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영화 '십계(The Ten Commandments, 1956 제작. 세실B.드밀 감독. 미국)'에 나오는 노예들은 신발을 신지 않은 것을 볼 수 있다. 고대 그리스에서 신발을 신는 것은 그 사람이 '자유 시민'이라는 상징이었다. 노예와 포로는 맨발로 다녔다. 당시에 신발은 신분과 같았다. 그래서 일까 현대인들은 장신구 중, 신발 애착이 강한 것으로 분석한다. 운동화 한 켤레에 몇 천 만 원이 넘는 것도 이를 말하고 있다. 영화 '십계'는 또 다른 독특한 장면이 눈길을 끈다. 타오르는 나무속에 하나님이 나타난다. 하나님은 모세에게 '네가 서있는 곳은 거룩한 땅이니, 네 발에서 신을 벗으라'고 말한다. 이슬람 사원 역시 들어가려면 신발을 벗어야 한다. 신발이 더러운 곳을 밟는다고 본 탓이다. 서울 종로구 옥인동에 가면 동양화가이며 서울대 교수를 지낸 박노수(1927~1923) 가옥(假屋)이 있다. 가옥은 윤덕영(1873~1940)이 그의 딸을 위하여 1938년 건립한 이층집 적산 가옥이다. 이 집은 1991년 5월28일 서울시 문화재대자료 제1호로 지정이 되었다. 윤덕영은 조선 후기 문신이다. 윤덕영은 친일파의 한사람으로 이완용
(미래일보) 신정일 기자 = 정부가 처음 수입하는 '모더나코비드-19백신주'에 대해 국가출하승인 기준에 적합하다고 판정했다. 이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 15일자로 녹십자㈜가 신청한 '모더나코비드-19백신주' 5만 5000여 회분에 대해 국가출하승인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국가출하승인이란 백신의 제조단위(로트)별로 식약처의 검정시험 결과와 제조원의 제조,시험 결과에 대한 자료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백신이 시중에 유통되기 전에 국가가 백신의 품질을 한 번 더 확인하는 제도다. 식약처는 지난 3월부터 제조원 시험법을 검증해 자체 시험법을 확립하고, 영상분석장치 등 시험에 필요한 장비를 미리 도입해 '모더나코비드-19백신주'의 신속한 국가출하승인을 위해 준비해왔다. 식약처가 확립한 시험법은 시험관 내 단백질 발현(in vitro translation), RNA함량, RNA캡슐화비율, RNA확인, 순도, 제품 관련 유연물질, 지질함량, 지질 유연물질, 지질확인, 지질나노입자 크기, 지질나노입자 다분산도 등이다. 이에 따라 '모더나코비드-19백신주' 5만 5000여 회분에 대한 검정시험과 제조,시험 자료검토로 효과성,안전성,품질을 확인했으며, 국가출하승인 기준에 적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원래는 주식과 전혀 관련 없는 음악 전공이었던 사람이었는데 우연한 기회에 차트를 배워 주식을 하게 되었다는 주부였던 주식전문 작가 감은숙 위베스트 대표. 감 작가는 학생들에게 성악 레슨 일을 업으로 삼아 일하다가 여유롭지 못한 생활 속에 돈이 필요해 우연히 전화 아르바이트를 하게 된 것이 주식투자의 첫 시작이라고 한다. 주식을 전업으로 하는 사람들이 5명 모여서 흔히 주식시장의 세력이라 불리는 사람들의 사무실에서 일을 하게 되었으며, 하루에 1800개 가량의 챠트를 보고 그들이 원하는 종목을 골라주는 업무 보는 일을 했다. 그러던 중에 주식하는 동호회 사이트 증권정보채널이라는 카페를 알게 되었고 카페 내에서 수많은 고수 분들과 함께 주식에 대한 정보를 나누고 카페 내 주식스터디라는 모임을 통해서 주식에 대한 본격 적인 공부를 시작 하였다고 한다. 이번에 출간한 감은숙 작가의 책 '지금부터 주식공부 다시 시작이다'를 통해 그가 경험한 주식투자 경험담을 들어 보았다. ▲ 자신을 소개한다면? "주식 시장의 인간 승리! 라고 말하고 싶다. 바닥부터 시작해서 Best 전문가가 되기까지, 주식투자 기법과 비밀 무기차별화 된 차트 분석
