 수 있게 되어 행복한 시간을 보내고 있다"며 "저처럼 관람하시는 분께서도 그림을 보시고 가슴에 조금이라도 좋은 감동을 느끼시게 하여 행복감을 드렸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장정란(미술사·문학박사)는 "민경희는 민들레를 소재로 다년간 작품 제작을 하여 왔다"며 "하나의 소재만으로 변화 있는 화면구성이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민들레의 상징성과 형태에 대한 치밀한 천착으로 다양한 민들레의 모습을 그려내고 있다"고 평했다.

장 박사는 이어 "소재가 단순한 만큼 그림의 형식은 다양하다"며 "우선 '홀씨 퍼트리기' 형식의 작품들을 보면 갓털 끝에 매달린 씨앗들을 그리거나 공중으로 퍼져나가는 홀씨들을 그린 그림들이다. 홀씨가 등장하는 방식은 같으나 각기 다른 다양한 바탕색으로 각자의 그림들을 차별화 하고 있다"고 말했다.

장 박사는 그러면서 "민경희는 민들레의 표상을 통하여 감상자들에게 평범함 속에 숨어 있는 비범한 일상을 확인하게 하려는 것 같다"며 "훌륭한 것은 특별한 것이나 빼어난 것이 아니라 그 자리에서 스스로 그 존재성을 잃지 않고 홀로 아름다운 꽃을 피우는 작고 평범한 것들에 있다는 작가의 발언이다. 그러므로 한편 예술은 특별한 것이 아니고 우리 주변의 평범한 사물 속에서도 그 의미와 미학을 찾아낼 수 있다는 주장이기도 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초향 민경희 작가는 단국대학교 조형예술대학을 졸업하고,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동양화과 석사과정을 졸업한 뒤 모교인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동양화과 박사학위를 수여 받았다.

민 작가는 현재 고향인 초촌면 신암으로 귀농한 귀농이기도 하다. 민 작가는 고향의 미술인들과 틈을 내 교류하고 대화를 나누며 이젠 부여에서 마지막 열정을 불태우기 위해 정성을 기울이고 있어 앞으로 지역 미술계에 큰 활력소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i24@daum.net
배너
서울특별시한궁협회,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 성료
(서울=미래일보) 서영순 기자 = 서울특별시한궁협회가 주최·주관한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가 지난 17일, 서울 노원구 삼육대학교 체육관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약 250명의 선수, 임원, 심판, 가족, 지인이 함께한 이번 대회는 전 세대를 아우르는 스포츠 축제로, 4세 어린이부터 87세 어르신까지 참가하며 새로운 한궁 문화의 모델을 제시했다. 대회는 오전 9시 한궁 초보자들을 위한 투구 연습으로 문을 열었다. 이어진 식전 공연에서는 전한준(87세) 작곡가의 전자 색소폰 연주로 '한궁가'가 울려 퍼졌으며, 성명제(76세) 가수가 '신아리랑'을 열창했다. 또한 김충근 풀피리 예술가는 '찔레꽃'과 '안동역에서'를, 황규출 글벗문학회 사무국장은 색소폰으로 '고향의 봄'을 연주해 감동을 더했다. 마지막으로 홍소리 지도자가 '밥맛이 좋아요'를 노래하며 흥겨움을 더했다. 오전 10시부터 열린 개회식에는 강석재 서울특별시한궁협회 회장을 비롯해 허광 대한한궁협회 회장, 배선희 국제노인치매예방한궁협회 회장 등 내빈들이 참석해 대회의 시작을 축하했다. 김도균 글로벌한궁체인지포럼 위원장 겸 경희대 교수와 김영미 삼육대 교수, 어정화 노원구의회 의원 등도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차인표·신애라 부부, 산불 피해 성금 1억 원 기부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회장 송필호)는 배우 차인표·신애라 부부가 경북·경남·울산 등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해 1억 원을 기부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기부금은 울산·경북·경남 등 산불 피해 지역 주민들을 위한 긴급구호, 생필품 제공, 임시 대피소 운영 등 복구와 일상 회복 지원에 쓰일 예정이다. 두 사람은 "산불로 피해를 입은 분들게 깊은 위로를 전합니다"라며 "산은 탔지만, 희망은 타지 않았습니다. 여러분은 혼자가 아닙니다. 힘내세요"라고 희망브리지에 전했다. 차인표·신애라 부부는 이번 기부를 계기로 개인 고액 기부자 모임인 '희망브리지 아너스클럽' 회원으로 위촉돼, 향후 재난피해 이웃과 재난 취약계층 지원에 더욱 관심을 가지고 나눔문화 확산에 노력하기로 했다. 신훈 희망브리지 사무총장은 "함께해 주신 따뜻한 마음에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며“"산은 탔지만, 희망은 타지 않았다’는 말씀처럼 희망브리지는 피해 이웃들이 희망을 잃지 않도록, 끝까지 함께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희망브리지는 산불 피해지역에 구호키트, 대피소 칸막이, 모포, 생필품, 생수, 식품류 등 45만 점에 달하는 구호물자를 지원하고 있으며, 소방관 식사

정치

더보기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