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미래일보) 오나연 기자 = 10월 3~6일 4일간 뚝섬한강공원을 방문하는 내외국인을 대상으로 '2024 서울국제정원박람회 연계 한국전통혼례 재현 및 체험' 행사가 열린다. 사람과문화중심이 주관하는 이번 행사는 '2024 서울국제정원박람회'와 연계해 서울 관광 홍보 마케팅의 일환이자 전통문화 체험 위주로 진행된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전통혼례 재현 공연, 혼례복 및 한복 체험, 전통놀이 체험 등 다양한 이벤트가 있으며, 공연은 전통 혼례 중 일부분을 극 형태로 구성해 1일 2회 재현된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 내외국인 대상으로 캐리어 스티커, 전통과자 등 다양한 기념품이 제공된다. 아울러 행사장 내 포토존에서 사진을 찍고 이를 SNS에 공유하는 해시태그 이벤트도 진행된다. 모든 체험프로그램 미션을 완료하는 스탬프 투어를 완성하면 한정판 기념품을 선착순으로 증정한다. 이번 행사는 뚝섬한강공원 청담대교 밑에서 10월 3, 5, 6일은 오후 2시부터 6시 30분까지 운영되고, 10월 4일은 정오인 12시부터 4시 30분까지 운영된다. 참가비는 무료이다. 10월 3, 5, 6일 저녁 7시 30분부터 9시까지는 다채로운 국악공연도 열린다. 이번 공연에 참가하는 국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세계적인 기타리스트 잉베이 요한 맘스틴(Yngwie Johann Malmsteen)의 데뷔 40주년을 기념하는 내한 공연 티켓 예매가 10월 4일 오후 8시 티켓 링크에서 시작된다. 9월 30일부터 예매처인 티켓링크에서 잉베이 맘스틴의 공연 정보 및 공연장 좌석 안내를 미리 확인할 수 있다. 한정된 좌석과 팬들의 폭발적인 관심 속에 치열한 티켓팅 전쟁이 예상되는 만큼 예매 전 필요한 정보를 미리 숙지하고 빠르게 티켓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공연은 데뷔 40주년 월드투어의 일환으로, 잉베이 맘스틴은 최근 일본 나고야, 도쿄, 오사카에서 열린 공연을 전석 매진시켰으며, 현재 미국, 튀르키예, 핀란드 등에서도 성황리에 공연을 진행 중이다. 전 세계 팬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잉베이 맘스틴의 내한 소식은 메탈과 기타 팬들에게 특별한 기대감을 주고 있으며, 9년 만의 귀환이라는 점에서 더욱 큰 의미를 지닌다. 실제 2015년 현대카드 Understage 내한 공연을 직접 관람했다고 밝힌 한 팬은 "메탈과 기타 팬이라면 잉베이를 모를 수 없다. 지난 공연은 기대 이상으로 만족스러웠다"며 "잉베이의 독보적인 연주를 직접 경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한국세계문학협회(회장 양금희 시인)는 지난 9월 19일부터 24일까지 타이완(臺灣) 신북시(新北市) 단수이(淡水) 포모사(寶島)에서 열린 '2024 단수이 포모사 국제 시 축제(2024 淡水福爾摩莎國際詩歌節)''에 초청 인사로 참여하여 한국문학의 최근 경향을 소개해 호평을 받았으며, 이번 '단수이 포모사 국제 시 축제'에서 강병철 작가(시인·정치학 박사)는 한국세계문학협회 창립 회장으로 한줄 시에 대하여 발표하였다. 또한 타이완의 대표적인 시인 중의 한 명으로 알려진 리쿠이셴리쿠이셴(李魁賢, Lee Kuei-shien) 시인과 강병철 작가는 한국과 대만 간의 문학 교류의 구상에 대해 대담을 하였다. 이 자리에서 두 시인은 한국과 대만의 문학 교류 확대 방안에 관한 다양한 쟁점을 검토하며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칠레 시인 루이스 아리아스 만조(Luis Arias Manzo)가 2005년 설립한 세계시인운동(Movimiento Poetas del Mundo, PPdM)은 2016년부터 국제적인 시 축제를 구상하여 대만 단수이에서 개최하고 있다. 