(서울=미래일보) 강기옥(시인·국사편찬위원회 사료조사위원) = 태어나자마자 울음을 터뜨리지 않는 아이는 정상이 아니다. 세상에 태어난 기쁨이든 두려움이든 울음은 자신의 탄생을 알리는 언어의 변형이다. 인간의 삶은 그렇게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를 표현하는 언어로 시작한다. 미분화된 상태의 울음은 점차 세련된 언어로 발전하며 예절과 도덕적 성숙도를 동반한다. 누구나 탄생 초기에는 떼를 쓰는 육탄적 방법으로 표현하였기에 태어나면서부터 완벽한 언어를 구사할 수는 없는 것이다. 인류사에서 생물학적 한계를 초월한 인물이 있었다. 신앙적 시각으로 접근해야 이해할 수 있는 '고타마 싯타르다'다. 태어나자마자 사방으로 일곱 걸음을 걸으며 '천상천하유아독존'이라는 탄생게(誕生偈)를 외친 카필라 왕국의 왕자는 가장 완벽한 인간의 탄생이었다. 상식적으로는 감탄보다 전설이나 신화로 받아들여지는 신이(神異)한 언동이지만 불자들에게는 절대적 숭앙의 가치를 지닌다. 그런데 세상을 살아보지도 않은 핏덩이가 왜 한 손은 하늘을 가리키고 한 손은 땅을 가리키며 '하늘 위와 땅 아래에서 오직 내가 홀로 존귀하다.'고 외쳤을까. 위대한 인물의 종교적 형성 과정은 신앙의 차원에서 접근해야 이해가 가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시인에게는 정신의 가방이 있다. 이 정신의 가방은 시인의 생명이며 그 나라의 히스토리다. '바람과 눈물사이' 시집은 권일송(1933~1995. 순창출신) 시인이 1980년대 말쯤에 발표한 작품이다. 70~80년대 시인들은 늘 시대와의 불화 속을 거니는 시간들이었다. 그들이 마시는 한 잔의 소주는 시대의 항거였다. 어느 골목이던 시인이 자리한 술집은 독립투사들이 모이는 만주의 들판이다. 바람이 일고 황량하다. 한잔의 소주잔에는 만주벌판을 달리는 칼바람소리가 들어있다. 권일송 시인의 '바람과 눈물사이' 세 번째 페이지에 올려 진 시 한편은 70~80년대 그날의 함성이 들린다. 과녁을 조준(照準)하라!/ 무너지는 복판을 향해/ 아우성치며 달겨드는/ 반란의 니그로들/늪에 갇힌 것들은 모조리 일깨우고/ 소리 나지 않은 종을 울려서/탄생의 아픈 순간에 세우노니/울어라 씽씽 마파람이여 / 살갗이 터져서 아픈 울음을/속으로 도져서 으깨신 몸살을/ 망각의 들판 위에 흩뿌리는가/ 아이야야얏… /선비피 낭자한 옥양목 하늘/ 쇳소리 한 마당 풀무질 한 채/ 사납게 일렁이는 바람의 기둥('회초리' 시 전문) 아무런 설명을 하지 않아도 70년대를 살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본지 편집국장/시인) = 늘 종종걸음으로 하루를 시작해서 종종걸음으로 일과를 마치는 일상이 된 지 오래다. 그러나 아침 출근길이나 퇴근길, 또는 퇴근 후 잠시 갖는 산책길에서 만나는 들꽃 풍경은 언제 보아도 정겹고 운치가 있다. 설령 기분이 울적하더라도 거리를 산책하다 보면 울적한 마음이 곧 사라지고 즐거운 마음이 들곤 한다.엊그제 퇴근 무렵 도심의 복잡한 상가 한편에 핀 각종 아름다운 꽃들과 함께 흰 들꽃도 자세히 보게 되었다. 여름철 산과 들은 물론이고 공원이나 도로 옆길 가장자리에도 잡풀이 있는 곳이라면 어김없이 몇 개 또는 군락을 지어 피어나는 꽃이다. 하얀 '개망초꽃'이다. 개망초는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인 귀화식물이다. 내 고향 전라도 지역에서는 개망초라는 이름보다는 '담배풀, 또는 '계란 꽃'이라고 부르던 이름이 더욱 친숙하게 다가오는 꽃이기도 하다. 또한, 꽃을 피우지만 강한 생명력과 번식력 때문에 농부들이나 공원 관리자들이 제일 싫어하는 잡초이기도 하다. 그래서 관상용 꽃으로 대우를 받지 못하고 잡초로 천대받는 꽃이다. 그동안 무심히 지나쳐 왔던 '개망초꽃'이었지만 이날은 개망초가 그렇게 미운 꽃일까를 생각해 봤다.