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9.12 (화)

  • 구름많음동두천 21.2℃
  • 구름많음강릉 22.7℃
  • 구름많음서울 23.7℃
  • 구름많음대전 22.9℃
  • 구름많음대구 24.1℃
  • 구름많음울산 22.6℃
  • 구름많음광주 23.9℃
  • 구름많음부산 24.9℃
  • 구름조금고창 20.8℃
  • 흐림제주 24.8℃
  • 구름많음강화 23.4℃
  • 구름조금보은 20.9℃
  • 구름많음금산 21.5℃
  • 구름많음강진군 23.0℃
  • 구름조금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2.2℃
기상청 제공

[양금희 교수의 '세계문학산책'] 보제나 헬레나 마주르-노바크(Bożena Helena Mazur-Nowak) 시인의 '모래시계'

현재 영국에 거주하는 폴란드 출신 시인이며 번역가
태어난 나라에 대한 그리움으로 글을 써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보제나 헬레나 마주르-노바크(Bożena Helena Mazur-Nowak)는 폴란드의 오폴레에서 태어났으며, 2004년 6월 이민을 결정하고 영국으로 떠나 현재까지 거주하고 있다.

태어난 나라에 대한 그리움으로 글을 썼으며 그녀는 폴란드어로 된 시집 4권과 국제번역 시집을 합쳐 총 19권을 출간하였다. 그녀는 다수의 국제상과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다.

거의 20년이 지난 지금도 그녀는 외국 시민권을 받지 않았으며, 그녀는 자신의 전기에서 폴란드적 정체성과 출생지인 오폴레을 자랑스럽게 강조하고 있다.

그녀의 시는 호주, 캐나다, 스페인 등의 라디오에서 소개되었다. 보제나 헬레나 마주르-노바크는 세계 각지에서 열리는 국제 시 문화 축제에 초대되었으며, 그녀는 자신의 시와 소설이 폴란드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독자들에게 이해되고 감상 되고 있다는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하고 있다. [편집자주]

모래시계

- 보제나 헬레나 마주르-노바크(Bożena Helena Mazur-Nowak)

시간의 모래알은 모래시계 목구멍에 막혀있어.
시간은 여전히 흘러가지만, 이제는 어떻게 측정할까?
천식 환자는 숨이 가쁘고 가슴이 아픈데

여름은 정원을 꽃과 일하는 벌로 장식되고
가슴 속 나비는 여전히 살아 있지만, 천천히 죽어가고
눈은 푸른 하늘의 태양의 빛을 즐긴다.

입에서 나온 기도와 마지막 구절의 말씀
바람을 타고 이제는 외국 땅으로 여행한다.
하지만 고통을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 그것을 이해할까?

목이 메어 말 못 하는 모래시계
삶의 마지막 숨결의 유일한 증인이다.

번역: 양금희 교수

The hourglass

By Bozena Helena Mazur-Nowak

The grains of time are stuck in the hourglass's throat
Time is still flowing, but how do you measure it now?
When the asthmatic's breathing is shallow and heart-aching

The summer decorates the garden with flowers and working bees
And in the chest, the butterfly dies slowly while still
The eyes enjoy the glare of the sun in the blue sky.

Prayer from the lips, and the words of the last verse
are traveling on the wind to a foreign land.
But will anyone understand them without knowing the pain?

Mute hourglass with a choked throat
The only witness to the last breath of life.

■ 양금희 교수
양금희 교수는 <서울문학>과 월간 <시문학>을 통해 시로 등단, 이어도문학회 초대회장과 제주국제대 특임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한국시문학문인회 제주지회장, (사)국제PEN한국본부 제주지역위원회 부회장, 18~20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통일부 제주통일교육센터 통일교육위원, 제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특별연구원, 민주평통 제주평화통일포럼 연구간사, 제주통일미래연구원 이사, 한국윤리학회 이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미국·중국·그리스·베트남·파키스탄에 다양한 언어로 시 작품이 번역 소개되었다.