세계 시인 운동(World Poets Movement)은 5개 대륙 약 130개국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사)한국산림문학회(이사장 김선길)는 2024년 제13회 녹색문학상 수상작으로 송용구 시인의 시집 <녹색 세입자>를 선정하였다고 24일 밝혔다. 숲사랑·생명존중·녹색환경보전·정서녹화를 표제어로 하고 있는 녹색문학상운영위원회와 (사)한국산림문학회에서 주관하는 2024년도 제13회 녹색문학상 작품 공모는 지난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2달의 접수 기간동안 총 186편의 작품이 접수 되었으며 이중 중복, 부적격(동인지) 작품을 제외한 169건이 예선 심의에 올랐다. 예심에서는 시 2편, 시조1편, 소설1편, 수필1편, 아동문학 1편 등 총 6편을 선정하였고, 5명의 본심위원(김유조·허영자·하청호·장호병·최병암) 전원의 합의로 송용구 시인의 <녹색 세입자>를 수상작으로 선정하였다. 김유조 본심위원장은 심사평을 통해 "본 작품은 문명의 고도화에 따른 자연 파괴와 현 시대 우리 인류가 당면한 기후 위기에 경종을 울리는 생태시집으로, 특히 나무에 대한 시를 별도로 구분하면서도 숲의 회복을 염원하였다"면서 "주제에 대한 일관성이 녹색문학상 취지에 가장 부합하였으며 문학적 완성도도 뛰어났다"고 밝혔다. 송용구 시인
2024년 추석에 '아버지, 어머니 지가 왔당께요' - 이경선 시인 "니 아버지하고는 절대로 합장하지 말거라잉 반백 년 산 것도 징한디 죽어서 까정?" "산소 주변에는 영산홍을 심으랑께로 꽃도 보고 지저귀는 새소리도 듣고 싶구먼" "니 아부지 몰래 꽃도 보고 님도 보고 뽕도 딸란다!" 살아생전 어머니 말씀처럼 아버지 어머니 산소 따로 쓰고 주변에는 영산홍을 심었습니다. 어매요! 활짝 핀 영산홍 꽃이 고운 어매 얼굴만큼이나 유난히도 곱구만이라 이쁜 은발에 인정 많던 울 엄니가 지극 정성으로 질렀는 갑소 새소리도 쓸쓸허지 않게 들려옹께로 즐거우신게라? 미운 정이 더 깊다는디 아배 옆에 나란히 누워 계신게로 서로 마실도 댕김서 잘 지내신당가? 아따! 평생을 지겹게도 싸웠쌌드만 그놈의 성질 쪼깨만 줄이랑께로 아배는 나긋나긋 처자가 좋다는디 항시 보믄 어매가 이겨 묵을라꼬 혀쌍께 시끄랐제 한 번만이라도 좋응께로 또 보고 싶은 울 어매 아배요! 벌초 때나 성묘 오갈 때만 그런거시 아니고 항시 그립고 생각나고 겁나게 보고 잡어부러 지 말이 들린당가요? 여섯 자슥들은 알아서 잘 살고들 있응께 전혀 걱정일랑 허덜 말고 오손도손 잘 지내시랑께요 갔다가 또 올랑께로 자주 안 온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아랍 시인 포럼(Arab Poets' Forum)과 협력하여 카이로의 다르 스크라이브(Dar Scribe) 출판사에서 '추억의 역(Stations of Memory)' 단편 소설집을 출간하였다. 이 책에는 여러 나라 작가들의 144편의 단편소설이 수록되어 있다. 모나 두간 자말루딘(Mona Dugan Jamaluddin)이 표지 디자인을 한 이 책은 2025년 카이로 국제 도서 박람회에 출품될 예정이다. 한국에서는 유일하게 강병철 작가(정치학 박사)의 작품인 '돼지의 섬(The Island of Pigs)'이 137번째로 수록되어 있다. 강병철 작가는 1993년 단편소설로 제주신인문학상을 받았다. 2016년 시문학으로 시인 등단하여 활발한 창작활동을 하고 있으며 한국세계문학협회 창립회장이다. 강병철 작가는 작품 활동 외에 2012년 제주대학교에서 국제정치를 전공하여 정치학 박사를 취득했으며, 국제PEN한국본부 인권위원회 위원, 국제PEN 투옥작가위원회 위원, 충남대학교 국방연구소 연구교수, 제주국제대학교 특임 교수 등을 역임하였고, 현재 제민일보 논설위원과 한국평화협력연구원 부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i24@daum.net