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391년 전 네덜란드에서는 바이러스에 걸린 변이종의 꽃을 두고 열광하는 일이 벌어졌다. 그 열광은 지금의 비트코인과 똑 같다. 투기가 되어 돈을 번사람, 엄청난 재산을 날리는 사람도 나왔다. 훗날 사람들은 그 당시를 '튤립 꽃 광(狂) 시대'라 불렸다. '몽테크리스토 백작'으로 유명한 프랑스 소설가 알렉상드르 뒤마(Alexandre Dumas. 1802~1870)는 시대상을 투영, '검은 튤립'이라는 소설을 썼다. 네덜란드의 국화인 튤립은 터키도 국화로 사용한다. 본래 랄레(lale)라고 불리던 튤립은 마치 터번(Turban)처럼 생겼다. 이슬람, 아랍인들이 즐겨 사용하는 터번이 튤립에서 유래되었다는 여담(餘談)도 있다. 비록 한때지만 네덜란드인들에게는 알뿌리 하나로 경제를 흔든 파멸의 꽃이다. 하지만, 네덜란드인들에게 지금도 사랑스러운 꽃이라는데 어찌할까. 한해에 90억 송이 이상의 튤립을 재배한다. 75억 세계인들에게 한 송이를 전해주고 남는 양이다. 당시, 역사 속으로 들어가 보면, 바이러스의 존재를 모르는 시대다. 병에 걸린 튤립을 보며 '신의 꽃'이라 열광 했다. 사람들은 생소한 튤립의 탄생에 경외감을 가졌다. 그런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라일락은 물푸레나무과 수수꽃다리 속에 속하는 교목으로 북한산국립공원 도봉산에 뿌리를 내리고 살았다. 북한산 지킴이 노릇을 한 나에게 북한산을 제일 먼저 오른 사람을 기억하느냐고 묻는 사람도 있다. 나는 피식 웃으며 '나무꾼'이 아니냐며 실없는 농담을 주고받는다. 라일락꽃은 나 말고도 유럽의 남부지방, 따뜻한 곳에 이런저런 종들이 살고 있다. 시간은 흘러 새로운 종들이 탄생, 지금은 그 종의 수를 정확히 알지 못한다. 물론 알려 들면 모를 리 없지만 나는 그리 한가한 식물은 아니다. 한 가지 유념할 것은 도봉산의 나와 유럽 종은 다소 다른 얼굴을 가졌다. 5월이면 나는 어느 꽃보다 바쁘다. 시인 노천명은 '푸른 오월'이라는 시에서 "라일락 숲에/ 내 젊은 꿈이 나비처럼 앉은 정오/계절의 여왕 오월의 푸른 여신 앞에/ 내가 웬일로 무색하고 외롭구나"라고 낭송했다. 수필가 피천득 선생은 5월에 태어났다. 그리고 오월에 세상을 떠났다. 5월을 사랑한 그는 '오월'이라는 시를 남겼다. "오월은 금방 찬물로 세수를 한 스물한 살 청신한 얼굴이다" 그래서 나는 오월이면 마치 시인처럼 설레고 바쁘다. 사실은 이렇게 한가한 이야기를 하려는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일부교회는 예배시작 전 준비찬송을 하면서 피아노와 함께 드럼을 치는 교회가 늘어난다. 일부교회만의 것이 중대형 교회로 번진다. 소리가 너무 커서 드럼 주변에 유리박스가 아이러니다. 드럼은 연주보다는 친다는 표현이 더 익숙하다. 친다는 것은 격정의 표현으로 와일드한 분위기, 폭풍을 연상케 한다. 교회는 신나게, 즐겁게, 젊게 의미를 둔 것으로 보인다. 교회의 분위기는 뭐니 뭐니 해도 피아노 반주의 클래식 함이다. 우리나라에 1900년 3월 26일 미국 선교사 사이드보텀(Sidebotham)이 들여 온 게 피아노의 시작이다. 대구의 사문진 나루터(현 화원동산)로 들여왔다. 121년 전에 피아노를 접한 사람들은 '귀신 통'이라 불렀다. 육중한 피아노를 상여 막대기를 이용해 옮기는 과정서 붙여진 이름이다. 달성군은 2011년부터 피아노가 들여온 날을 기념하여 '달성 100대피아노' 축제를 매년 열기도 한다. 낙동강의 석양빛 노을과 100대의 피아노 연주는 사람들의 큰 호응을 받기에 족하다. 시간은 흘러 피아노 없는 교회는 상상할 수 없다. 교회의 찬송가 반주는 피아노가 상징이다. 피아노는 세계적 악기의 명사다. 피아노 발명자는 이탈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매년 4월 22일은 ‘지구의 날’이다. 