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 방제사가 일천여 평의 논에 농업용 드론을 이용해 골고루 농약을 살포했다. 방제사 곁에서 드론방제를 지켜보던 논주인은 "이제 나이가 많고 농약 치고 비료 뿌리는 게 너무 힘들어서 농사 그만 지으려고 했다"며 "저렇게 잠간 사이에 농약을 다 뿌려주니 십 년은 농사를 더 지어도 될 것 같다"며 환하게 웃었다.
A 방제사도 "농촌의 일손부족과 고령화가 심각해지면서 농업용 드론이 어느새 농촌의 필수 장비로 자리잡았다"며 "드론을 활용해 농작물 2~3m 상공에서 약제를 뿌리는 방식으로 진행하는 벼 병해충 방제작업은 농작물에 직접 분사해 방제효과가 높고 지형에 구애받지 않아 방제작업이 수월하며 농약 사용량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드론의 탄생은 1849년 7월 오스트리아에서 군사 목적으로 무인 풍선에 폭탄을 매달아 날린 것이 시초로 알려지고 있다. 이후 드론은 군사 목적으로 진보하다 2010년대 이후 IT기술이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민간 용도로 점차 진화했다.
드론은 인터넷이나 GPS, 통조림, 전자레인지 등 군에서 발명된 발명품들 중 하나다. 드론이 민간 용도로 사용은 지난 2010년대 이후부터 급변하기 시작했다.

또 실종자 수색, 감시, 열화상 카메라를 탑재한 드론으로 태양광 패널 점검 등이다. 방제 분야에선 논밭 위를 날아다니며 사람의 15배 속도로 농약살포 및 소나무 재선충, 조류 독감, 소화탄을 탑재해 화재진압까지 진출한 상태다.
한편, 레저·스포츠 분야의 드론은 군집 드론, 드론 레이싱, 드론 축구, 드론 낚시, 드론 클래쉬(드론 격투) 등에서 활용되고 있어 코리아드론의 교육과정도 점차 다양화되고 있다.
i2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