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1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詩가 있는 아침] 성명순 시인의 '명작(名作)'



명작(名作)


- 성명순 시인

엇갈리는 빗금으로
갈대를 본다.
초승달 조금씩 살 오르고
가을 밤바람이 차디차다.
노 시인의 그 창가에서
나는 연륜으로 잡아주는 마술에
걸려든다.
때로 기대에 지친 날이 얼굴 내밀어도
흘러가는 세월 따 먹고 유유자적
벗의 소식 내 안에서 쌓여만 간다.
쓰러져 눕지 않는
우주만물이
어디 있으리.
시공을 너머 온 위대한 작품만이 홀로
꿋꿋하게 서있구나.

■시평

시의 향기를 세상에 보내기 위해 시적 화자는 갈대를 보고 있다. 초승달이 조금씩 살이 오르는 것을 느끼는 시인의 마음이 참 인간적이다.

사물을 자신 속으로 끌여들여 대상을 인격화하는 시인의 모습에서 시인다움이 느껴진다.

이 시가 아름답게 느껴지는 것은 이면에 내재된 메시지의 함축 구조 때문이다.

동양시학 '시궁이후공(詩窮而後工)' 론을 음미할 수 있도록 설계된 시 속에서 명작이 나오기까지의 과정이 어떠해야 하는지, 명작은 어떤 성격을 지니는지, 시인은 구상에서 구상으로 언어를 이동시키며 은유적 사유를 보여주는 데 성공하고 있다.

원관념인 '명작'을 형상화하기 위해 언어여행을 떠나는 시적 화자를 보는 재미가 왜 쏠쏠할까.

'갈대', '초승달', '밤바람'은 사유의 시간을, '노 시인', '그 창가', '연륜', '마술'은 문학과의 인연을, '기대하다 지친 날', '흘러가는 세월', '유유자적'은 명작이 나오기까지 궁의 상황을, '벗의 소식 내 안에서 쌓여간다'는 명작을 빚기까지의 내공을 의미한다.

위대한 작품이 명작이거늘, 시인은 어찌 시공을 넘어서는 작품을 구상하지 않느냐고 세상의 문인들에게, 또는 자기 자신에게 묻고 있는 것이다.

언젠가는 꿋꿋하게 서 있을 명작을 기대하며 그녀는 가을밤 초승달 아래서 차디찬 바람을 맞으며 자연과 합일된 통일체로서 세계의 자아화를 이루고, '다상량'이란 구양수의 문장도를 실천하면서 명작에의 꿈을 다지고 있다.

아침은 저녁을 맞이하기 위해 흘러가고, 꽃은 열매 맺기 위해 핀다. 문인의 꿈은 명작을 남기는 데 있다는 것을 성 시인은 시로 노래하고 있다.

- 권대근(문학평론가, 대신대학원대 교수)

■ 성명순 시인 프로필

- (사)한국문인협회 인문학콘텐츠 개발위원.
- (사)국제PEN한국본부 대회협력위원회.
- 경기문학포럼 대표.
- 황금찬 문학상 수상.
- 시집 '시간 여행', '나무의 소리'
- 가곡 '그대가'(성명순 시, 이종록 곡, 박진형 노래)

- 현) 에이스케미컬 사회공헌팀 상임이사.