자연보호자들이 환경오염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기 위해서 만들었다. 이날 오후 서울시청 시민청 태평홀에서도 지구의 날을 맞아 환경오염의 심각성을 일깨우기 위한 행사가 열렸다. 도전의 아이콘 맨발의 사나이 조승환이 '빙하의 눈물을 보여주다'라는 퍼포먼스 통해 얼음 위에 맨발로 서 있기 세계기록 경신에 도전했다. 또 이를 통해 우리 국민들에게 지구환경의 중요성을 일깨운 것. 대회장을 맡은 사람은 전라남도체육회 김재무 회장이었다. 코로나19 시대 속 전남체육회의 현안과 이날 행사의 의미 등에 대해 물었다. "지구 온난화 문제에 많은 사람이 관심 가졌으면 한다." 자기소개를 통해 김 회장은 "집이 전남 광양"이라면서 "맨발의 사나이 조승환 씨와 같은 동네 선후배다. 지방의회 활동을 하다가 전남도의회 의장을 끝으로 시장 출마했다가 낙마하고 2020년 1월 전남체육회장에 당선돼 활동하고 있다"라고 소개했다. 김 회장이 이끄는 전남체육회와 관련해서는 "전체가 68개 단체"라면서 "정규단체가 57개고 비정규 단체 즉 가입만 하고 협회로서의 실제는 활동하지 않는 곳이 11곳이다. 최근 4개 종목 정도가 더
(인천=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동해안권 경제자유구역 망상1지구 개발 사업을 둘러싼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범시민대책위의 반발에 이어, 동해시와 동해안권경제자유구역청, 사업 시행자 간의 갈등이 이어지는 등 전 방위로 확산되고 있다. 이와 관련 '인터넷언론인연대' 취재본부가 이해당사자들의 연속 인터뷰를 통해 갈등해법은 무엇인지를 고민해본다. 네 번째 순서로 사업자인 동해이씨티의 입장이다. 인터뷰이는 지난 16일 오후 동해이씨티국제복합관광도시개발(유) 본사 회의실에서 가진 동해이씨티 남헌기 회장이다. "망상1지구 토지보상을 준비하다 날벼락 맞은 꼴" 동해시가 도시기본계획 심의를 유보한 것과 관련 남헌기 회장은 "토지보상을 준비하다 날벼락 맞은 꼴"이라고 말했다. 동해시의 심의 유보를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남 회장에 따르면 2016년 캐나다 던디그룹이 땅 한 평 구매 없이 강원도비만 사용 후 철수했고 경제자유구역특별법에 의해 구역이 해지될 위기에 처하자 최문순 도지사 등은 민간사업자 유치에 나서게 됐다. 이에 2018년 ‘토지 선구매’라는 악조건에서 동해이시티가 투자 및 사업 의향을 밝혔다. 사업자 선정은 순탄치 않았다. 2018년 8월, 정부 16개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백영규 시인은 영암의 산골에서 십자매를 기르며 목회를 했다. 백 시인은 교회 정원에 나들이 온 새들과 십자매와 사이좋게 놀게 하고 싶었다. 새장 안에서의 십자매에게 새로운 세상을 보여주려는 시인의 넉넉함이다. 하지만 십자매는 새장 밖의 자유 함을 누리려 하지 않았다. 새장 문 앞 50cm 정도에 모이 그릇을 두면, 십자매는 모이를 먹곤 곧장 새장 안으로 들어가 버렸다. 백 시인은 십자매가 숲을 날다 석양이면 집으로 돌아오는 자유의 꿈을 꾸었다. 반년에 걸쳐 꾸준한 노력은 계속되었으나, 50m정도의 새장 밖에서 모이를 먹고 곧장 들어가는 것이 고작 이였다. 거기에 숲속의 새들이 십자매를 공격하기도 했다. 새는 집에서 기르는 새, 물에 사는 물새, 산에서 사는 새, 도심 속에 사는 새로 구분한다. 물새는 영하의 날씨에도 발이 동상에 걸리지 않는 자연의 신비를 타고 났다. 새는 세계적으로 8500종이 있다. 우리나라에는 396종이 살고 있다. 새는 날면서도 노래를 할 수 있는 건 폐가 인간보다 훨씬 효율적이다. 새는 기초대사량이 높기 때문에 매일 밤마다 체중의 10%를 잃고, 깨어 있을 때 최대한 많이 먹는다. 인간이 새와 같은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사형수가 단두대에서 처형되기 직전 머리를 받침대 위에 올려놓는다. 