저서로 시집 <행복계좌>, <이어도, 전설과 실존의 섬>과 산문집 <행복한 동행> 등이 있으며, 2019년 통일부 통일교육원 통일교육우수사례 공모전 최우수상, 2020년 민간통일교육부문 국무총리상, 2021년 평화통일공감대 확산 기여 부문 제주특별자치도지사상 수상했다.

i24@daum.net
배너
서울문화재단-인사아트프라자 갤러리 업무 협약 체결…예술지원사업 선정자에 전시공간 제공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서울문화재단(대표이사 이창기)은 인사아트프라자 갤러리(회장 박복신)와 서울 지역 예술가 및 예술단체 대상 지원 확대를 위한 업무 협약(MOU)을 지난 4일(월) 서울문화재단(동대문구 용두동)에서 체결했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앞으로 서울문화재단 지원사업에 선정된 예술가 및 단체에 인사아트프라자 갤러리의 전시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해 다양한 방식으로 서울의 예술창작 활성화와 예술지원 효과 확대를 위한 협력을 추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서울시 출연 문화예술 전문 기관인 서울문화재단은 서울에서 활동하는 예술가와 예술단체들의 지속 가능하고 안정적인 창작 환경 조성을 위해 다양한 예술지원 사업을 추진하며, 매년 그 규모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특히 장르와 경력 단계, 생애주기, 활동 특성별로 지원할 수 있도록 △예술창작활동 지원사업 △청년예술 지원사업 △원로예술 지원사업 △공연장 상주단체 육성지원사업 △예술기반 지원사업 △서울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창작공간 입주 지원사업 △특성화 지원사업 등을 운영하고 있다. 인사아트프라자 갤러리는 종로구 인사동에 있는 대형 복합문화공간으로, 총 7개의 전시공간을 운영한다. 자체 기획전시뿐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LG유플러스, 희망브리지에 수해 의연금 18,272,000원 전달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회장 송필호)는 LG유플러스(대표 황현식)가 호우와 태풍 등으로 피해를 본 이웃을 위해 써달라며 임직원이 십시일반 모은 성금 18,272,000원을 전해왔다고 8일 밝혔다. LG유플러스가 전해온 의연금의 모금은 지난 7월 21일부터 3주간 진행되었으며 총 346명의 임직원이 자발적으로 참여했다. LG유플러스도 모여진 성금만큼을 더하는 매칭 방식으로 호응하며 이번 기부의 의미를 더했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재난·재해가 발생할 때마다 작은 도움이지만 손길이 필요한 분들을 위해서 활발히 기부 및 구호활동을 해왔다"라며 "이번에도 다양한 기부활동을 통해 이웃의 고통을 조금이라도 덜어드리고자 했다"라고 말했다. 김정희 희망브리지 사무총장은 "수해 이웃을 위해 한뜻으로 성금을 전해주신 LG유플러스와 임직원께 깊은 존경과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라며 "희망브리지는 피해를 본 국민들이 하루빨리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재난 구호모금 전문기관인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는 1961년 전국의 신문사와 방송사, 사회단체가 힘을 모아 설립한 순수 민간단체이자 국내 자연재해 피해 구호금을

정치

더보기
우형찬 서울시의회 민주당 부의장, 목동선 등 경전철과 공항소음에 대한 관심과 국고지원 요청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우형찬 서울시의회 더불어민주당 부의장은 8일,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서울·인천·강원 예산정책협의회에 참석, 서울지역 민생 현안 해결을 위한 내년도 국비 확보를 적극 요청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날 국회에서 박광온 원내대표, 서삼석 예산결산특별위원장, 김영호 서울시당위원장을 비롯 인천, 강원지역 위원장과 국회의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인천·강원 예산정책협의회'를 개최했다. 서울시당은 도시철도 4개 사업, 환경사업 2개와 의료·주택·공원·안전사업 등 모두의 10개의 현안사업을 설명하고 내년도 예산에 최우선적으로 반영할 것을 요청했다. 회의에 참석한 우형찬 서울시의회 부의장은 2023년 9월 현재 도시철도 4개 노선 (강북횡단선, 목동선, 면목선, 난곡선) 재정사업 건설 사업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예비 타당성 조사를 수행하고 있는 기재부와 PIMAC이 조사를 계속 지연시키고 있어 이에 신속한 수행를 촉구했다. 또한 환경사업 중 공항소음 대책사업 부족분에 대한 국고지원을 요청하였는데, 법률에 근거한 주민지원사업을 시행하기에는 매년 100억 원 정도가 부족함을 지적하며, 2024년 국비로 편성할 것을 요청했다. 현재 공항소음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