(서울=미래일보) 오나연 기자= 대한민국 자원봉사의 역사를 기록하고 공유하는 자원봉사아카이브의 개설 10주년 기념 특별전시가 2024년 9월 3일부터 29일까지 서울 돈의문박물관마을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는 'K-Volunteerism'을 찾는 기록의 여정이다. 대한민국 자원봉사의 뿌리를 되짚으며, 최신 자원봉사 트렌드까지 아우른다.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가 주최하고 자원봉사아카이브 공동운영기관, 돈의문박물관마을, 대한사회복지회가 협력한 이번 전시는 자원봉사의 역사적 기록을 통해 대한민국이 위기 속에서 어떻게 연대하고 협력해 왔는지 보여준다. 일제강점기 국민들이 자발적으로 일으킨 만세운동부터 현대의 자원봉사 활동에 이르기까지 자원봉사는 한국 사회를 받쳐온 중요한 자산이다. 전시에서는 대한민국의 주요 자원봉사 활동이 구체적으로 기록된 다양한 자료들이 공개된다. 광복 이후 자연재해 극복을 위한 구호 활동, 1988년 서울올림픽에서 자발적으로 참여한 자원봉사자들의 활약, 그리고 2007년 서해안 기름 유출 사고와 같은 대규모 재난 복구 봉사까지 다양한 역사적 순간을 통해 자원봉사의 가치를 되새길 수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현대 자원봉사의 새로운 트렌드도 조명한다. 조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국제계관시인연합·한국위원회(UPLI-KC : United Poets Laureate International-Korea Committee : 이사장 전민(본명 전병기)에서 기획한 'Poetry Korea' 제17호가 2024년 여름호로 발행되었다. 'Poetry Korea'는 UPLI-KC의 연간 앤솔로지(Annual Anthology)로 4호까지는 영문판으로 발행하던 것을 5호부터는 한·영대역판으로 발행해 오고 있다. 특히 이번 17호에서는 지난 4월 29일 급환으로 작고한 고(故) 김용재 본 협회 전 이사장의 지나온 업적을 추모하고 이를 계승하기 위하여 김 전 이사장의 대표시 '더하기와 지우기', '순환 형식', '어느 여인을 보며', '잃어버린 여름', '이승과 저승이 따로 없을 것도 같았다' 등 5편을 추모 특집으로 소개했다. 이 중 '이승과 저승이 따로 없을 것도 같았다' 전문을 한·영대역으로 소개한다. 이승과 저승이 따로 없을 것도 같았다 - 고(故) 김용재 시인 검은 벽이 보인다 하얀 빛이 일렁인다 육신의 병이 뺨을 친다 정신의 시(詩)가 실바람 소리를 낸다 제 몸을 돌아보고 제 옛날 돌아보고 한(恨)익은 사랑이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정서윤 시인이 최근 첫 시집 <유리병 속의 팔레트>를 현대시학사(현대시학시인선 140)를 통해 출간했다. 정서윤 시인은 서울 출생으로 경희대학교 관광경영학과와 동 대학원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과(석사)를 졸업했다, 2019년 <월간 시>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존재의식과 성찰을 극대화 시킨 시 '행복의 출처', '생각나는 사람으로', '호수', '유리병 속의 팔레트'가 추천시인상에 당선 되면서 문단에 나왔다. 당시 한상훈 문학평론가는 정서윤 시인의 신인상 심사에서 "정서윤은 시인으로서 세계와의 관계 속에서 자아성찰의 내면을 섬세하게 드러내고 있다"라고 평하며 동시에 "자연의 작은 움직임에서 우주적 질서를 포착해낸 정서윤의 시적 발상이 신선하다"라고 칭찬했다. 정 시인은 또한 2023년 <여행문화>에서 중세 성벽 중 유일하게 현주민들이 거주하고 있는 코스타 브라바 해안의 작은 마을 토사 데 마르(Tossa de Mar) 기행기로 수필 등단했다. 