사형집행인이 "마지막 할 말은 없는가" 물었다. "내 수염은 잘리지 않도록 조심해 주슈. 그건 죄가 없으니…" 사형을 당하는 사람이 죽는 시간까지 유머감각을 잃지 않는다는 토머스 모어(Thomas More. 1478~1535)의 정치공상소설 '유토피아(Utopia.1516)'의 중간에 나오는 구절이다. 우리의 정치인들은 물론, 너나없이 사람들의 이미지는 경직되고 있다. 선거기간에 나오는 언어는 모두가 격분의 대상이다. 아주 시시한 문제로 상대를 헐뜯는 정치인의 언행을 보면 이골이 난다. 조금은 진지해야 할 교육자, 종교 지도자까지 표독한 언어가 툭툭 튀어나온다. 그들에게 좀처럼 밝고 파안대소하는 장면은 별로 보지 못한 것 같다. 역사속의 인물들이지만 미국의 제40대 대통령 로널드 레이건(Ronald Wilson Reagan.1911~2004)은 미국 대통령 선거역사상 최대의 선거인단 크기로 이긴 대통령이다. 그의 유머감각은 널리 회자된다. 재선에 나섰던 레이건은 먼데일(Walter F(rederick) Mondale.1928~)에게 나이가 많은 것에 공격을 받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샤넬의 설립자 코코샤넬(Coco Chanel. 1883~1971)은 장미보다 동백을 좋아 했다. 그는 동백꽃을 꽃 중의 꽃이라 했다. 나폴레옹(Napoleon.1769~1821)은 그의 아내 조세핀(Josephine. 1763~1814)에게 동백꽃을 선물했다. 19세기 서양에서는 튤립처럼 동백이 투기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동백(冬柏)은 혹한에서 꽃망울을 터트린다. 문인들이 혹한의 추위를 견디고 피어낸 동백과 목련을 선호하는 이유도 그런 뜻이다. 동백꽃의 꿀을 좋아하는 새는 동박새다. 동백이 피는 시간은 곤충이 없다. 동백은 향기도 없다. 동백은 오르지 붉은 색으로 동박새를 초대하여 꿀을 재공하고 수정을 한다. 그래서 조매화(鳥媒花)의 하나다. 우리나라 최초의 백과사전인 1836년 권문해의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보물 제878호)'에는 선조들이 마셨던 차(茶)들 중 산다화(山茶花)라는 동백꽃차가 등장한다. 추웠던 겨울이지만 그래도 동백은 붉게 노래한다. 경남 통영 장사도에 10만 그루의 동백이 동박새를 초대하여 잔치를 한다. 여수 오동도 동백숲이 빨갛게 물들였다. 전남 강진 백련사 1500그루 동백숲은 터널을 만들어 발
(서울=미래일보) 최창일 시인 = 창을 열자. 창을 열고 햇빛이 쏟아지는 봄의 은총을 마시자. 모멸의 추위는 갔다. 성가신 시간들이 멀어져 간다. 따뜻한 오후, 성곽 길의 흙냄새가 정겹다. 사실 흙냄새라기보다 세월의 냄새라고 해야 할 것이다. 600년 전에도 미세한 실바람이 담벼락을 긁었고, 허공의 구름을 징검다리 삼아 유영의 새들이 동그라미를 그리며 놀고 있다. 걷다가 멈춰서 그 성곽 길에 등을 기대면 벽 안으로 스며들었던 역사의 기억들이 들리는 듯.홀로 걷는 내게 끊임없이 새로운 풍경으로 인사하듯 역사의 음성이 들린다. 성곽을 쌓던 토목기사들의 이름이 새겨진 성곽 돌의 홈을 만지고 들여다본다. 한참을 걷다보니 낙산공원의 팻말이다. 가난한 사람들이 낙타의 등 모양으로 다닥다닥 모여 살았던 곳. 봄날 꿈을 보자기에 쌓고 무작정 서울에 올라왔던 소녀들의 미싱 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이곳은 지금도 가난한 미싱사들이 맥을 이어가며 살고 있다. 10여명 중년의 남녀들이 웅성웅성 모여 있다. 40을 넘긴 해설사가 낙산의 스토리를 들려준다. 슬그머니 그들의 대열에 끼어 낙산의 역사를 듣는다. 2006년 '낙산 공공 미술 프로젝트' 작업 덕분에 지금은 마을 전체가 미술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