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BS는 지난 7월 4일 '국민의힘' 서울시의원 76명이 전원 동의한 '서울특별시 미디어재단 TBS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 폐지조례안'의 발의로 존립에 위협을 받고 있다.
이 조례안은 2020년 TBS를 독립된 재단법인으로 재출범하도록 한 조례를 폐지하고, 소속 직원 및 자산 등에 대한 조치 내용을 담고 있다.
이러한 공영미디어 장악과 'TBS 죽이기'에 대항해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81명은 7월 26일(화) 국회 소통관에서 정치권력의 '공영미디어 길들이기' 중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가진 바 있다.
TBS의 현황보고 후 이어진 간담회에서 정필모 의원은 "TBS 조례 폐지안 발의는 TBS만의 문제가 아니라 언론의 자유 및 표현의 자유에 대한 도발이고 반민주적인 처사"라고 지적했다.
강민정 의원은 "TBS가 독립된 재단법인으로 재출범한 이후 시민에 의한, 시민을 위한 방송의 좋은 선례를 만들고 있었다"며 "TBS를 살리는 것이 방송 생태계 전반을 혁신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형배 의원은 "TBS 사태는 우리 사회의 소중한 자산인 공영미디어를 특정 정치세력이 사유화하려는 시도"라며 "TBS 구성원들의 혁신적 의지와 시청자·청취자들의 지지가 합쳐지면 서울시와 서울시의회가 TBS를 함부로 하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강택 TBS 대표는 "시급한 사안이 많음에도 TBS를 찾아주셔서 감사하며, TBS를 지키는 것이 우리 사회의 퇴행을 막는 일이고, 표현의 자유·언론의 자유를 지키는 길"이라고 답했다.
이 대표는 이어 "서울시의회는 교통방송이 낡았으니 아예 민영화를 하자고 하는데 TBS는 이미 2020년 서울시 산하 사업소에서 재단으로 독립해 시민들에게 차별성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이 대표는 그러면서 "TBS는 사회에 제대로 공급되지 않았던 시민 참여 콘텐츠와 지역성 있는 콘텐츠를 다양하게 제공하는 시민 참여형 지역 공영 방송"이라고 강조하며 "정치적 공세를 멈추고 TBS의 책무와 역량을 이성적으로 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정필모 의원은 "TBS 사태는 우리 사회 공영미디어를 지켜낼 수 있는지에 대한 시금석이 될 것”이라며 “국회에서 법적·제도적인 뒷받침을 위해 노력할테니 경영진뿐만 아니라 직원들도 사명감을 갖고 의지와 힘을 모아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