정서윤 시인은 그동안 공저로 <눈꽃바람 벗어나기>, <인생은 눈부신 선물>, <혼자 있을 때 생각나는 사람이 있다는 것&g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사단법인 한국문인협회(이사장 김호운)은 문학작가들의 작품 발표면 확대로 작가들의 창작 의욕 고취를 증대하고 양질의 디지털 콘텐츠 개발로 독서에 친숙한 환경조성하여 독자들이 디지털 콘텐츠를 통해 다양하게 문학작품을 접할 수 있도록 진화된 프로그램 구축 사업의 일환으로 한국문학예술저작권협회(KOLAA)의 미분배 보상금을 활용해 문학잡지 디지털 콘텐츠 프로그램을 개발, '월간문학' 및 '한국문학인'의 웹진 구축을 완성했다고 14일 밝혔다. 한국문인협회의 이번 문학잡지 디지털 콘텐츠 프로그램 개발은 마케팅의 궁극적인 목적 달성을 위한 훌륭한 도구로써 작가와 독자들 간의 소통을 이끌어내어 문학작품에 대한 친근성과 작품 이해도를 돕는 등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로써 독서감상문, 독서토론, 리딩노트(형광펜 메모), 개인독서 교육통계 등으로 다양한 독서 교육활동 지원 및 디지털 콘텐츠의 역동성을 활용한 문학TV 방송 등 다양한 체널의 효과로 문학이 독자에게 즐거움과 다양한 예술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번 '월간문학' 및 '한국문학인'의 웹진구축사업은 한국문학예술저작권협회의 미분배 보상금을 활용해 지난 20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1990년 정신대(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룬 최초의 단편소설 '원주민촌의 축제'를 발표하고, 이 작품으로 이듬해 한글문학회가 주는 '한글문학상' 신인상을 수상하면서 해마다 8월 13일을 '정신대 위령의 날'(The Comfort Women Memorial Day) 및 '국제 사람 몸 존중의 날'(International Human Body Respect Day)로 기념하자고 제의했던 허만길 문학박사가 '국제 사람 몸 존중 선언'(International Declaration of Human Body Respect)을 13일 발표했다. 해마다 8월 13일을 '정신대 위령의 날' 및 '국제 사람 몸 존중의 날'로 제의한 것은 작품 세계에서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지 45년 뒤 1990년 8월 13일 대학원생인 외손녀가 정신대로 끌려갔던 외할머니를 타이완의 높은 산 속 원주민촌에서 처음으로 만났기 때문이다. 허만길 박사는 작품 세계에서 외할머나와 외손녀가 처음 만났던 때로부터 34주년이 되는 2024년 8월 13일에 '국제 사람 몸 존중 선언'(International Declaration of Human Body R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강원도 정선군의 문화예술광산 삼탄아트마인(Samtan Art Mine,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고한읍 함백산로 1445-44)이 '정선 예술여행' 기획전이자 강릉 출신 원로작가 윤후명 문학그림 전시회 '내 빛깔 내 소리로-책을 그리다'의 특별행사로 윤후명 시와 소설 낭독회 '책을 함께 읽자, 문학을 그리자'를 오는 23일(금) 오후 2시에 현대미술관 캠(CAM)에서 연다. 윤후명 문학과 미술의 만남展 '내 빛깔 내 소리로-책을 그리다'는 삼탄아트마인 주최, 예술법인 가이아 기획, 강원특별자치도, 강원문화재단, 정선군청 후원으로 진행된다. 10월 30일까지 삼탄아트마인 현대미술관 캠(CAM)과 마인갤러리 등에서 개최되며, 고석원, 한중 아트프로젝트팀 사야, 위세복, 윤후명, 이이남, 이인, 이재효, 장태묵, 추니박, 한생곤, 황재형 등 화가와 조각가가 참여해 전시한다. 윤후명 문학 낭독회는 강원도 춘천 출신 명품 배우 이재용 영화배우 겸 탤런트가 사회를 보며, TV 예능프로와 드라마 등에서 선보인 중저음의 낭랑한 목소리로 윤후명 소설 '팔색조의 섬' 첫문장을 읽으며 낭독의 맛을 선사한다. 낭독회 오프닝 축하 퍼포먼스로는 태백 출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신재미 시인이 세 번째 시집 <영원한 사랑을 위하여>를 세종문화사를 통해 최근 발간했다. 