i24@daum.net

배너
강서일 시인, 다섯 번째 시집 <우주의 벌레 구멍> 출간…우주의 심연에서 마음의 언어를 길어 올리다
(서울=미래일보) 장건섭 기자 = 한국 현대시단에서 묵직한 울림과 날카로운 사유로 독자들에게 다가온 강서일 시인이 다섯 번째 시집 <우주의 벌레 구멍>(한국문연 刊)을 출간했다. 전작 <고양이 액체설> 이후 5년 만에 내놓은 이번 시집은, '마음의 언어'라는 본질적 화두를 우주적 상상력과 철학적 사유로 풀어내며, 인간 내면의 마음을 물과 구름, 파도 같은 이미지로 풀어내며 우주적 차원의 상상력으로 확장한 시편들로 독자들을 ‘내면의 벌레 구멍’으로 초대하고 있다. 강서일 시인은 '시인의 말'을 통해 "시간과 공간, 공기까지 시 속에 묻어 두었다"라며 "살펴보니, 시편마다 그때의 시간과 공간, 함께 머물렀던 공기까지 그대로 묻어 있다. 지금의 생각이나 감각과는 조금 다를 수 있겠지만 그때 그 순간의 느낌을 존중하기로 한다"고 고백한다. 이는 곧 지나간 시간을 붙잡으려는 것이 아니라, 그 순간순간의 감응이 여전히 현재 속에서 살아 있음을 인정하는 태도로 그의 시가 단순한 기록을 넘어, 순간의 감각을 영원의 언어로 보존하려는 작업임을 드러낸다. 시집은 총 4부로, 일상과 우주의 경계를 넘나 드는 60여 편의 시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 &l
서울특별시한궁협회,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 성료
(서울=미래일보) 서영순 기자 = 서울특별시한궁협회가 주최·주관한 제1회 서울특별시한궁협회장배 세대공감 한궁대회가 지난 17일, 서울 노원구 삼육대학교 체육관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약 250명의 선수, 임원, 심판, 가족, 지인이 함께한 이번 대회는 전 세대를 아우르는 스포츠 축제로, 4세 어린이부터 87세 어르신까지 참가하며 새로운 한궁 문화의 모델을 제시했다. 대회는 오전 9시 한궁 초보자들을 위한 투구 연습으로 문을 열었다. 이어진 식전 공연에서는 전한준(87세) 작곡가의 전자 색소폰 연주로 '한궁가'가 울려 퍼졌으며, 성명제(76세) 가수가 '신아리랑'을 열창했다. 또한 김충근 풀피리 예술가는 '찔레꽃'과 '안동역에서'를, 황규출 글벗문학회 사무국장은 색소폰으로 '고향의 봄'을 연주해 감동을 더했다. 마지막으로 홍소리 지도자가 '밥맛이 좋아요'를 노래하며 흥겨움을 더했다. 오전 10시부터 열린 개회식에는 강석재 서울특별시한궁협회 회장을 비롯해 허광 대한한궁협회 회장, 배선희 국제노인치매예방한궁협회 회장 등 내빈들이 참석해 대회의 시작을 축하했다. 김도균 글로벌한궁체인지포럼 위원장 겸 경희대 교수와 김영미 삼육대 교수, 어정화 노원구의회 의원 등도


배너
배너

포토리뷰


배너

사회

더보기
광복회, '8월 이달의 독립운동 정미의병 기념식' 개최…"경술국치, 쓰라린 역사를 기억하고 의병정신 전통으로 이어 가자" (서울=미래일보) 이연종 기자= 광복회(회장 이종찬)는 29일 오후 2시,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 컨벤션홀에서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과 이중근 대한노인회 겸 부영그룹 회장, 김관진 전 국정원장을 비롯해 유족과 독립운동 유관단체 및 광복회원 250여명이 모인 가운데, '광복80주년 8월, 이달의 독립운동 정미의병' 기념식을 개최했다. 국가보훈부와 서울특별시, 행복도시락이 후원한 이날 기념식은 국민의례와 영상시청, 이종찬 광복회장 기념사를 비롯해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축사, 이중근 대한노인회장 겸 부영그룹 회장 축사에 이어, 국가부훈부 장관의 민긍호의병장기념사업회와 운강이강년의병대장기념사업회에 대한 기념패 수여, 광복회장의 춘천의병마을에 대한 감사패 수여식, 김상기 충남대학교 명예교수의 ‘자유와 정의를 위한 백성의 투쟁, 정미의병’ 주제 강연 순으로 진행됐다. 이종찬 광복회장은 기념사에서 "오늘은 경술국치의 날로 1910년 8월 29일 우리가 주권을 빼앗겼다"며 "이런 쓰라린 역사를 우리가 다 기억하고 전통을 이어가야 한다”고 의병정신에 대해 강조했다. 이 회장은 그러면서 "대한제국의 군대가 강제해산 당하던 날, 정미 의병이 일어났고, 그 의병들이 독립군이 되

정치

더보기

배너
배너