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박찬대 의원(인천 연수구갑)이 26일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 받은 ‘교육부 및 교육청, 교육지원청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실적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중 2014년 15곳, 2015년 13곳, 2016년 11곳, 2017년 11곳, 2018년도 12곳 등이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비율을 지키지 않았다.
중증장애인생산품은 경쟁고용이 어려운 중증장애인들을 고용하는 직업재활시설 등에서 제작하는 상품이다. 공공기관은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특별법’에 따라 중증장애인생산품을 총 구매액의 1% 이상 구매해야 한다.
각 시·도교육청 또한 대상 공공기관에 포함된다.
정부가 취업이 어려운 중증장애인의 자립과 재활을 도와 고용창출을 이뤄내고자 마련했던 제도를 공공기관인 교육청에서조차 지키고 있지 않은 것.
박찬대 의원은 “장애인의 근로는 국민으로서 당연히 보장받아야 할 국가의 의무이자 책임"이라면서 "사회적 편견으로 인해 고용시장에서 실질적인 평등 기회를 박탈당하고 있는 장애인들의 재활과 자립을 위한 제도는 공공기관부터 앞장서서 지켜야 한다"고 밝혔다.
redkims64@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