신재미 시인의 세 번째 시집 <영원한 사랑을 위하여>는 총 5부로 나누어져 있으며, 시인이 살아오면서 체험한 것을 시로 녹여내고 있다. 시의 매력은 숨겨진 비밀을 찾는 것인데, 신재미 시인은 기독교인이면서도 성서에 등장하는 용어를 직접 표현하지 않았음에도 시에는 절대자를 향한 공경이 느껴진다. 또한 오랜 시간 어른들을 섬기며 몸에 밴 효심과, 수년의 교사로 인하여 동심의 순수함이 시 속에 들어 있으며 신문사 기자로 전국을 다니며 만난 풍경을 시로 창작한 작품이 많아 시를 읽으면 내가 그곳을 다녀 온 듯 마음이 하나 됨을 느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신재미 시인의 시는 미사여구로 꾸미지 않아 시어가 맑다는 평을 받아왔다. 2004년 문단 활동 시작 이후 꾸준히 독자들의 사랑을 받으며, 활동하는 시인의 주옥 같은 작품을 만나볼 수 있는 시집이다. 신재미 시인은 충북 단양 출생으로 2004년 시인이며 작사가인 故 박건호 선생 추천으로 문학 활동을 시작, 2005년 <문학공간>을 통해 시로 등단했다. 2023년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사단법인 한국문인협회(이사장 김호운)는 26일 오후 서울 양천구 한국방송회관 회견장에서 '2024 문학상(1차) 시상식'을 갖고 월간문학신인작품상을 시상했다. 이날 시상식에서 월간문학신인작품상(제169회, 제170회) 당선자 23명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월간문학 제169회 당선자로 ▲ 시 신인문학상에는 박수자, 윤금강 ▲ 시조 신인문학상에는 김동한, 김성교, 송홍주, ▲ 민조시 신인문학상에는 김충현, 임현주 ▲ 소설 신인문학상에는 이도하, 이용기 ▲ 수필 신인문학상에는 김선영, 전명혜, 정은희 ▲ 동시 신인문학상에는 이경홍, 최민자 씨가 수상했다. 또한 월간문학 170회 당선자로는 ▲ 시 신인문학상에는 고성근, 오금희 ▲시조 신인문학상에는 양현숙, 전승탁, 황운희 ▲민조시 신인문학상에는 김덕애 ▲ 수필신인문학상에는 김영분, 이루백 ▲ 동시 신인문학상에는 김길자 씨가 수상했다. '월간문학'은 1961년 12월 31일 창립한 사단법인 한국문인협회에서 1986년 9월 창간한 월간지로 시, 시조, 민조시, 소설, 희곡, 평론, 수필, 청소년문학, 아동문학, 외국문학 등 10개 분과에 1만 6천여 명의 회원이 참여하고 있으며 월간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외교부 '인공지능(AI)의 책임 있는 군사적 이용에 관한 고위급회의(이하 REAIM(리에임) 고위급회의)' 준비기획단은 오는 9월 개최 예정인 '2024 REAIM 고위급회의'에 대한 일반대중의 관심과 이해를 높이기 위해 '캘리그라피 공모전'을 실시한다. 이번 공모전은 7.21.(월)부터 8.6.(화)까지 진행되고, 참가는 대한민국 국민은 물론 외국인도 가능하다. 자세한 사항은 2024 REAIM 고위급회의 홈페이지(www.reaim2024.kr)나 SNS 공식채널(@reaimsummit)에서 확인할 수 있다. 수상작은 REAIM 고위급회의 공식 홍보물로 지정하고, 전 세계에 AI의 책임 있는 군사적 이용에 대한 메시지 전달에 활용될 예정이다. 공모전을 통해 인공지능의 책임 있는 군사적 이용과 더 안전한 미래를 위한 국제사회의 협력 노력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높이고, REAIM 고위급회의의 의의를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REAIM은 정부·기업·학계·시민사회 등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해 AI의 책임 있는 군사적 개발·배치·이용에 관한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회의다. 우리 정부는 네덜란드와 공동으로 2023년 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